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82년 솔제니친의 일본 방문과 일본의 솔제니친 수용 : 반공, 일본 공산당과 역사 인식

        양아람(Yang, Ahlam)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2021 亞細亞硏究 Vol.64 No.4

        이 글은 소련의 반체제 지식인이자 유명 작가인 솔제니친의 1982년 일본 방문과 일본의 번역 수용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일본에서는 솔제니친을 반체제작가, 반공 작가, 수용소 작가, 지식인 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일본 미디어는 솔제니친과 관련해 1969년(작가동맹 제명), 1970년(노벨문학상 수상), 1974년(솔제니친 강제추방)에 가장 많이 다루었다. 특히 일본인은 솔제니친 추방 사건에서 일본 공산당 반응을 주목했다. 솔제니친의 방일은 그의 수용소 문학뿐만 아니라 일본 인식을 고찰할 수 있는 장(場)이었다. 솔제니친은 일본에서 공산주의 체제를 비판했고 일본의 반성 없는 역사인식과 검정 교과서 왜곡을 지적했다. 그의 방일은 수용소 문학의 수용이면서 일본인이 전후, 냉전, 과거 역사와 사죄 문제를 다시 한 번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 요컨대 이 글은 일본의 솔제니친 초청을 통한 문화교류, 일본의 솔제니친 수용의 문화사적 의미를 다층적으로 구명(究明)하는 번역문화사연구이다. This article seeks to examine the socio-cultural significance of Soviet dissident intellectual and famous writer Solzhenitsyn’s visit to Japan in 1982 and Japanese translation acceptance. Solzhenitsyn was recognized as a anti-communist, anti-communist, camp writer, and intellectual in Japan. Japanese media covered Solzhenitsyn the most in 1969 (the expulsion of the Writers’ Alliance), 1970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and 1974 (the deportation of Solzhenitsyn. In particular, the Japanese paid attention to the reaction of the Japanese Communist Party in the deportation of Solzhenitsyn. Solzhenitsyn’s visit to Japan was a place to examine not only his camp literature but also Japanese perception. Solzhenitsyn criticized the communist system in Japan and pointed out Japan’s perception of history without reflection and distortion of authorized textbooks. His visit to Japan was an acceptance of camp literature and an opportunity for the Japanese to look back on the postwar, Cold War, past history and apology issues. In short,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history of translation and culture that examines the cultural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Japan’s acceptance of Solzhenitsyn through the invitation of Solzhenitsyn.

      • KCI등재

        1950년대 초중반 정치적 재난, 헌법정치, 유토피아, 국가 : 이관(이종극), 『무한풍차』

        이행선 ( Lee Haengseon ),양아람 ( Yang Ahlam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16 기억과 전망 Vol.0 No.35

        한국전쟁이 발발하고 1년여가 지나면서 국가체제의 정비와 재건을 위한 사회성원의 목소리가 커져갔다. 혼란스러운 시국에 국민은 비상계엄 및 경비계엄을 경험하며 전시체제를 견뎌내고 있었고, 지식엘리트는 새로운 국가를 상상해야 했다. 정부 수립과 함께 국가조직을 체계화하는 작업에 참여해왔던 이들은 전쟁이라는 비상사태와 부산 정치파동 등을 통해 국가시스템이 오작동하는 국면을 목도했다. 이는 일련의 정치적 재난이었다. 전쟁은 핵심 권력기관인 `정부-국회-법원-검찰`의 권력 투쟁과 조정 능력을 시험대에 올려놓았다. 헌법학, 정치학, 행정학 등을 연구하는 학자는 현실 정치를 새롭게 이해해야 했는데, 특히 헌법학자는 헌법 및 법률과 현실 정치의 괴리를 진단하고 수정할 의무가 있었다. 이들은 민주주의적 헌법을 만들어놓았음에도 독재정치가 행해지는 수수께끼 같은 상황에 대해 고민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 글은 그들중에서도 법학자 이종극(1907~1988)에 주목했다. 당시 법체계를 선진화해야 한다는 신념에서 활발한 저술활동을 한 그는, 법 지식의 대중화에도 큰 관심을 두었다. 법 지식과 준법의식의 부족은 사회 문란의 주요 원인이었다. 아직 식민지 시대의법 관념을 버리지 못한 사람들에게 법치주의를 인식시키고 전제정치에서 벗어나 국민의 정치가 가능하도록 새로운 법 관념을 주입할 사명이 법학자에게 있었다. 하지만 법에 무관심한 국민에게 법을 대중화하는 데 난해한 법학서만으로는 한계가 있었다. 그는 책이란 일반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는 신념을 갖고 있었다. 그래서 이종극이 1952~1953년경 부산에서 소설을 통한 계몽을 시도한 작품이 『무한풍차』(1954)라는 장편소설이었다. 이 글은 이종극의 계몽소설을 통해 당대한 공법학자가 구상한 국가와 정치, 사회를 고찰해보고자 했다. The voice of social support for the maintenance and reconstruction of the state system got bigger and bigger, a year after the outbreak of Korean war. In the chaotic country people were experiencing extraordinary martial law. Precautionary martial law was designed to withstand a display system, elites had to imagine a new country. People involved in the work of organizing a national organization with a government saw the establishment phase of a national system malfunction through the Busan political wave of war and emergency. This is a series of political disaster. The war was tested the power struggle and coordination of the Government - Prosecutors - Parliament - Court, so called core power. Scholars who study constitutional study, political science, science of public administration had to understand the new political reality, especially a scholar of constitutional study was obliged to diagnose and correct the discrepancy between the constitution and the law, and political realities. They could not help but think about the situation which is made the dictatorship messes created a democratic constitutional conundrum. Among them, this article noted a scholar of constitutional study, Jonggeuk, Lee(1907-1988). He showed an active writing on the belief that the legal system should be advanced at that time. Also, he put great attention to the popularization of legal knowledge. The lack of legal knowledge and compliance awareness was the main cause of social disorder. A scholar of constitutional study had obligation that people who abandon the colonial era had to be recognized the rule of law and mission to inject new ideas of law to be free from political tyranny of the people. But there was a limit to popularize people who were indifferent to national law book alone. He had a conviction that book should be easily understandable in public. So jonggeuk, Lee attempted to enlighten through a novel in Busan in 1952-1953. It was a novel called Endless Windmills(1954). This article is reconsidered through enlightenment novel that jonggeuk, Lee, a contemporary one scholar of constitutional study wrote national politics.

      • KCI등재

        루이제 린저의 수용과 한국사회의 `생의 한가운데` - 신여성, 인생론, 세계여성의 해(1975), 북한바로알기운동(1988)

        이행선 ( Lee Haengseon ),양아람 ( Yang Ahlam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 民族文化硏究 Vol.73 No.-

        이 논문은 전후 서독 최고의 작가로 꼽히는 루이제 린저(1911-2002)의 소설, 산문, 남북한 방문기 등을 통해 린저의 문학·문화적 영향과 통시적 수용사를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흔히 『생의 한가운데』(1950)로 널리 알려진 루이제 린저에 대한 한국사회의 관심은 오래되었다. 1961년 전혜린이 린저의 작품을 최초로 번역 소개한 이래 루이제 린저는 한국에서 1960년대에는 신여성을 대변하는 작가, 1970년대는 서독 최고의 산문작가이자 기독교적 사회주의자였고, 1980년대 중후반부터 대표적 친북 지식인으로 인식되었다. 이상과 같이 루이제 린저와 한국의 관계는 1961년부터 1994년경까지 문학·문화뿐만 아니라 정치적으로도 상당했다. 그녀가 한국인과 상호작용한 맥락이 구명(究明)될 필요가 있다. 루이제 린저의 소설 제목이 보여주듯 그녀의 소설과 산문은 `한국에서 산다는 게 무엇인지, 또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끊임없이 환기했다. 요컨대 이 글은 루이제 린저의 통시적 수용사를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독서문화사 연구의 기획이다.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Luise Rinser who is regarded as the best post-war West German.(1911-2002)`s literature and cultural influence and the diachronic adopting history through Luise Rinser`s the novel, prose, both the essay for visitation in Korea. South Korea`s interest for Luise Rinser commonly known as the center of Saint 『Mitte Des Lebens』(1950) was long. Since its first introduction in 1961 Heyrin-Jeon`s the translation of the works of 『Mitte Des Lebens』, Luise Rinser was in the 1960s in Korea, representing the New Woman writer, 1970s was a best prose writer and Christian Socialists in West, Since mid-to-late 1980s, she was recognized as representative pro-North Korea intellectuals. Luise Rinser over the relationship with South Korea from 1961 until around 1994 was also considerable as literary, cultural and political. Luise Rinser`s Korean interact with the context should be investigated from 1961 until around 1994. Luise Rinser novels, as demonstrated by the title of her novels and prose were constantly ventilated, what you like to live in South Korea, whether and how to live. In short, this article is a reading plan of cultural history research, diachronic adopting history, understanding of Luise Rinser.

      • KCI등재

        1960년대 초중반 미·일 베스트셀러 전쟁문학의 수용과 월경하는 전쟁 기억, 재난·휴머니즘과 전쟁책임 노먼 메일러 『나자와 사자』와 고미카와 준페이 『인간의 조건』

        이행선 ( Lee Haengseon ),양아람 ( Yang Ahlam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17 기억과 전망 Vol.0 No.36

        이 글은 한국에서 번역되어 1960년대 초중반 베스트셀러가 된 미, 일 전쟁문학 노먼 메일러(Norman Kingsley Mailer)의 『나자와 사자(The Naked and The Dead)』(1948)와 고미카와 준페이(五味川純平)의 『인간의 조건(人間の條件)』(1956)의 수용사를 고찰하고자 한다. 당시 두 작품은 모두 제2차 세계대전의 전장을 다룬 최고의 전쟁문학으로 꼽혔다. 이 두 작품은 한국에서 순서를 바꿔 1960년 일본의 『인간의 조건』, 1962년 미국의 『나자와 사자』가 번역 소개되었다. 두 작품 모두 영화로도 제작돼 상영됐고 1960년대 초중반 한국에서 대표적인 전쟁문학으로 인기를 얻으며 베스트셀러가 됐다. 전쟁소설은 해당 국가의 입장에서는 자국의 문학에 속하지만 전쟁은 가해자와 피해자를 동반한다는 점에서 일국사일 수 없는 전쟁재현이자 기억이다. 망각된 기억의 소설적 귀환은 누군가에게 `기억의 폭력`이자 상처이며 민족감정을 자극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소설의 전쟁인식은 관련 국가와 관계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문화교류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는 지점이기도 하다. 국가 간 협상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국경을 넘기 시작한 전쟁문학의 전쟁 기억과 전쟁체험은 국민의 역사의식과 민족감정을 확인하고 좌우하는 지점이었다. 따라서 두 소설이 함의한 전쟁인식과 전쟁 책임 및 역사인식의 실상과 그것이 한국인에게 미친 영향을 가늠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This article will review adoption history about Norman Mailer`s The Naked and The Dead(1948) and Junpei Gomikawa`s Condition of Humanity(1956) transtlated in Korea and which became the best seller in the early and mid 1960s. Both of these works were considered to be the best war literature ranging over on the battlefield of World War II. The order of the introduction of these two works was changed in Korea. Condition of Humanity In 1960 and The Naked and The Dead in 1962 were translated and introduced. Both were produced into films and screened. They became popular as a representative war literature in Korea in the early and mid 1960s and became a bestseller. But War fiction belongs to the literature of its own country, War is the recreation and memory of a war that can not be a national affair because it is accompanied by the assailants and the victims. The fictional return of a forgotten memory is a "violence of memory" and It stimulates ethnic feelings. On the other hand, the perception of war in novels is also a place where we can discover the possibility of cultural exchange to improve relations with related countries. The war memories and experiences of the war literature that crossed the border in the situation of negotiations between the nations were the points to confirm and to influence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national feeling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work on the recognition of the war implied by the two novels, the reality of war responsibility and historical awareness, and the impact on the Korean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