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댄스스포츠 선수의 긍정적 자동적 사고와 중도포기의 관계

        양은심 ( Eun-sim Yang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6 한국무용연구 Vol.34 No.2

        본 논문은 현재 중, 고, 대, 일반부의 댄스스포츠 선수로 등록되어 있는 선수 271명을 대상으로 댄스스포츠 선수 개인이 가진 긍정적 자동적 사고가 부정적 요인들로 묘사된 댄스스포츠 중도포기 원인들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분석해 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단순회귀분석과 경로모형을 검증하였다. 긍정적 자동적 사고 중 현재 미래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기대 요인은 경쟁, 무동기, 파트너 요인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자기에 대한 타인의 긍정적 평가는 경제 요인에 부적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긍정적 일상기능은 중도포기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β 값이 마이너스를 보임으로서 긍정적 자동적 사고를 할수록 중도포기에 대한 생각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긍정적 생각과 긍정적 자기평가, 그리고 긍정적 일상기능을 높이는 것이 중도포기 수준을 낮출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causes of dance sport dropouts, which may be related to positive automatic thought and negative factors. The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modeling were conducted to verify. Among positive automatic thought, positive evaluation for future, and Expectation Factors influenced negatively competition, non-motivation, and partner factors. The positive evaluation by others on the self affected negatively financial factors. However, a positive daily function didn``t influence drop-out at all. Overall, the β value was minus, so the more positive automatic thoughts you have, the less chances you drop out. Therefore, it implies that positive thoughts, positive self-evaluation, and a positive daily function may reduce the chances of drop-out.

      • KCI등재

        댄스스포츠 열정이 파트너십에 미치는 영향

        양은심(Eun-Sim Ya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0 No.3

        본 연구는 댄스스포츠 열정이 파트너십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댄스스포츠 선수로서, 비확률표집방법인 목적적 표집방법을 이용하여 최종 17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질문지의 타당도를 확보하고,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댄스스포츠 선수들의 열정과 파트너십의 기술통계 결과 열정은 남자선수들이 높고, 파트너십요인에서는 여자선수들이 심판-관중 호응과 신체조화에서 높고 신뢰는 남자선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열정과 파트너십간의 상관관계는 열정의 하위요인인 조화열정이 신뢰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강박열정은 파트너십과 상관이 없었다. 열정이 파트너십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기 위해 전체 선수와 성별로 구분하여 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체선수들의 심판-관중 호응에는 조화열정이 영향을 미치며, 성별에서는 남자선수의 조화열정이 심판-관중 호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뢰요인에는 조화열정만이 영향을 미치며, 성별간은 남녀선수 모두 조화열정이 신뢰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열정이 신체조화에 미치는 영향은 전체선수와 성별에 따라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ancesport passion on partnership. The subjects as dance sport athletes, using a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is purposive sampling method and analyzed 179 final data.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obtain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was a verified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on the passion and partnership of dance sport players, male players have higher passion and are more trustworthy, at the same time, female players have a better response to judge-audience under the partnership category and better physical harmony. In the correlations between passion and partnership, harmonious passion, a sub factor of passion, had most related to trust. The regression analysis from the whole group and from each gender was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how passion affected partnership. As a result, firstly, harmonious passion affected judge-audience response. Especially for male players, harmonious passion meaningfully influenced judge-audience response. Secondly, only harmonious passion acted on trust factors regardless of gender. Thirdly, passion didn"t give impact on physical harmony for both male and female players.

      • 무용 실기능력 평가의 공정성

        양은심 ( Eun Sim Yang ),이원미 ( Won Mee Lee ),고경희 ( Kyung Hee Ko ),윤승혜 ( Seung Hye Yun ),김지은 ( Ji Eun Kim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3 한국무용연구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Vol.2013 No.-

        this study has a purpose to convert the score(from the candidates of Dong-A Concours in 2013) evaluated by trimmed mean method to statistical model(standard score) which is possibly calculated with addition, subtraction, multiplication, and division and to compare the results. This study used the score evaluated by 7 appraisers who judged 83 candidates for final performance; classified by the types (Korean traditional dance, Korean creative dance, modern dance, ballet) and the groups (unit of student dancers and the unit of the general). The score from appraisers was converted to standard score: Z The rate of agreement between original score and converted score shows that Korean creative was dance 60%, modern dance was 100%, and ballet was 80%.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ggesting that making the score from different appraisers and different strictness converted to a standard score, all dancers can be fairly compared regardless of the type of dance.

      • KCI등재

        댄스스포츠 교양수업을 통한 대학생들의 인성 덕목 요구분석

        양은심 ( Yang Eun-sim ),김진아 ( Kim Jin-a ) 한국무용연구학회 2020 한국무용연구 Vol.38 No.1

        이 연구는 대학교 댄스스포츠 교양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요구하고 지각하는 인성덕목을 파악하여 댄스스포츠 수업에서 인성발달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서울 소재의 K대학교에서 한 학기 댄스스포츠 교양수업을 수강하는 비전공 학생 152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된 개방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학생의 인성 개념을 탐색하고자 귀납적 분석을 통해 배려의 유무, 공감의 유무, 책임의 유무, 존중의 유무로 범주화 되었으며, 현상에 대한 맥락적 이해를 하고자 Stauss와 Corbin(1996)의 근거이론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패러다임 모형을 통해 인과적 상황, 중심현상,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 작용/상호작용, 결과로 구성하여 범주간의 현상을 연결시켰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댄스스포츠 수업에서 필요한 인성의 요구조건은 배려, 공감, 책임, 존중의 네 가지 덕목이 핵심범주라는 것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댄스스포츠 수업에서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활용하여 대학생들의 인성을 발달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research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for personality development in dance sports classes by identifying personality traits demanded and late by students through the college dance sports liberal arts classes.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a semi-structured open questionnaire for 152 students taking dance sports and culture classes in a semester at K University in Seoul. To explore the concept of character in college students, it was categorized into the existence of consideration, the existence of empathy, the existence of responsibility, and the existence of respect through inductive analysis. In order to have a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he status quo, the basis theory of Stauss and Corbin (1996) was used. Through the paradigm model, the phenomena between categories were linked by constructing them as causal situations, central phenomena, contextual conditions, interventional conditions, actions/interactions, and result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ur virtues of consideration, empathy, responsibility and respect were found to be key categories in dance sports classes. We hope that this will help college students develop character by developing and utilizing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in future dance sports classes.

      • KCI등재

        여자무용수의 자기대상화와 신체불만족의 관계: 사회적체형불안의 매개효과 검증

        양은심(Eun Sim Yang)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0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2 No.1

        이 연구는 여자무용수(일반무용전공과 댄스스포츠 전공) 537명을 대상으로 심리를 측정하는 자기대상화 (self-objectification)와 사회적체형불안(social physique anxiety), 그리고 신체불만족(body dissatisfaction) 변인들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론적으로 사회적체형불안이 자기대상화와 신체불만족에 매개효과를 할 것이라는 연구가설을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e equating modeling)으로 검증하였다. 설계한 모형의 적합도 TLI= .939, CFI= .946, 그리고 RMSEA= .067로 검증되었고, Bootstrap 기법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통계적으로 사회적체형불안이 자기대상화와 신체불만족에 매개효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완전매개효과와 불완전매개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 불완전매개효과가 보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여자무용수들의 자기대상화가 신체불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적체형불안을 매개효과로 삽입했을 때 증가한다. 이는 현재 여자무용수들에게 타인들의 시선으로 보는 자신의 외모에 대한 판단(자기대상화)이 높을수록 자신의 신체에 대한 불만족이 높음을 시사하며, 이 현상은 사회적체형불안의 간접적인 영향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경로계수의 효과크기(Effect Size)로 해석하면 여자무용수들의 신체불 만족에 자기대상화와 사회적체형불안이 주는 설명력은 크지 않다. 여자무용수들이 만족하는 신체는 사회문화적 기준에 맞춘 날씬한 몸매가 아닌 무대위에서 동작기술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아름다운 체형이라고 논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토대로 여자무용수들의 신체불만족에 미치는 또 다른 변인을 고려한 다중매개효과검증이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woman dancers` (dance major & dance sport major) self-objectification, social physique anxiety and body dissatisfaction as psychological measurement. These three variables are theoretically that the social physique anxiety is the mediation effect between the self-objectification and the body dissatisfaction in woman dancers. Total 537 woman dancer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structure equating modeling.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tructure equating modeling in this study was verified goodness of fit as TLI(Tucker-Lewis Index), CFI(Comparative Fit Index), and RMSEA(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The TLI was .939, CFI was .946 and RMSEA was .067 in this study. The statistical method of this study was Bootstrapping to analyze the mediation effect. As the result, the social physique anxiety was partial mediation effect between woman dancers` self-objectification and body dissatisfaction. This result means the self-objectification and the body dissatisfaction are positive correlation by the social physique anxiety`s mediation effect. This result can also be interpreted effect size. The effect size explained that the self-objectification had so small effect to the social physique anxiety(4.8%) and the body dissatisfaction(1.4%) directly. Even if the mediation effect is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 effect size means that woman dancers have any other factors. They may have another psychologic anxiety as dancers.

      • KCI등재

        대학생의 생활무용 비대면 실기수업 과정과 평가에 대한 주관적 인식

        양은심 ( Yang Eun-sim ),김진아 ( Kim Jin-a ) 한국무용연구학회 2021 한국무용연구 Vol.39 No.3

        이 연구는 대학생의 생활무용 비대면 실기수업에 관한 과정 및 평가의 주관적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원격수업에서의 유지 및 개선 방향을 탐색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 소재 H대학교에서 2020년 1, 2학기 생활무용(댄스스포츠와 에어로빅) 수업에 참여한 댄스스포츠 6개 반 137명, 에어로빅 2개 반 88명 총 225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된 개방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 수집하였고, 귀납적 내용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비대면 실기수업 과정에서 좋은 점은 시·공간의 제약이 없는 점, 강의 효율성의 향상, 감염예방 순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비대면 실기수업 과정에서 어려웠던 점은 교수자 피드백 및 학우들간의 실질적인 의사 소통 부재, 학습 환경 미흡, 사기 저하 순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e클래스 과제란을 통해 개개인의 점수 및 의견평가를 제공받은 학생들의 의견에는 대부분 긍정적이지만 부분적으로는 아쉬움을 느끼고 있었다. 넷째, 코로나19 지속 시 어떠한 방법으로 진행하면 좋은지에 관해서는 현재와 같이 비대면 수업으로 진행하기, 거리두기 완화 시 분반 대면 수업 희망, 비대면 수업 내 즉각적인 의사소통, 강의영상 보완, 과제 축소를 희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maintenance and improvement in remote classes by looking at subjective perceptions of courses and evaluations of non-face-to-face practical classes for college students. A total of 225 semi-structured open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H University in Seoul for practical dance (dance sports and aerobics) classes in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of 2020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rough inductive content analysis: First, the advantages of non-face-to-face practical classes were recognized in the order of no restrictions on city and space, improvement of lecture efficiency, and prevention of infection. Second, the difficulties in the course of non-face-to-face practical classes were recognized in the order of teacher feedback and lack of practical communication among classmates, lack of learning environment, and low morale. Third, most of the students who were provided with individual scores and opinions through the e-class task section were positive but partially disappointed. Fourth,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y want to proceed with non-face-to-face classes as it is now, hope for face-to-face classes when reducing distancing, immediate communication within non-face-to-face classes, supplementation of lecture videos, and reduction of tasks.

      • 체육계열 대학생의 코로나19에 관한 은유분석

        양은심 ( Yang Eun-sim ),김진아 ( Kim Jin-a ) 국제문화&예술학회 2023 국제문화예술 Vol.4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체육계열 대학생의 코로나19에 관한 경험적 인식을 은유분석을 통해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H대학교의 체육관련 전공 학생 232명이다. 반구조화된 개방형 질문지를 e-class에 탑재하여 응답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Gök & Erdogan(2010)의 개념적 은유분석 단계에 따라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 은유분석 단계를 통한 분석 결과 걸림돌(48%), 절망 속 희망(32%), 긍정의 전환점(20%) 총 3개 영역의 주요 범주가 도출되었다. ‘걸림돌’의 하위 요인으로는 위험 요소, 기회 상실, 목표 상실, 대학생활 방해로 구성되었으며, 부정적 경험을 나타내고 있다. ‘절망 속 희망’의 하위 요인으로는 기회, 선악 공존, 반성으로 구성되었으며, 긍정적 경험 및 인성 함양이 포함되어 있었다. ‘긍정의 전환점’의 하위 요인은 생활의 전환, 생각의 전환, 삶의 전환으로 구성되었고. 내재적 동기를 기반한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결론: 포스트 코로나가 시작된 시기임에도 오늘날의 지구촌은 환경오염과 또 다른 감염병, 인구구조의 변화가 계속 되어 언제든 찾아올 수 있는 유사성 팬데믹에 대한 교육학적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대학교의 비대면 체육수업 및 미래 체육교육을 대비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길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empirical perception of COVID-19 among college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through metaphorical analysi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232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t H University in Seoul. The semi-structured open questionnaire was mounted on the e-class to collect the answered data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conceptual metaphor analysis stage of Gök & Erdogan (2010). Resul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rough the metaphor analysis stage, a total of three main categories were derived: obstacles (48%), hopes in despair (32%), and turning points of positivity (20%). The sub-factors of ‘stalking stones’ consisted of risk factors, loss of opportunity, loss of goal, and obstruction of college life, and showed negative experiences. The sub-factors of “hope in despair” consisted of opportunity, coexistence of good and evil, and reflection, and included positive experience and personality cultivation.The sub-factors of the ‘transition point of positivity’ consisted of a change in life, a change in thought, and a change in life. It showed a positive effect based on intrinsic motivation. Conclusion: Today’s global community must come up with an educational alternative to the similarity pandemic, which can come at any time as environmental pollution, another infectious disease, and changes in demographic structure continue, even though the post-COVID-19 began.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for preparing for non-face-to-fa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future physical education at universities in the future.

      • KCI등재

        댄스스포츠 선수들의 중도포기 측정도구 개발

        양은심(Eun Sim Yang),김진아(Jin A Kim)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2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4 No.3

        본 연구는 댄스스포츠 선수들의 중도포기 원인을 알아보고 중도포기 측정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댄스스포츠 3종목 이상 대회를 출전해 본 경험이 있는 현역 댄스스포츠 선수와 현재 선수 활동을 중도포기 한 선수 총35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개방형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의 귀납적 분석을 통해 70개의 문항을 추출하였다. 70개의 문항을 ``얼마나 자주 느끼는가?``에 대한 정도와 ``그 느낌이 얼마나 강한가?``에 대한 강도로 분류하여 5점 리커트(Likert) 설문으로 제작하였다. 예비조사는 귀납적 분석을 통해 얻어진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현역선수(4명)보다 중도포기 한 선수(17명)를 위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수집한 후, 기술통계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해45문항을 추출하였다. 본 조사는 대상자 273명에게 45문항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최종 자료를 수집한 후 탐색적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였다. 그 결과, 경쟁 요인 5문항, 파트너 요인 5문항, 경제 요인 4문항, 성적 요인 3문항, 무동기 요인 4문항, 지도자 요인 4문항으로 총 6요인 25문항이 개발되었다. This study aims to look at the causes why dance sport players are giving up in the middle and develop instruments to measure their give-up in the middle. Our survey was conducted in both dance sport players on the playing list who have participated in more than three events of dance sport and those who gave up playing in the middle-a total of 358 players. Data was collected from 64 players using open-ended survey and 70 factors were extracted through inducive analysis. The 70 factors were classified from two aspects: "How often did they feel?" and "How strong did they feel?" and then 5-point Likert survey was made.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used the questionnaires obtained through inducive analysi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mainly to players who gave up in the middle(17) rather than players on the playing list(4) and then after collecting the questionnaires, 45 questions were extract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containing 45 questions was distributed to 273 individuals and then final data was collected before conduct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a total of 25 questions with 6 factors: 5 questions for competitive factor, 5 for partner factor, 4 for economic factor, 3 for performance factor, 4 for amotivational factor, and 4 for leader factor, were developed.

      • KCI등재

        탈중심화가 댄스스포츠 선수의 몰입에 미치는 영향

        양은심 ( Eun Sim Yang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5 한국무용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댄스스포츠선수들의 탈중심화와 몰입경험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현재 선수로 활동하고 있는 댄스스포츠 선수 271명을 조사하였다. 성별에 따라 탈중심화가 몰입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자선수들은 자기목적적 체험, 명확한 목표설정, 통제감각에서 높은 설명량을 보인반면, 여자선수는 무아지경과 시간감각에서 설명량이 높게 나타났다. 경력 상하에 따라 탈중심화가 몰입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남자선수는 자기목적적 체험, 무아지경, 시간감각에서 설명량이 높은 반면 여자선수는 명확한 목표설정과 통제감각에서는 설명량이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researched on 271 dance sport athletes to verify the relation between decentration and flow. Also, we studied how gender played a role in it. As a result, male athletes showed a high R-square value in autotelic experience, clear goal-setting, and the sense of control. However, female athletes showed a high R-square in selflessness and the sense of time. The result of how career experience effected the decentration on flow indicated that male athletes had a high R-square in autotelic experience, selflessness, and the sense of time. However, female athletes valued high in clear goal-setting and the sense of control.

      • KCI등재

        댄스스포츠 참여자의 자긍심과 갈등대처방식의 관계

        양은심(Eun Sim Yang),김진아(Jin A Kim) 한국사회체육학회 2014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55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esteem of participatns in dancesport as a Sport for All on conflictcopingmethods,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set. First, this study identifies the differences betweenself-esteem, and conflict-coping methods, depend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in dancesportas a Sport for All. Second,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of dancesport participantsand conflict-coping methods. Based on these research meth ods and findings, this study obtained conclusionsas below. Firstly, in relation to self-esteem depending on gender, males showed higher positive andnegative self-esteem than females. They also used conflict-coping methods than females even in conflict situations. Secondly, the subjects aged over 30 showed higher positive self-esteem than those aged less than 20,whereas the subjects below the age of 20 showed higher negative self-esteem than those over the age of 30. Also, as conflict-coping methods, ``request for outside help`` and ``avoidance`` were found more in the subjectsaged over 30 than those aged less than 20. Thirdly, in terms osfelf-esteem according to career, the subject swith over three years of work experience showed higher positiv eself-esteem than those with less than twoyears of work experience, whereas the subjects with less thanw to years of work experience showed highe rnegative self-esteem than those with over three years of work xeperience. As conflict-coping methods, ``requestfor outside help`` and ``rational response`` were found more in the subjects with over three years of workexperience than those with less than two years of work experience. However, ``avoidance`` was revealed morein the subjects with less than two years of work experience than those with over three years of work experience. Fourthly, th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conflict-coping methods displayed that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self-esteem nad negative self-esteem as variables of selfesteem,and among dependance on faith, exhibition of emotion adn behavior and avoidance as variables o fconflict-coping methods. But there was a similar positive correlation among subordinate factors except these. Fifth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how self-esteem of dancesport participants influencedconflict-coping methods. As a result, excepting ``dependance on faith``, ``request for outside help``, ``rationalresponse``, ``exhibition of emotion and behavior`` and ``avoidan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self-este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