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성적 자극에 대한 노출이 공격 행동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양동옥(Yang Dong-ouk),윤가현(Youn Gahyun)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7 사회연구 Vol.- No.14

        이 연구는 성적 자극과 공격 행동 경향성간의 관련성을 확인하는 실험이었다. 이를 위해 포르노 동영상이 성적 자극으로 이용되었으며, 공격 행동 경향성은 다트 던지기 과제를 통해 측정되었다. 남녀 대학생 112명을 무선적으로 실험 집단(포르노 자극)이나 비교 집단(중립 자극)에 할당시킨 후 자극 노출에 따른 공격 행동 경향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남녀 모두 중립 자극보다도 포르노 자극에 노출될 경우 공격 행동 경향성이 더 증가하였다. 또한 공격 행동 경향성에서 성차를 보였는데, 포르노 자극에 노출될 경우 공격 행동의 목표물로 남성은 여성보다 여자의 얼굴 사진을 더 많이 선택한 반면, 여성은 남성보다 남자의 얼굴 사진을 더 많이 선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at exposure to sexual stimuli might act as an influence on laboratory aggressive behavioral tendency. A pornography video excerpt was utilized as sexual stimulus, and aggressive behavioral tendency was assessed through the dart throwing task. Participants were 112 college students(56 men & 56 women), and randomly assigned into either experimental group(sexual stimulus) and comparative group(neutral stimulus). Both genders showed higher aggressive behavioral tendency after exposing to the pornography stimulus than to the neutral stimulus. For the male participants, they selected more faces of female targets than those of male targets in the sexual stimulus condition while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faces chosen as targets for the neutral condition. For the female participants, they selected more faces of male targets than those of female targets in the sexual stimulus condition while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faces chosen as targets in the neutral condition.

      • KCI등재

        대학생들의 ‘썸 문화’에서 나타나는 전략적 선택과 양가적 행위성

        양동옥(Yang, Dong-ouk),김경례(Kim, Gyoung-Rae)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7 젠더와 문화 Vol.10 No.1

        ‘썸 문화’는 연애를 포기당한 세대의 어쩔 수 없는 선택이거나 이기적이며 책임감 없는 관계 맺음을 나타내는 현상으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청년들의 썸은 사랑과 연애 문화를 주체적으로 만들어가는 전략적 협상과 실험의 과정이기도 했다. 이 글은 대학생들의 썸의 행위성에 초점을 맞춰 썸의 진행 과정, 관계 맺기의 특성과 의미를 탐색했다. 썸의 과정에는 썸을 빨리 끝내고 연인관계로 나아가거나 아니면 관계를 단절하려는 욕망이 강하게 나타났다. 썸의 관계 맺기는 깊은 성적 친밀감을 나누기 전에 상대를 걸러 내려는 것과 썸 행위를 긍정적인 능력으로 평가함으로써 전통적 젠더 규범에 균열을 내는 특성을 보였다. 더구나 썸은 관계의 지속성을 전제하지 않기에 관계 맺기와 단절이 용이하지만, 관계의 불확실성 때문에 서로 책임을 다하지 않았다. 썸은 사랑과 연애에 대한 전통적 젠더 규범 내에서 상대적으로 불리한 여성들에게 전략적인 ‘안전장치’로 기능하기도 하며, 연애와 결혼을 유예당하고 있는 청년 세대에게 연애와 유사한 설렘과 친밀감을 공유하는 장이 되기도 했다. The ‘some culture’ has been regarded either as an unavoidable choice by the generation who were forced to give up their love life under uncertain and unstable social-economic conditions, or as a negative social phenomenon that is suggestive of selfish and irresponsible relationship formatio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ome culture’ among youngsters through a strategic negotiation and experimentation process, demonstrating that the generation members create their love and romance culture independently, although ‘some’ is sometimes influenced by a complex social geography and standardized norms regarding love and romance. ‘Some’ describes a process in which a man and a woman start to be fond of each other and explore and examine the possibilities. Both romance and anxiety coexist in this process. Under these conflicting emotions, the participants tend to desire either to end the ‘some’ relationship quickly and develop a romantic relationship, or to break the connection off. ‘Some’ sometimes serves as strategic ‘safety device’ for females who find themselves in a relatively unfavorable position within the traditional gender norms regarding love and romance, while at other times it offers a means of sharing romance and intimacy resembling love among members of the younger generation who are forced to postpone their romance and marriage.

      • KCI등재

        중년 여성들의 오디션 출신 스타에 대한 팬덤 연구

        김송희(Song-Hee Kim),양동옥(Dong-Ouk Yang)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미디어, 젠더 & 문화 Vol.25 No.-

        최근 나이와 성별, 국경의 제약을 허물고 있는 대중문화 팬덤 현상은 ‘이모팬’으로 불리는 중년 여성들의 팬 활동에서 두드러진다. 본 연구는 새로운 문화 주체 세력으로 부상한 중년 여성 팬들이 오디션 출신 스타를 대상으로 한 자신들의 팬덤 활동을 어떠한 방식으로 구별짓고 다양한 실천 양식을 구현하고 있으며, 그로 인한 변화상은 무엇인지를 사회적 맥락과 연결해 비판적으로 탐색해 보았다. 온라인 팬덤의 참여 관찰, 심층 인터뷰, 게시판 분석 등의 질적 방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중년 여성팬들은 나이와 성별을 의식해 자신들의 팬덤을 ‘스타 뒷바라지’로 차별화하면서 정신적, 물질적 서포터 역할에 주력하고 있었다. 이러한 서포트는 자신들이 선택한 오디션 출연자를 스타로 키워 내기 위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것으로 시간과 경제력 활용, 친화감 조성, 선물 주고받기 등의 전략으로 나이 어린 팬들과는 차별화된 그들만의 서포트를 의식적으로 행하고 있었다. 여기에는 팬 활동의 인정받기, 문화 권력의 유지, 성애적 욕망 등이 감춰져 있었고 가정생활과 가족 관계가 새롭게 재편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었다. 하지만 중년 여성들의 팬덤 활동에는 그들의 생산적 문화실천을 규제하는 사회구조적, 문화산업적 지배 논리가 작동하고 있음을 포착할 수 있었고 건강한 팬덤문화의 향유와 적극적인 문화실천의 필요성이 요청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middle-aged female fans of a reality competition TV star distinguish their fandom and fan activities from those of other fans and how their fandom affects their life style and family relationship. Using participant observation of their online fandom, content analysis of the bulletin board and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describes that middle-aged female fans concentrate on their role as mental and material ‘supporters’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young female fans. They implemented various strategies to make their chosen star to be a famous star by their supports, which are to spend their time and money, to form friendship and to exchange gifts with fans. Their fan activities cunningly concealed their hidden desires for recognition from the star and other fans, maintenance of culture power within online fan community and sexual desire for the star. Also their fandom brought the changes of their life style and family relationship. However, the fandom activities of these middle-aged women were influenced by the dominant logic of social structure and cultural industry, which regulates their cultural practices.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the enjoyment of fandom and positive cultural practices for them.

      • KCI등재

        외도에 대한 질투 및 죄책감에서의 성차

        고원경(Wonkyong Ko),양동옥(Dong-ouk Yang),윤가현(Gahyun Youn)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사회과학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evolutionary perspective with sociocultural perspective about gender differences in jealousy and guilt to infidelity. According to the evolutionary perspectives of explaining gender differences in jealousy triggered by imaging his or her mate's infidelity, in general, a man is more distressed by imaging sexual infidelity committed by his female mate than emotional infidelity whereas a woman shows the opposite pattern. However, followers of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 have argued that the gender differences might be resulted from the forced-choice methodology. The present study with two different measurement methods (forced-choice and Likert-type scale) was to confirm individual differences in jealousy towards infidelity as well as guilty feeling of infidelity as a function of gender, age, infidelity type, and dear description of infidelity situation. Questions of jealousy and guilt were given to 379 unmarried (188 males, 191 females) and 281 married (132 males, 149 females) participants. As expected, the individual differences were found in jealousy strongly but in guilt slightly.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evolutionary psych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