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인성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예방을 위한 공공 관리

        양영순,곽용태 대한신경과학회 2022 대한신경과학회지 Vol.40 No.4

        CreutzfeldtJakob Disease (CJD) is a rare and a rapidly progressive, invariably fatal neurodegenerative disorder believed to be caused by an abnormal isoform of a cellular glycoprotein known as the prion protein. The disease develops in very different ways, such as sporadic, familial, and iatrogenic. Although there is no means to prevent sporadic and familial CJD outbreaks, iatrogenic CJD can be prevented since the iatrogenic transmission pathway to human is mostly identified. However, despite its public health importance, there is no practical laboratory method for diagnosing this disease in an asymptomatic stat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track the infection route one by one and act public preventive measure. However, there are no manual for prevention of iatrogenic transmission of this disease in Korea. Accordingly, this review summarizes on how to evaluate and act on surgical incidents that occurred in patients with CJD or highrisk patients. However, this is not an easy task for public health management teams as this field continues to require new scientific or specialized clinical knowledge. Therefore, a group or organization of expert panels is needed to manage and make decisions in general. Finally, this review was made with reference to the management regulations of countries with widespread exposure to CJD, including variant CJD. In other words, it is a very conservative and strict safetyoriented guideline. However, since the surveillance of diseases must take into each national medical situation and economic burden, some readjustments are necessary to the situ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 KCI등재

        남편의 은퇴준비도와 아내의 결혼만족 관계에 관한 연구 -은퇴자 아내가 인지하는 자원보존감과 스트레스 수준의 영향을 중심으로-

        양영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09 한국가족복지학 Vol.2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y some wives severely suffer from their husbands’ retirement while others enjoy a sound, successful marital relationship notwithstanding, presently where the importance of marital satisfaction after husbands’ retirement is growing as marriage life lasts longer after husbands’ retirement, and as the amount of older couples who live separately from their children grows, due to population aging. For this goal, based on the 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COR Theory) I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nt to which husbands prepare for retirement and the wives’ cognition of resources conservation (cognition of resources loss & resources gain), as well as the correlation between wives’ subsequent stress level and marital satisfacti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 Results show that wives of retirees have significantly low marital satisfaction viewing from international standards, and that their stress is particularly higher when husbands retire early. In addition,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primary variables using structural equations showed that the husband’s preparedness for retirement (independent variable) has significantly high direct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dependent variable) and indirect effect through the wife’s cognition of resources conservation as well as stress level (mediating variables). In addition, results indicated that a wife’s cognition of resources conservation partially mediated her stress level and the husband’s preparedness for retirement, while her stress level partially mediated her marital satisfaction and the husband’s preparedness for retirement. However, a wife’s cognition of resources conservation proved not to mediate her marital satisfaction and the husband’s preparedness for retirement.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사회의 도래로 은퇴 후 일정한 직업 없이 결혼생활을 지속하는 기간이 길어져 가고, 자녀들과 동거하기 보다는 별거하는 노인부부가구의 비율이 증가하면서 노년기 부부간 결혼만족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남편 은퇴 후 스트레스를 느끼며 결혼생활을 힘들어하는 아내와 긍정적인 부부관계를 확립하고 성공적인 결혼생활을 유지하는 아내가 공존하는 현상의 원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자는 자원보존이론을 배경으로 하여서 남편의 은퇴준비도와 남편 은퇴 후 아내가 인지하는 자원보존감(자원상실감 및 자원획득감)과의 관계, 그리고 그로 인한 아내의 스트레스 수준 및 결혼만족도 사이의 인과관계를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은퇴자 아내들의 결혼만족도는 국제적인 기준에서 보았을 때 매우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편이 조기퇴직을 당한 부인들의 스트레스 수준이 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구조방정식을 통한 주요변수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분석에서는 첫째, 독립변수인 남편의 은퇴준비도가 종속변수인 결혼만족도 및 매개변수인 자원보존감과 스트레스 수준에 직접적으로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서 은퇴준비의 중요성이 부각되었으며 둘째, 아내의 자원보존감은 남편의 은퇴준비도와 아내의 스트레스수준 사이에서 부분 매개역할을, 아내의 스트레스수준은 남편의 은퇴준비도와 아내의 결혼만족도 사이에서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내의 자원보존감은 남편의 은퇴준비도와 아내의 결혼만족도 사이에서는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최적 구조설계

        양영순,유원선,한상민 한국전산구조공학회 1998 전산구조공학 Vol.11 No.3

        구조설계 과정에서 설계대안을 효율적으로 생성하여 평가하면서, 특히 다목적 환경 속에서 최적구조의 위상과 부재의 치수까지 동시에 결정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설계자가 설계대안을 생성하기 위해 설계자의 경험과 노하우를 체계적으로 구축해 놓고 이를 적절한 시기에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방법으로는 인공지능 기술의 하나인 사례기반 추론 기법을 사용하였다. 이와 더불어, 설계대안들 간의 효율적인 비교와 평가를 위해서 구조물의 계층적인 면을 고려한 새로운 유전적인 표현법을 개발하였다. 여기에 기존의 유전적 표현법을 변경시켜 생긴 여분의 효과와 계층적인 특징을 가지는 Structured Genetic Algorithm(StrGA)를 변형시켜서 사례기반 추론에 의해 생성된 설계대안들을 표현하였다. 일반적인 구조설계 과정에서는 구조물을 평가하는 기준이 여러 개가 존재하므로, 모든 대안들을 동시에 최적화 하는 과정에 Multicriteria Optimization for Genetic Algorithm(MOGA)를 병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위상설계를 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여 그 유용성을 truss 설계문제에 대해 검토하였다.

      • 여성화장품 소비자의 체험마케팅이 브랜드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양영순 한국유통학회 2006 한국유통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 No.-

        오늘날 새로운 마케팅 기법으로서 고객중심적인 체험마케팅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여성화장품 소비자의 체험마케팅이 브랜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수행하였으며 설문조사는 국내 한 화장품회사의 체험행사에 참여한 여성으로 하였다. 설문은 체험마케팅 참여 전과 후로 나누어 두 차례 동일한 상대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연구결과 첫째, 체험마케팅 행사 참여 후 브랜드인지도의 향상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체험마케팅 행사 참여 후 브랜드 신뢰도도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험마케팅 행사 참여 후 브랜드충성도도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고 넷째, 체험마케팅 행사 참여 후 브랜드이미지도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냐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의 브랜드 인식을 향상하는데 있어 체험마케팅의 효과가 입증되었다.

      • KCI등재

        자이나교의 일체지자(一切知者, sarvajña) 명상__고전 명상에서 탄트라적 변용에 이르기까지__

        양영순 인도철학회 2019 印度哲學 Vol.0 No.57

        Generally schools of Indian religion and philosophy describe the spiritual completion of human beings who have achieved mokṣa with a term sarvajña(omniscient). Among them, the Jains who are atheist and observant of the tradition of practice, call their founder Mahāvīra with this term. This paper studies meditation of omniscient in Jain practice system. The scope of this concept is wide and complicated, but can be explained with three criteria; 1) meditation which causes omniscience to a person, 2) meditation performed by an omniscient, and 3)meditation towards omniscient. With these criteria, the meditation of omniscient in Jainism is sell represented in the Yogaśāstra and auto-commentary (Svopajñavṛtti) on it by Hemacandra (12th c. CE). This text refers to traditional Pure meditation(Śukla-dhyāna) and Tantric meditation (Rūpastharūpavarjita-dhyāna). Both of them are varieties of omniscientʼs meditation, and the auto-commentary repeatedly explains the former as meditation by an omniscient and the latter as meditation toward form and nature of omniscient. The Yogaśāstra is combination of traditional theory of practice with Tantric yoga. With this text we can see how Jain meditation system changed under the influence of Tantrism. The chapter two of this paper explores the concept of omniscient and omniscience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omniscient and practice system in Jainism. Chapters three and four will examine the traditional Śukla meditation and Rūpastharūpavarjita meditation, which corresponds to orthodox omniscient meditation and unorthodox one respectively. In chapter five, we will compare two kinds of omniscient meditations. The Śukla meditation consists of four stages and when its second stage is completed an omniscience occurs to a yogi. The following third and four stages are practiced by the omniscient. During these stages the characteristics of Jain meditation in pursuit of nirbīja-samādhi clearly manifest themselves. On the other hand, Rūpastharūpavarjita meditation do not reflect traditional practice theory. This Tantric meditation accommodates the Tantric yoga system. and here Jain omniscient or Jina is placed as an object of meditation. Therefore, this Tantric meditation on omniscient can be assessed to be inconsistent with traditional Jain theory of meditation. 인도 제 학파는 일반적으로 인간의 일체지 획득 가능성을 긍정하며, 일체지를 완전한 존재성인 해탈의 인식 상태로 기술한다. 그 가운데 무신론의 자력 수행 전통에 있는 자이나교는 해탈자를 곧 일체지자(sarvajña)로 일컬으며, 교의와 수행의 중심점에 두고 있다. 본 논문은 자이나 수행론의 지향점으로 기능하는 일체지(자)와 관련된 명상을 연구하기 위해 ‘일체지자 명상’이라는 용어와 개념을 제시한다. 1) 직접적으로 일체지자로 이끄는 명상 2) 일체지자의 명상 3) 일체지자를 대상으로 하는 명상이라는 3가지 기준에 따라 전통적 순수명상과 후대 탄트라적 명상인 루파스타-루파바르지타 명상을 분석하여 비고 고찰한다. 12C 헤마찬드라의 Yogaśastra와 Svopajñavṛtti(自註)는 전통적 수행과 탄트라化된 명상을 망라한 수행논서이므로 이를 기반으로 연구한다. 본고 Ⅱ장에서는 우선 일체지(자) 개념과 일체지를 추구하는 자이나 수행과 명상론을 살펴보고, Ⅲ장과 Ⅳ장에서 각각 전통과 비전통의 일체지자 명상에 해당하는 순수명상과 루파스타-루파바르지타 명상을 고찰하여, Ⅴ장에서 자이나 전통적 명상과 비전통적 요소의 혼재와 변형에 관해 비교 고찰할 것이다. 순수명상은 2단계의 완성에서 일체지가 현현하고, 3-4단계에서는 일체지자가 행하는 무여열반(無餘涅槃)의 기법을 극명히 보여준다. 이 단계에서는 물질적 업(業)의 지멸을 통해 무종자 삼매를 완전히 실현한다. 한편 당대 탄트라 명상 체계의 틀에 명상의 대상으로 자이나 일체지자(지나)를 배치한 루파스타-루파바르지타 명상에는 무종자 삼매 단계가 없다. 이렇게 탄트라化된 일체지자 명상은 전통적 명상론과 내적으로는 비정합적이지만, 엄격하고 엘리트적인 전통 명상이 탄트라化 되면서 대중화되어 개방되어갔다는 의의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