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서울의 하천 공간 되살리기 프로젝트-홍제천의 수변공간을 중심으로-

        손지원(주저자) ( Ji Won Sohn ),양정은(주저자) ( Jung Eun Yang ),이채영(주저자) ( Chae Young Lee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5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1 No.-

        본 연구는 한강을 중심으로 흐르는 35개의 하천들을 중심으로 발달한 수변공간의 현재와 하천의 직강화 개발에서 오는 환경적 문제점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사람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올바른 수변공간의 디자인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홍제천으로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산동에 위치해 있다. 종로구·서대문구·마포구 일대에 걸쳐 흐르는 지방 2급 하천이다. 한강공원·청계천 등 수변공간을 이용하여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는 수변공간을 만들고 있는 현재, 수변공간의 개발이 하류 외에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이용률이 적다. 이 중 연구 대상 구간인홍제천의 중상류 부분은 물길이 좁아져 유속이 빠르며 홍수의 위험이 큰 것이 특징이다. 연구 결과, 하천 주변의 자연을 그대로 받아들여 물길에 따른 공간을 디자인하여 수변공간과 하천을 비롯한 자연 사이의 교감을 통하여 하천 직강화에서 오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인간과 자연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수변 커뮤니티 공간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경제성장 발전과 급속화 된 도시화 인해 자연을 고려하지 않고 인간을 위한 발전을 해온 현재 상황에서 자연을 주목한 수변공간의 발전을 통해 정온한 느낌의 생태적 감수성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waterfront space created along 35 streams which run into Han River and to investigate environmental problems resulting from the development of direct channels in rivers, with an aim of seeking the designing direction for waterfront space for a harmonious coexistence between humans and the nature. The target area of this study was Hongje Stream, which is located in Seongsan-Dong Mapo-gu, Seoul. It is a second-class local stream that runs across Jongro-gu, Seodaemun-gu, and Mapo-gu. The waterfront facilities are now under construction along the stream for Seoul citizens to enjoy, like Hangang Park and Cheonggye Stream, and there are few waterfront spaces developed in the down stream, and there are not many visitors either. The target area of the study is the mid and upper stream, which is characterized by a narrow water passage and a fast flow velocity, making it vulnerable to flood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environmental problems resulting from the artificially-created direct channel can be solved by designing a waterfront space with the natural surroundings preserved to facilitate the interaction with the nature, and an ideal waterfront space model for harmonious coexistence and humans and the nature.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s, in that it suggests a way of helping citizens feel a calm and relaxing ecological sentiment by developing a naturally-preserved waterfront space, at this time of human-oriented development due to Korea’s fast economic development and rapid urbanization.

      • 브랜드 믹스를 통한 웰빙 라이프 스타일 식음공간 제안 -Workout kitchen 브랜드 개발을 중심으로-

        심민주(주저자) ( Min Joo Shim ),설수빈(주저자) ( Soo Bin Seul ),양정은(주저자) ( Jung Eun Yang ),조해인(주저자) ( Hae Inn Joe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이미연(공동저자) ( Mi Yeon Lee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5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0 No.-

        지금까지의 브랜드 믹스 전략에 관한 연구는 여러 가지 브랜드 마케팅 요소들의 믹스 전략이 인지도, 이미지, 충성도 등 소비자 관련 변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또, 브랜드 성과에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에 대하여 소비자 입장에서 접근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브랜드를 표현하는 디자인을 전략적 요소의 핵심으로 보고, 이를 2차원, 3차원 및 4차원의 공간환경에 구현하여 브랜드 믹스를 성공적으로 이끄는 공간 사례를 제시한다. 브랜드 디자인은 브랜드에 충성도가 높은 고객과 잠재 고객을 공유하기 때문에 그 중요도는 가중되며 브랜드 믹스의 중요성은 가중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두 브랜드의 디자인 및 마케팅 전략을 각각 분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제시한다. 또한 이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입체적으로 구현하는 브랜드 공간을 실제 사례를 통해 그래픽 디자인과 제품디자인, 그리고 공간에 구현되는 디자인 요서들을 통해 통합적으로 제시되는 마케팅 전략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The studies of brand mix strategy so far are mostly about the consumer-level approaches to what effects the mixed strategies of various brand marketing elements have on the consumer-related variables such as awareness, image, and loyalty, in addition to what kind of relevance the mixed strategies have with the brand performance. Unlike the existing studies, this study is planned to view designs that describe a brand as the core of the strategic elements and suggests the spatial model case that can lead the brand mix to its success by implementing the designs in a two-dimensional, three-dimensional and four-dimensional spatial environments. Because the brand design is to share the highly loyal and potential customers to the brand, its importance as well as the significance of brand mix is weighted. This study analyzes the design and marketing strategies of two existing brands respectively and suggests a new brand identity that is based on the analysis. Also, in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marketing strategies that are presented in an manner integrated through actual cases where the brand identity are embedded in stereospecific and through the graphic design, the product design and the design elements to be materialized in the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