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무부채 기업의 두 종류 기업군에 관한 실증적 연구: 재정적 제약을 갖고 있는 그룹과 재무적 유연성을 추구하는 그룹

        양인선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1

        This paper finds that Korean zero-leverage firms are not homogeneous. By conducting both univariate and multivariate logit regression analysis, this paper finds that Korean zero-leverage firms have zero leverage as either a consequence of financial constraints or because of a strategic decision to mitigate under-investment incentives and preserve financial flexibility. There are two distinct groups of unlevered firms with different levels of constraints as measured by their dividend policy, namely dividend payers and non-payers. Importantly, this paper finds new evidence that these two groups have different motives for selecting a zero leverage policy. Firms in the first group (non-payers) have zero leverage, mainly due to financial constraints. They rely heavily on their internal funds and consequently invest in fewer growth opportunities than their levered counterparts. Firms in the second group (payers) deliberately avoid debts and preserve financial flexibility to mitigate investment distortions, as predicted by the under-investment and financial flexibility hypotheses. 기존의 국내 무부채 기업에 관한 연구는 부채 그룹과 대비되는 의미에서의 무부채 단일 그룹의 동질적인 그룹 특성 연구에 중점을 두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무부채 기업군을 단 변량 분석과 다 변량 로짓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배당금을 지급하는 그룹과 지급하지 않는 그룹으로 나누어 실증 분석한 결과 국내 기업들이 무부채 전략을 선택하는 동기에 있어서 크게 두 종류의 기업군으로 분류 될 수 있음을 발견했다. 첫 번째 기업군은 주로 기업 크기가 작은 신생 기업들로서 금융시장에서 부채를 조달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이런 재정적인 어려움 때문에 무부채를 선택하는 기업들이다. 이런 종류의 기업들은 배당금을 지급할 수 있을만한 유동성이 없다. 두 번째 그룹은 비교적 크고 성숙한 기업들로서 현재 부채 조달에 어려움은 없지만 미래 성장에 필요한 투자 자금 확보를 대비해서 현재의 부채 사용을 억제하여 필요한 시점의 원활한 부채 자금 조달을 위한 재정적 유연성을 갖고자 무부채 전략을 선택하는 것으로 보인다. 재정적으로는 비교적 안정되어 있고 배당을 지급하지 않는 그룹보다 수익률과 영업 현금흐름에서 더 높지만 성장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더 낮다. 요약하자면 무부채 그룹은 단일 공통된 특성의 그룹이 아니다.

      • KCI등재

        제주도(濟州道) 향토음식(鄕土飮食)에 관(關)한 대학생(大學生)의 인지도(認知度) 및 기호도(嗜好度) 조사연구(調査硏究)

        양인선,황춘선,Yang, Lee-Sun,Hwang, Choon-Sun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90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develop native foods in the future continuosly, and (2)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llowing college student's to correctly understand traditional culture, by investigating those college students' preference and understanding of the native foods in Cheju-do.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the survey was carried out by use of questionaires for 344 residing in Cheju-do from 20th to 29th May, 1989. The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as performed by use of SAS program, while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examined by $x^2-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It was showed that college man had higher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of those native foods than college women. 2. The result relating to age indicated that the more the age, higher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3. The result by residing areas showed that the college students in the rural area showed higher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than students in the urban area. 4. Based on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those subjects' mothers, it was shown that those college students of mothers having lower educational background had higher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of native foods. 5. Those college students having good understanding of native foods accounted for 63.4 percent, while students requiring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those native foods for 91.0 percent. As a consequence, it is apparent that most subjects tended to show the positive responses to those native foods.

      • KCI등재
      • 경남의 산업경제 침체와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여건 분석

        양인선,김도형,유동호,송부용 경남연구원 2018 중점정책연구 현안연구 Vol.- No.-

        □ 경남의 위기와 대응전략 ○ 2008년 세계경제위기를 겪은 경남은 2010년 이후 조선해양플랜트산업의 하락에서 비롯된 지역경제의 추락이 극에 달하고 있음 - 중형조선소인 21세기 조선, spp, 신아조선 등의 도산에서 이제는 성동조선과 stx조선까지 위험에 봉착함 ○ 여기에 한국GM 위기처럼 경남도내 한국GM창원공장의 위기가 동시에 다가오고 있는 등 지역경제의 골이 깊어지고 있음 ○ 다양한 대책 가운데 정부의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을 통해 지역경제를 회생해 보고자 함(조선업, 자동차산업) -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기준에 따라 거제, 통영, 고성, 창원 등 도내 주요지역에 대해 정부가 정한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기준과 요건을 충족하는가에 대한 분석하여 제시함 □ 분석결과 ○ 지정대상 행정구역 범위는 「지방자치법」제2조제1항 제2호에 따른 시 · 군 · 구를 기준으로 하고, 지역의 산업구조 등 경제권역에 따라 여러 시 · 구를 묶어서 신청할 수가 있음 - 지정요건으로, 해당 지역이나 몇 개의 지역을 묶은 지역을 대상으로 산업특화도, 지역내 비중, 지역산업구조 다양성, 기업경기실사지수, 광제조업 생산지수, 아파트매매가격지수 등을 기준으로 분석함 ○ 한국산업분류표(KSICs)에 따른 전체 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거제시와 통영시 및 통영시와 고성군을 묶을 경우에도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요건을 충족함 ○ 창원시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한 경우, 이들 일부 지정요건을 약간씩 충족하지 못하지만, 본문의 (표2)와 (표3)에서 보는 것처럼 종사자 수나 생산액의 최근 하락폭이 최근 들어 엄청나게 큼. 특히 현재 창원시는 조선선박, 자동차, 엔진, 철강, 전자 등 모든 업종에서 위기를 겪고 있음. 따라서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기준④의 “주된 산업 중 2개 이상”, 즉 창원시의 선박, 자동차, 선박엔진 등의 위기가 가중되므로 신청이 가능하고 또한 지정할 요건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고 사료됨 ○ 결론적으로 전 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거제시와 통영시 개별 및 통영시와 고성군을 묶을 경우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요건을 충족하여 신청대상이 충분함. 그리고 창원시 전체의 경우 선박(stx조선), 자동차(한국GM), 선박엔진(stx엔진) 등의 위기가 가중되어 지정기준④의 “주된 산업 중 2개 이상”의 위기에 해당되므로 창원시 역시 신청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됨

      • KCI등재

        기업의 연속 설비투자 증가가 주가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 : 제조업 중심으로

        양인선 ( Insun Yang ) 한국생산성학회 2017 生産性論集 Vol.31 No.2

        If firms increase investments consecutively, does this contribute to an increase in stock returns? If firms are in a trend of distributing their earnings as investing in capital expenditures, does this help in increasing firm value? Most theoretical papers based in the U. S. or Europe have suggested that expected returns decline in response to increasing investment. These negative returns are referred to as “investment-related anomalies.” Various explanations have been offered for the negative relationship in investment/stock return of “investment-related anomalies”. For example, the Dynamic q-theory of investment as proposed by Liu, Whited, and Zhang (2009) states that firms tend to invest less when the cost of capital is high, inducing a negative investment/return (if `/` is not acceptable `&` is Ok also.) relationship. Overinvestment theory (Titman et al., 2004), asserts that investors are concerned about possible overinvestment by managers due to the agency problem, consequently generating negative stock returns. They argue that firms that increase investment expenditures tend to overinvest and that the market initially overreacts to the negative implications of the higher level of investment. In this paper, I explore the effects of continuous investment behavior patterns, with specific emphasis on continuous increases in investment of Korean manufacturing firms and its relationship with stock returns. With the panel of Korean stock returns over the 1990 to 2014 period, this paper utilizes two empirical methodologies; the Fama-French alpha measurement and benchmark portfolio excess return calculation. This paper analyzes multiple year windows instead of the commonly used single year time frame between stock returns and investment. Most Korean studies on recent announcement effect over a short-term window have shown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investment and stock returns when firms announce the increase of capital expenditure spending. However, there have been no long-term studies that show a clear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tock returns and capital expenditure. I have found that as firms spend more on capital investments there are subsequently more positive benchmark-adjusted retur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 firm`s continuous investment increase and subsequent positive returns. Sorting by investment increase numbers, we find that the portfolio yearly excess return spread between firms with a one-time increase in investment and firms that have three consecutive years of increased investment is at 0.0072%. The higher the total number of increases in capital investment, the higher the portfolio excess returns. In addition, the higher the number of consecutive increases in capital investment, the higher the excess returns of the firm. Since there have been no previous studies on cumulative increases in capital expenditure of firms and stock return, one of the paper`s major contributions is exhibiting a clear positive relationship when firms increase investment at least up to three times. In addition, this paper also analyzes the effect of the cumulative year over year increases on the investment/return relationship in comparison to traditional single year time frames.

      • KCI등재
      • KCI등재

        경쟁 기업이 기업의 투자결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양인선(Insun Y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2

        기업들은 경쟁 속에서 성장한다. 경쟁은 성장의 기본 동력으로, 기업들은 경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기울인다. Competitive rivalry-based theory에 따르면 기업은 경쟁 속에서 경쟁에 수반되는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경쟁기업들의 결정을 모방 한다고 한다. 본 연구는 국내 기업들의 투자 결정에 미치는 경쟁기업들의 영향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이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경쟁기업이 기업의 투자 결정에 통계적으로 상당히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이러한 영향은 기업 간 경쟁이 심화되면 될수록, 그리고 부채비율이 높아질수록 모방의 정도가 강해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모험회피이론에 의하면 기업들이 모방하는 이유는 경쟁에서 비용을 적게 들이고 손쉽게 정보를 얻으려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연구방법론으로는 내생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가 수익률을 매개 변수로 사용하여 Two Stage Least Square(2SLS) 방법을 사용하여 경쟁기업들의 투자 결정이 기업의 투자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분석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기업들이 투자결정하는데 있어서 어느 정도로 경쟁그룹을 인식하느냐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Firms grow in a competitive environment and competition can be a source of corporate growth. In an increasingly global market, companies face increased competition. As such, it is natural that all firms face some degree of risk due to competition. While firms compete for market share, they also imitate competitors in order to minimize risk that accompanies competition. This research attempts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inter-firm competition on investment decisions. Using idiosyncratic equity returns as the instrument variable, this paper uses a two-stage least squares regression, as well as an ordinary least squares (OL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peer firms" investment decisions on a firm"s own investment strategy. The results confirm that firms show stronger imitative behavior with more intense competition. Also, firms with higher debt ratios show higher peer group influence. This imitative factor provides clues to measure the risk-averseness in investment decisions.

      • KCI등재

        GMM Panel VAR를 이용하여 R&D가 기업 가치에 영향을 미치기까지의 시간 측정 연구

        양인선(Insun Y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7

        R&D 연구 투자의 문제점의 하나는 불확실성이 크다는 점이다. 이러한 불확실성이 기업에는 많은 부담을 주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면에서 R&D 투자가 기업 가치에 양(+)의 영향을 미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고 보여진다. 본 연구는 GMM-PVAR(Panel Vector Autoregression) IRF(Impulse Response function)를 사용 하여 1900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거래소의 코스피와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R&D 투자가 기업가치에 양(+)의 영향을 미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 하였다. 또한 기업의 재무적 특성 변수 중 기업의 크기, 성장 가능성, 그리고 산업 집중율이 R&D 투자가 기업가치에 양(+) 영향을 미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킨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그것은 이들 재무적 특성변수 들이 R&D 투자와 기업가치간의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수록 즉 경쟁이 심화될수록 크기가 클수록 시간이 단축되며 작은 기업의 경우는 성장 가능성이 높을수록 시간이 단축되는 경향을 보였다. 흥미 있는 점은 큰 기업들의 경우에는 성장가능성이 낮은 기업들이 성장가능성이 높은 기업들보다 더 큰 양의 결과를 보였다. Most previous studies foun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of a firm and its R&D investments. This research measures the impact of the timescale of the R&D investment of a firm on its value using panel vector autoregression. By measuring the time required for R&D to impact the value of a firm,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lead time is an essential factor in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R&D investment on a firm's value. Our study finds that the length of the lead time varies according to the firm's size, industry concentration, and book to market ratio. Firms with a higher industry concentration show a shorter lead time. Also, firms with a larger size and higher book to market ratio generally show a shorter lead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