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베트남의 개혁·개방과 북한

        남궁영,양일국 한국동북아학회 2015 한국동북아논총 Vol.20 No.3

        George W. Hegel considered that progress of history means advance of liberal ideas. It can be analogized as a nation with market economy system – based on ① individual freedom ② free market ③ minimum state - will give people a guarantee of an affluent society and a living like a human being. This proposition has been confirmed by the collapse of almost every socialist states. Many scholars pointed out its two kinds of causes; ① chronic economic recession and difficulties of the people caused by oligarchic system and ② illusion that a state or leaders can turn individuals’ instinctive selfishness, which liberalists perceive as a basic condition, into groupism. Therefore when socialist states abolish their system of nation and accept market economy, they are expectable to achieve not only solving the problem of poverty but also returning the power of state or privileged class to citizen. This study aims to guide advisable macroscopic changing direction of North Korea by statistical examination about national economy, agriculture, and public welfare of China and Vietnam around their transition into market economy. Peoples of China and Vietnam have suffered from poverty and tyranny until transition into market economy in common. However, two countries have achieved rapid growth in national economy, agriculture, and public welfare after successful transition. With application these lessons to North Korea’s major problems - starvation, violation of human rights and so on - , ultimately there are no remedy but reform and opening that devolve power of dictatorship to citizen. 헤겔은 인류 역사의 발전은 곧 자유사상의 발전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이는 ① 개인의 자유 ② 자유시장 ③ 최소정부를 요체로 하는 시장경제체제를 선택한 국가가 풍요롭고 인간다운 삶을 보장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명제는 사회주의 국가들이 대부분 몰락한 역사적 경험을 통해 역으로 입증됐다고 볼 수 있다. 다수의 학자들은 사회주의의 실패요인을 크게 ① 소수의 독재로 인한 만성적 경기침체와 민생고 ② 자유주의가 상수로 보는 개인의 이기적 본성을 인위적으로 집단주의화 할 수 있다는 착각 등에서 찾고 있다. 따라서 사회주의 국가가 자유시장경제체제로 이행할 경우 경제적 빈곤의 해결 외에도 강력한 국가 및 특권층의 권력이 시장(민간영역)으로 전이되는 이익을 기대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모범적인 체제 전환의 사례라 할 수 있는 중국과 베트남의 개혁·개방 전후 각종 농업, 경제, 민생 지표들을 통계적으로 검토한 뒤 이를 바탕으로 미래 북한 체제의 바람직한 변화 방향을 거시적으로 판단해보았다. 중국과 베트남은 공통적으로 사회주의 하에서 극심한 민생고에 시달리다 사유재산 인정 및 시장경제(국제무역) 채택 이후 농업, 경제, 민생의 세 분야 모두에서 비약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경제난, 인권탄압 등 주요 북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도 궁극적으로 독재 권력을 시장으로 이양하는 개혁·개방 외에 다른 대안이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한국 정치학계의 북한문제 인식과 대응(2000-2012): 『국제정치논총』·『한국정치학회보』를 중심으로

        남궁영,양일국 세종연구소 2015 국가전략 Vol.21 No.4

        The thesis is about the trend and research direction of North Korean studies under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governments from 2000 to 2012. 197 articles from professional publications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 were divided into realism and idealism based on the perception of North Korea and the flow of both part was statistically examined. The studies based on realism recognize North Korea as a rogue state and prefer hard-line policy while studies based on idealism acknowledge the 'particularity' of North Korea and prefer ‘sunshine policy’ toward North Korea. The statistical results show that idealistic studies were actively conducted under the progressive governments, but realist studies consistently gained the predominating influence under conservative governments. Various perceptions and remarks of North Korea is natural in the free society. However the studies following the trend or ideology of the government can cause significant side effects. Especially, this can badly influence the flexibility in establishing and applying policies toward North Korea. Moreover, people who do not support the policy of the government can be isolated. And it may deepen the South-South Conflicts. Hereafter the Korean academy of political science should play a better role in dealing with North Korean problems, which tries to make rational public opinion and adjust extreme assertions. 본 연구는 진보와 보수 정권이 교차한 2000년부터 2012년까지 국내 학계의 전반적 북한 문제 인식의 방향과 추이를 알아보기 위해 국내 두 유력 학술지(국제정치논총, 한국정치학회보)에 등재된 북한 관련 논문 197편을 ‘현실론’과 ‘이상론’으로 구분하고 그 추이를 통계적으로 검토해보았다. 이른바 현실론은 북한을 정상화해야할 불량 국가로 인식하며, 그 방법으로 강경책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이상론은 북한 체제 특수성을 인정하고 가능한 대화와 경제 원조를 통해 남북관계를 풀어가야 한다는 입장이다. 통계적 검토 결과 대북 포용정책이 추진된 시기에는 이상론이, 보수 정부 집권 시기는 현실론이 일관된 강세를 보였다. 물론 자유사회에서 북한 문제를 보는 다면적 견해로 인정할 수도 있지만 학계가 시류에 편승하거나 정부의 기호에 맞는 연구에 치중한 것은 여러 부작용을 수반할 수 있다. 이는 특히 대북 정책의 수립과 적용에 있어 탄력성을 저해하고 북한을 상대로 한 ‘근시안적 대증 요법’을 양산한다는 점에서 큰 문제가 있다고 여겨진다. 더불어 해당 시기 정부의 대북정책을 지지하지 않는 국민들을 소외시켜 남남갈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 향후 학계는 북한문제와 관련해 건전하고 합리적인 여론을 조성하고 극단적인 의견을 적절히 여과하는 역할에 좀 더 충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국제정치 구조와 극(polarity) 체제: 변화와 전망

        남궁영,양일국 한국동북아학회 2014 한국동북아논총 Vol.19 No.3

        Representative Neo-Realists such as Kenneth Waltz and John Mearsheimer adviced that distinguishing ‘Structure’ is essential because interests and security competitions among Great Powers have made main aspects of international society. Thus this study reviewed tradition history of polarity from the year of 1815-when the United Kingdom became hegemonic power by the Industrial Revolution–to recent international structure of U.S–China. After comparison and measurement of historic Great Powers’ national capability by various time-variant statistical data, It appeared that GDP(gross domestic product) and national defense expenditure which directly represent one nation’s economic and military power have been valid indicators consistently but other indicators such as amount of steel production, tons of capital ships, population disclosed some errors in certain period. In this sense, so-called group of ‘Rising China’ who predict the power of China will overtake U.S. in the year of 2040-2050 have less possibility of realization. Above all, they usually have assumption that China will hold its recent economic growth rate or often perceive increase in GDP as growth of comprehensive national power. And some scholars gave too much weight to population in measuring China’s current and future capability. Until today, U.S. have been the Hegemon in terms of major indicators of measuring national power and also in terms of comprehensive national power by Klaus Knorr and Ray S. Cline. And China-though became runner-up since 2010 have shown serious inferiority compared to U.S. Furthermore, it is almost impossible China to overtake soft power of U.S.–mature free market and capitalism, environment of education- in a short period of time, apart from hard power by nuclear stockpile and aircraft carriers. According to some major energy statistical data, output of shale gas and oil by U.S. will be at the peak in the year of 2030, and at the same time, energy demand of China will increase rapidly. In this context, international structure of foreseeable future is expected to be Uni-Multi polarity which means competition of China, EU(European Union), Japan, Russia and India revolve around U.S. 월츠(Kenneth Waltz)와 미어셰이머(John Mearsheimer) 등 신현실주의자들은 국제사회의 주요한 국면이 사실상 해당시기 강대국들의 이해관계 및 안보경쟁을 통해 형성되므로,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국제정치 전반을 이해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에 본 연구는 이 분야의 대표적 선행연구들을 참조하여 산업혁명으로 영국이 최강대국으로 부상하던 1815년부터 최근 미-중 국제구조가 형성되기까지 극의 변동을 검토했다. 다양한 시기별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강대국의 국력수준을 살펴본 결과 군사력과 경제력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국방비와 GDP가 일관되게 극의 양상을 잘 보여주었으며 기타 철강생산, 함정보유톤수, 인구 등은 각각 특정 시점에서 오류를 보였다. 이는 국력측정에 있어 첫째, 하드파워(hard power)의 요체가 되는 군사력 및 경제력과 직접적 연관이 적은 지표들을 지나치게 고려해서는 안된다는 점, 둘째, 단일지표보다는 군사, 경제, 정부 및 국민역량 등 종합국력의 측면에서 추이를 조망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2040-2050년을 전후해 중국의 국력이 미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이른바 '중국부상론'은 일정 부분 한계를 갖는 것으로 보인다. 우선 이들은 중국이 최근 보여준 놀라운 경제성장을 향후에도 지속할 것이라 속단하거나, GDP의 약진을 종합국력의 성장으로 가정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국력추정에 있어 인구에 과중한 비중을 두는 경우도 있었다. 주요 국력지표와 마찬가지로 클라우스 노어(Klaus Knorr), 레이 클라인(Ray S. Cline) 등이 제시한 종합국력의 관점에서도 미국은 현재 최강대국의 위치를 지키고 있으며, 2010년부터 2위국으로 부상한 중국 역시 아직까지 열세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국 국력의 상대적 우위의 근간이 되는 핵무기 보유량, 항공모함 성능 및 보유수 등 하드파워 외에도 성숙한 자유시장 경제와 교육환경 등 소프트 파워(soft power)의 지표들은 중국이 단기간에 추월하기 힘들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미국의 셰일가스와 석유생산량이 정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2030년 경 중국의 에너지 수요 역시 폭증할 것이라는 에너지 관련 통계를 고려할 때, 향후 국제구조가 당분간 미국을 중심으로 중국, EU, 일본, 러시아, 인도 등이 경합하는 단-다극의 양상을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중국의 부상을 보는 두 시각 : 현상유지국인가, 도전국인가?

        남궁영(Young Nam koong),양일국(Yang Il Kook) 21세기정치학회 2012 21세기 정치학회보 Vol.22 No.2

        International Society's perspectives on rising china and it's future can b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 optimism and pessimism. Pessimism simply means China's threat. It implies that China would not be satisfied with it's regional power status and attempt to be hegemonic state while coming into conflict with America. In contrast, optimism means that China would be a status quo power. It implicates China would remain regional power and accept international norms while cooperating with international society. This study analyses these two perspectives and their basis with major international politics theories - realism and liberalism. This study also proposes and verifies conditions for optimistic view's realization: ① national power gap between America and China, ② China's peaceful economic growth, and ③ China's degree of Globalization. Consequently it shows America's overwhelming preponderance compared with China's national power. China has grown it's economic power mostly with international trade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while accepting Globalization smoothly. America's overwhelming preponderance in national power is expected to endure but its supremacy won't be like last 20 years. Meanwhile, China will be able to be a greater state, but not a hegemonic power because of it's various restrictions and obstacles. In this context, the feature of Uni-Multi polarity in international system seems to be sharpen for a whi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