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총리의 중국 및 중일관계 인식변화(1990-2014)

        양기웅(Kiwoong Yang),안정화(Jeoung-Hwa An)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16 국제정치연구 Vol.19 No.2

        This paper investigates how Japanese Prime Ministers has changed their recognition of China and China-Japan rela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General Policy Speeches since the end of cold war. In conclusion, more negative perceptions toward China and China-Japan relations has emerged in the speeches since the mid-1990s. A mixed image of cooperative and hegemonic China is prevailing in the speeches since the late 2000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사할린 한인 귀환 이주와 NGO의 초국경적 역할

        강정하(Jungha Kang),양기웅(Kiwoong Yang)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21 동유럽발칸연구 Vol.45 No.3

        본 논문의 목적은 ‘사할린 한인 귀환’ 문제에 있어 1950년대부터 결성되어 1990년대 여러 촉구 활동을 한 NGO의 역할이 확대되는 과정을 살펴보는데 있다. 사할린 한인 귀환 문제는 70~80년대의 NGO들의 활발한 요구와 촉구 활동으로 90년대 들어와 빠른 진전을 보인 점에 주목하며 NGO들의 결성 및 활동의 운동 역량과 귀환 문제가 각 정부를 공동의 협상의제로 부상한 정치적 기회의 연관성을 분석한다. 분석의 틀로는 김선미가 제시한 ‘시민운동의 정책적 영향력 분석모델’을 이용하고자 한다. 이 분석모델은 ‘정치적 기회’와 ‘운동 역량’이라는 두 변수를 축으로 이 두 변수의 조합이 정책적으로 어떠한 결과 가져오는가를 분석할 수 있는 틀로서 본 논문에서는 시민운동 결과와 정책적 영향력을 네 가지 유형(1. 완전수용, 2. 타협적 수용, 3. 배타적 수용, 4. 완전배제)으로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위 분석모델의 틀 안에서 사할린 한인 문제가 본국으로의 귀환이라는 결과에 이르기까지 NGO의 역할이 확대되어가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 번째로는 사할린 한인 귀환 문제에 대한 NGO들의 역할을 보면, 초기의 이들의 요구와 주장은 4번 유형(완전배제)으로 정책에서 ‘완전 배제’되어 있는 상태에 있다가 3번 유형(배타적 수용)으로 배타적으로 수용되기 시작하여 제한적으로 수용되었다. 이후 ‘한-일 적십자사’와 ‘의원간담회’의 본격적이고 실질적인 활동으로 옮겨가면서 정부 간의 협상을 이끌어 내어 1번 유형(완전수용)으로 NGO들의 요구가 정책에 완전수용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두 번째로는 이러한 사할린 한인 문제에 있어 NGO들의 역할에 의한 정책의 변화는 NGO만의 힘이 아니라 국제 정세의 변화와 같은 정치적 기회의 확대와 운동 역량의 강화가 동시에 작용한 결과로서 정부 간의 새로운 협상을 이끌어냈다는 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role of NGOs, which were formed in the 1950s and carried out various urging activities in the 1990s, in the issue of ‘Repatriation of Koreans to Sakhalin’.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despite the vigorous demands and urging of NGOs in the 1970s and 1980s, the issue of the repatriation of Koreans to Sakhalin made rapid progress from the 1990s, the movement capacity of NGOs and their activities and the issue of repatriation were shared by each government. Analyze the relevance of political opportunities that have emerged as the negotiating agenda. As a framework for the analysis, we intend to use the ‘Policy Impact Analysis Model of Citizen Movements’ presented by Kim Sunmi. This analysis model is a framework that can analyze the policy results of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variables, centered on two variables, ‘ political opportunity’ and ‘exercise capacity’, and is a framework for analyzing the results of civic movement and policy influence into four types (1. Complete acceptance, 2. Compromise acceptance, 3. Exclusive acceptance, 4. Complete exclusion). In this study, within the framework of the above analysis model,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role of NGOs until the result of the Sakhalin Korean issue returning to their home country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looking at the role of NGOs in the issue of the return of Koreans to Sakhalin, their demands and arguments in the early stage were Type 4, in a state of being ‘completely excluded’ from the policy, and then being exclusively accepted as Type 3. started with limited acceptance. Since then, it can be seen that the demands of the Type 1 NGOs were fully accepted in the policy as they moved to the full-scale and practical activities of the ‘Korea-Japan Red Cross’ and the ‘Meetings of Parliamentarians’, leading to negotiations between the governments. Second, it was derived that the policy change due to the role of NGOs in this Sakhalin Korean issue led to negotiations between the new governments as a result of the simultaneous action of expansion of political opportunities and strengthening of exercise capacity, not just the power of NGOs.

      • KCI등재

        유네스코 유산 공동 등재를 둘러싼 한일 간의 협력에 관한 사례 연구

        안정화 ( Jeounghwa An ),양기웅 ( Kiwoong Y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에서는 양면게임이론을 통하여 ‘조선통신사 기록물’과 ‘해녀문화’ 사례를 비교함으로써 유네스코 유산 한일 공동 등재의 성공과 실패의 조건을 분석하였다. 윈셋의 크기가 크면 국제적 합의 가능성은 높아진다. 이 사례에서는 사안의 정치화, 비준자의 숫자, 사안 연계, 비준절차 등의 변수가 윈셋의 크기에 영향을 미쳤다. 한국과 일본은 윈셋의 확대는 국제적 합의 가능성을 높여 주기 때문에 국내적 윈셋의 크기를 확대함으로써 조선통신사 기록물을 공동으로 등재하는데 성공하였다. 이에 반해 해녀문화의 공동 등재는 여러 가지 변수의 영향으로 일본 측 윈셋이 축소됨으로써 한일 간 합의에 실패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한일관계 복원을 위해서 협력 성공(혹은 실패)의 조건과 민간과 지방주도 협력의 중요성을 제시한다. In this study, the conditions of success and failure of joint registration of UNESCO heritage between Korea and Japan were analyzed by comparing the cases of ‘Documents on Joseon Tongsinsa’ and ‘Culture of Jeju Haenyeo’ through two-level game theory. The larger the win-set, the greater the likelihood of an international agreement. In this case, variables such as the politicization of the issue, the number of ratifiers, the linkage of the issues, and the ratification procedure affected the size of the win-set. Korea and Japan succeeded in jointly registering the records of the Chosun Tongsinsa by expanding the size of the domestic win-set because the expansion of the win-set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an international agreement.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that the joint registration of the Haenyeo culture failed to reach an agreement between Korea and Japan as the Japan’s win-set was reduced due to the influence of various variables. This study suggests the conditions for success (or failure) of cooperation and the importance of private and local-led cooperation for the restoration of Korea-Japan re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