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료분석을 통해 본 개화기(1876년~1910년) 사회복지 현상 연구

        양옥경,이방원,이방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사회과학연구논총 Vol.27 No.-

        본 연구는 개화기(1876-1910) 사회복지 사료를 수집, 분류하여 해당시기 한국사회복지역사의 현상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사료의 내용분석이었으며, 연구자료는 이 시기 대표적 관찬사료인 고순종실록, 승정원일기, 구한국관보와 민간 신문사료인 독립신문, 제국신문,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였다. 총 5,894건의 사료를 찾을 수 있었다. 분석결과 복지대상으로는 재해민, 환자, 빈민 등이 자주 나타났으며, 복지행위로는 자원연결, 법제도마련, 의료제공 등이 빈번이 나타났고, 왕실, 정부, 민간 모두 활발한 복지행위의 주체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노비, 여성등을 위한 복지 활동과 해외원조 등의 복지활동도 발견되었다. 결론적으로 개화기 사회복지의 현상은 복지대상과 주체의 다양성과 복지행위주체로서의 민간의 활발한 참여로 나타났다. 더 다양한 출처를 통해 사료수집을 확대해야하며, 정부와 민간의 활동 비교 등 다차원적인 심도 있는 분석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for an exploratory analysis on the state of social welfare during the period of 1876 to 1910. The primary sources of the historical material utilized in the study were the public chronicles, such as 'Gosoonjongsillok', and the private newspapers such as 'Doklipsinmoon. The content analysis was adopted as a research method. As a result, total of 5,894 records were found. The victims of disasters, patients, and the poor were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as welfare beneficiary. Resource linkage, legal approach, medical services were most frequently provided. Based on the results, it is possible to conclude that the characters of social welfare in this period are diversity in welfare provider and beneficiary as well as the active participation of citizens. The detailed and profound further analyses were necessary.

      •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인권과 편견

        양옥경,김충희 이화여자대학교 2004 사회과학연구논총 Vol.12 No.-

        본 연구는 그 어떤 소수약자 집단보다 차별과 편견의 그늘에서 살아온 정신장애인들에 대한 인권의식과 편견의 수준과 인권의식과 편견 간의 상관관계 수준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정신장애인의 인권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보장받아야 하는 자연권으로서 일반인의 인권과 동일한 차원에서의 인권보장이어야 한다는 명제아래 연구를 진행하였다. 인간존엄성과 관련된 보편적인 권리로서의 인권이며, 이런 맥락에서 정신장애인이 받는 편견과 차별을 극복하는 인권논의를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정신장애인을 주 대상으로 접하는 서울 ∙ 경기지역 소재 정신보건관련 기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로 정하였으며, 설문조사에 의한 연구로써 분석대상자는 114명이었다. 평균 28세로 여성이 86%였으며 대학원재학 이상의 학력이 58%를 차지하는 고학력 젊은 여성이 대상자의 주류였다. 연구결과 정신장애인에 대한 인권의식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편견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90%이상이 평균 4.5점 수준의 인권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전체 1.86점의 낮은 편견을 보여주고 있다. 일상에서 정신장애인을 접하는 기회가 많아서인지 정신장애인들과의 개인적이고 일상적인 관계에서의 편견영역도 낮은 점수를 보이고 있었으며, 공익을 위하기보다는 정신장애인의 사생활을 보호하는 것이 더 우선이라는 인권의식을 보이고 있었다. 성별이나 연령을 비롯하여 인권 및 윤리관련 교육은 인권의식과 의미있는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편견만 높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낮은 편견이 높은 인권의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는데, 특히, 이웃되기, 연애하기, 우정쌓고 관계형성하기, 동료로 일하기 등 매우 개인적이고 사적인 영역에서의 낮은 편견이 높은 인권의식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는 것은 매우 고무적인 결과로 보인다. 이는 정신장애인에 대한 편견적 사고의 타파가 정신장애인의 인권신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상을 하게 한다. 이같은 결과는 정신장애인의 인권신장을 위하여는 직접적인 인권관련 교육 뿐 아니라 자연스럽게 편견이 줄어들 수 있는 정신장애인과의 긍정적인 일상의 경험을 자주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고 하겠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the levels of human rights consciousness and social prejudice toward the mentally ill, and their correlations. Human rights of the mentally ill is a natural and basic right to be promoted as of the general population. The sample of the study was social workers who worked in the mental health related institution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Total number of the sample is 114 with average age of 28, 86% of female, and 58% of graduate school of more educated. The level age of 28, 86% of female, and 58% of graduate school or more educated. The level of human rights consciousness was high with the average point of 4.5, and more than 90% of the sample agreed the human rights statements. In the same context, the level of social prejudice was also very low with the average point of 1.86. There was no effects of any demographics or human rights or ethics education on human rights consciousness. Only correlation was found in social prejudice. It was analyzed that the experiences in everyday activity in the workplace increased the level of prejudice and that affected the human rights consciousness. The results imply that the positive and frequent everyday contacts with the mentally ill are required to reduce the level of prejudice and increase the human rights consciousness with the basis of human rights and ethics education.

      • KCI등재

        과거와 현재의 태평소 존재양상에 대한 일고찰

        양옥경 한국국악학회 2012 한국음악연구 Vol.52 No.-

        이 글은 현재 음악계뿐만 아니라 대중적으로도 매우 주목받고 있는 전통악기의 하나인 태평소가 과거 속에는 어떤 모습들로 존재했고, 현재라는 지평속에서는 또 어떤 변화된 양상을 보이며 존재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태평소 존재양상에 대한 일고찰의 결과이다. 조선조 사회에서 태평소는 주로 사회 최상위 지배층이 사는 공간과 그에 예속된 구조 속에서 정치도구화 된 악기로 볼 수 있다. 태평소 음악 역시도 ‘음악을 위한 음악’ 연주가 아닌 다분히 정치도구화 되어 ‘의례를 위한 음악’으로 존재했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비록 불교의 재의식에서 그리고 농촌의 음악문화를 대표하는 농악에 수용되어 쓰였다고 하나, 주도적인 전승형태는 정치권력에 밀접하게 연계된 공간에서 용도 분명한 음악을 연주하는 기능적․도구적 자취를 보였다는 뜻이다. 현재 태평소와 관련한 음악 현상은 전통사회에서 연주되던 그대로의 공연양식과 음악적 내용을 이어가는 연주문화가 한켠에서 진행되고 있고, 나머지 공간은 ‘태평소에 의한 태평소를 위한’ 음악적, 공연적 시도가 점차 저변을 넓혀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현재의 태평소에 대한 인식은 철저히 음악을 연주하기 위한 악기로 보며, 과거처럼 군영악대나 농악대 등의 특정한 음악 집단의 전유물로 한정하여 보지 않는다. 오히려 전문 음악인 크게 넘어서는 다양한 계층의 아마츄어 연주자들이 현실적 공간과 가상적 공간을 하나로 연결하며 ‘소통의 매개’이자 커뮤니티의 원천소스로 활용하고 있다. 또한, 의례를 위해 존재했던 것이 과거 태평소의 주류적 모습이라면 현재 태평소는 유흥적, 오락적, 말초적인 그야말로 공감각적 충족을 가져다주는 다양한 음악들에 통섭되며 공연, 향유되고 있다는 점도 눈여겨 볼 변화 양상이다. 과거로부터 현재까지의 시공에서 태평소가 보여주는 이러한 존재 양상들은 사실 ‘A와 B의 차이’가 아닌 ‘A에서 B로 이어지는 전통의 맥락과 현재성’으로 표현해야 한다. 즉, 한국음악에서 태평소는 오랜 시간동안 새로움을 거듭해 가면서 전통과 현대를 잇고 있는 악기라고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생각이다. 그리고, 이처럼 태평소가 전통과 현재를 아우르며 음악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모멘텀(momentum)은 바로 ‘아련한 고향의 아우라를 풍기는’, ‘강한 생명성이 느껴지는’, ‘선동적이고 역동적인’ 등으로 표현되는 악기 고유의 음색에 근원하고 있다고 본다. Current ‘Taepyeongso’ appears as variety names such as Swaenap, Hojeok, Gumga, Cheoljeok, Daepyeongso, Nalari in Joseon dynasty’s documentary records. The name Taepyeongso referred to the musical instrument, but more to a player such as Nagaksu, Chwirachi, and besides it had symbolic meaning to be given as royal gift. (It seems) In the traditional music society, Taepyeongso gradually transfered from the court into people and has been inherited among people. In the process, the influence of the foundation such as the Joseon Dynasty’s military system as well as music environment and culture of the day seems to be the highest. Among the military instruments of the Joseon Dynasty, Geumgo, Nabal and Nagak seems to be used with ‘signal system’, on the other hands, Taepyeongso mainly used for a royal visit, parade and inspecting honor guard. In addition, the Joseon Dynasty military music included not only Daechwita which has been transmitted today, but also included a fusion with other professional performance (Nahi, Sandae). Apart from (ancestral) ritual court music, Taepyeongso was also formed for ritual music of Gilrye, Garye, Hyungrye and Gwanye either. Consequently, Taepyeongso can be seen as an instrument experienced variety performing culture in variety music space beyond a military instrument. Phenomena associated with the current Taepyeongso music is going from one side of the culture, the only reason you play were played in a traditional society as musical performances form and content, and gradually the rest of the space for Taepyeongso Taepyeongso by musical performances attempt to basetheir skills and are being deployed. For recognition in the Taepyeongso in the current looked into thoroughly for playing music instruments, like the past, we're not limited to the monopoly of a particular music group military band or nongakdae. Real space and virtual space together and rather amateur musicians of various levels greatly exceed the professional musicians ‘medium of communication’ and a source of community as a source of leverage. Also existed for the ritual to the mainstream of the past Taepyeongso look if the current Taepyeongso entertainment, nightlife, and peripheral performance, enjoyment, and that literally brings synesthesia meet a wide variety of music and consilience in viscosity noteworthy changes of. Future, this researcher expect to discover music historical meaning as well as music cultural implication beyond a mere instrument through studying in Taepyeongso, originally played as a military instrument for these two reasons. Moreover, this researcher looks forward to seeing the stream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a consistent context as well as musical aesthetic and trend of ‘created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connection with one of traditional music from this study.

      • KCI등재

        한국인의 한(恨)과 탄력성(Resilience) : 정신보건사회사업에의 적용

        양옥경,최명민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200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1 No.-

        본 연구에서는 정신보건 영역에서 병리적으로 이해되어 온 한국인의 '한'과 강점 및 자원 중심 모델의 핵심 개념으로 대두되고 있는 탄력성(resilience)의 개념을 연결하고 분석하는 개념적 작업을 전개하였다. 여기서 탄력성과 한이 첫째는 개념의 대두 과정에서, 둘째는 구성 요소에서, 셋째는 개념 구조에서, 넷째는 결과적 산물에서,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영성(spirituality)의 측면에서 여러 가지 유사성 및 연결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이는 탄력성이라는 단어는 새로운 것일지 몰라도 그 개념과 속성은 한국인의 의식과 정서 속에 이미 존재해 왔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정신보건 분야에서 한국인의 '한'에 대한 접근은 탄력성과 관련하여 생태체계적이고, 강점 및 자원 중심적이며, 영성적 측면이 고려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러한 인식 위에서 클라이언트의 대처기제를 한 차원 더 높은 단계로 발전시키고, 화해와 용서의 가치를 실현해 갈 것을 제언하였다. 이는 '한'을 병리적 시각에 기초하여 이해하고 접근해 온 타 전문직과 차별되는 사회복지 고유의 가치 실현으로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ttempted to link and analyze the Korean native concept, Han which has been understood on the pathologic perspective in mental health area and resilience, the key concept in the strength or resource model. In this study, connectedness between resilience and Han was founded and discussed. The aspects of connectedness reviewed are, first, the processes that these concepts have been developed; second, composed concepts; third, conceptural structures; forth, the outcome of resilience and Han; and lastly fifth, spiritual aspects. Through this work, it can be inferred that the meaning of resilience has existed in Korean concept of Han. This argument may mean that the concept of resilience as the function of growing and maturing through adversities and difficulties, is not totally new to Koreans, but has existed in Korean's native consciousness and emotion. On the other hand, it can make us sure that Koreans' representative thought structure and emotion, Han can be understood not on a pathologic perspective but on a normative and healthy one. Through these works, several considerations in the field of mental health social work were suggested. It is desirable for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to take the eco-systemic approach and the strength & resource focused approach. And we must help clients develop spiritual aspects and their coping mechanisms to a broader and higher level.

      • 한국 가족정책의 현황과 분석 : 정책에 내재된 가족주의 가치관을 중심으로

        양옥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4 이화사회복지연구 Vol.5 No.-

        This study started with the questions "Is there family policy in Korean? If then. What is it?" Currently, there is no family policy per se, but in this study, major social policies covering and affecting family life directly. With this conceptualization of family policy, Korean family policy includes social insurance, public assistance, and social service policies. However, most policies cover not the family as a whole, but an individual with specific needs with a limited intervention from the government. This resulted in the family burden of care for children and elderly. Since the government intervens only when the family is incapable of offering the care, the family policy does not exit in this sense. Thu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values and contends of what is considered as family policy. The analyses were done in relation to the familism in Confucianism. The results showed that familism is vividly apparent in most family policies, especially family centered ideology and hyo (filial piety) ideology. In application of the policy, patriarchic ideology turned apparent, and child rearing and elderly care appeared to be the most important task in family. However, family violence was considered as not a family business but a social problem, and gender equality seem to be accepted as a social norm. This tells that the phenomena of family policy is related to family change in modem society that modem and traditional family values co-exist in current Korean family policy. Therefore, there should be a new direction in considering the family as a whole instead of covering an individual. This will lead the family to function as a family with family values.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가족정책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으로 시작하여, 가족정책으로 명명 된 것의 현황을 살펴보고 분석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현재 한국 사회에는 가족정책이라는 범주는 존재하지 않고 있으나, 가족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판단되는 대표적인 정책들을 가족정책의 범주라고 명명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런 개념에서 볼 때 한국의 가족정책은 사회보험, 공공부조, 그러고 사회복지서비스 정책에 가족을 포함하여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정책들이 가족 전체를 대상으로 하기보다는 가족 내외 특정 한 개인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가족이 그 성원들에 대한 보호와 부양기능을 수행할 수 없을 때에 한하여 국가가 개입하는 선가족, 후국가 책임의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가족정책은 부재한다고도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정책들의 현황을 살펴보고자 하며, 이 정책들에 내재된 가족주의 가치관을 분석하여 정책이 어떠한 기능수행을 가족으로부터 기대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분석결과, 가족정책 전반에 걸쳐서 가족중심주외와 효사상의 가족주의 가치관이 나타나고 있었으며, 정책외 적용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가부장주의적인 가족주의 가치관이 나타나고 있었고, 자녀양육과 노약자에 대한 부양외무를 가장 중요한 임무로 여기고 있었다. 그러나 남녀평등에 대한 사상과 가정폭력의 문제를 가족 내부의 문제로서가 아니라 사회문제의 한 영역으로 환원시키고 있는 근대적 가치관이 반영되고 있었다. 이러한 가족정책의 양상은 현대 사회의 가족의 변화와 관련성이 깊은 것으로서 현재 한국의 가족정책에는 가족주의를 바탕으로 한 전통적인 가족 가치관이 지배적이지만 이와 더불어 근대적인 가치관이 함께 혼재하고 있다고 하겠다. 이에 한국가족정책의 방향성에 있어서는 개인이 아닌 가족 전체를 대상으로 고려하는 가족정책의 수립이 필요하며, 하나의 단위 체계로서의 가족의 기능수행을 실질적으로 원조해줄 수 있는 정책의 마련이 필요하다.

      • KCI등재

        통일사회복지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양옥경,김학령,유가환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9 한국사회복지교육 Vol.4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irection on the development of a unification social welfare so that social workers can be fostered more systematically and effectively in preparation for the unification era. To this end, the current status of unification social welfare education at universities and social welfare sites was reviewed, and the Delphi method was conducted on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related to unification social welfa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oals and concepts of unification social welfare, the purpose and value definition of unification social welfare education, the systematization of curricula and the formation of a foundation for theories and practices, professors' qualifications and teaching methods,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development of unification social welfare curriculum. The education targets were selected in the order of social workers, graduate students, undergraduates, and the general public, and the importance of continuing education of social workers as well as education in schools was also emphasized. Based on this, this study proposed that it is needed to define the direction and the purpose of the subject, organize the education contents, clarify the conditions of professors, and train experts. 본 연구는 통일 시대를 대비함에 있어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통일사회복지사를 양성할 수 있도록 통일사회복지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과 사회복지현장의 통일사회복지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통일사회복지 관련 교육자, 연구자 및 실천가들을 대상으로 델파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통일사회복지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통일사회복지의 목표 및 개념 정의, 통일사회복지 교육의 목적과 가치 정의, 커리큘럼의 체계화 및 통일사회복지 이론과 실천의 기초마련, 교수자의 자격조건 및 교수방법, 통일사회복지 교과과정의 제도화 방안 등이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일사회복지의 교육대상으로는 사회복지사, 대학원생, 학부생, 일반인의 순으로 선택되었으며, 학교에서의 교육 뿐 아니라 실천현장에서의 보수교육에 대한 중요성도 강조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통일사회복지 방향의 정리, 통일사회복지 교육과정의 목적 규정, 통일사회복지의 교육내용 구성, 통일사회복지 교수자 조건 명료화 및 전문가 양성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북한주민의 마약 사용 및 중독:실태와 대책

        양옥경,윤여상,이관형,김성남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2018 東亞 硏究 Vol.3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ituation of illegal drug use and abuse among North Koreans and provide suggestions and strategies for South Korea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counter this issue. The survey was distributed to the 1,467 North Korean defectors during the period of 2014 through 2016 and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8 who had been actually involved in produce, distribution, and use of illegal drug. The survey findings revealed 16.5% had experienced drug use and many of them were aware that the substance they had was illegal drugs such as narcotics. The frequency of drug use was on the rise. At present, drug use in North Korea seems common and popular which anyone can access, regardless of age, gender, or other social background. In-depth interviewees revealed that many drug users have become addicted, and they were aware of the seriousness of this condition. Nonetheless, they informed that there was no treatment or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ose drug addicts in North Korea. Although those drug addicts were punished in detention centers or prisons, or even executed in public b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legal and institutional regulations are not actively enforc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oints out that North Korea needs to counteract the illegal drug use and abuse among North Korean residents including legal enforcement and professional treatment. Besides, South Korea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hould take an initiative to investigate thoroughly the current situation of drug use and abuse in North Korea for properly understanding of the gravity of this problem and seeking appropriate solutions. In the meantime,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needs to change the policy to allow the settlement support for those North Korean defectors that have drug abuse problems in the past when they were in North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주민들의 마약 사용 및 중독의 실태를 밝히고, 한국과 국제사회의 대응전략 및 과제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북한이탈주민 1,467명을 대상으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들 중 마약의 생산, 유통, 사용 등의 실제 경험이 있는 18명을 심층면접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16.5%가 마약접촉 경험이 있었으며, 이들 중 상당수가 자신들이 사용하는 물질이 마약임을 인지하고 있었고, 사용 빈도도 증가하는 추세였다. 현재 북한에서 마약은 “미물이 아닌 이상” 그 누구라도 접할 수 있는 보편적인 것이 되었다. 또한 많은 마약 사용자들이 중독의 상태에 이르고 있었고, 자신들도 이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 내에서는 실질적인 마약 중독 치료와 재활 등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북한 당국에 의한 마약 단속 시 법적 처벌로 귀결되고는 있으나, 단속 등 법적․제도적 규제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이 조속히 전문치료를 도입하고 마약퇴치에 적극 나서야 하며, 한국과 국제사회는 객관적인 실태조사를 전면 실시하여 이 문제를 정확히 이해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해야함을 제언하였다. 더불어 마약에 노출된 경험을 가진 일부 북한이탈주민들에 대해서는 한국에서 전문치료를 받고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정책전환을 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