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캐릭터 관련 성격유형에 따른 연상색 연구 -초등학교 3,4학년을 중심으로-

        안희숙 ( Hee Sook Ahn ),최유미 ( Yoo Mi Choi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4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3 No.5

        세계적으로 캐릭터 산업은 문화 콘텐츠 산업과 그 맥을 같이 하면서 현대 마케팅의 촉진수단으로써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캐릭터를 제작함에 있어 디자인에 못지않게 직관적 기능을 가지고 있는 색채 또한 캐릭터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및 문화 콘텐츠 제작에 사용될 캐릭터들의 색채가 아동에게 얼마나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아동들이 캐릭터의 성격유형에 따라 연상되는 색과 톤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첫째, 성격유형에 따른 8개의 긍정적형용사와 8개의 부정적 형용사를 제시하여 그에 따른 피험자들의 연상색(색상과 톤의 연상색채)을 분석하였다. 둘째, 선행연구를 토대로 한 남녀 아동이 선호색이 파란색이었음을 감안할 때 아동들의 선호색과 연상색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아동들은 형태뿐만 아니라 색상과 톤을 통해 캐릭터의 성격을 연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연구는 캐릭터 제작 과정에 있어 그 용도에 맞추어 색채 적용에 참고할 수 있는 연구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character industry is closely related with the cultural contentsindustry and its importance as the modern marketing promotion tool is continuously rising. The color serves intuitive function as intensively as the design in creating a character and is also considered as one of important elements of the character. This study probed into the hue and tone that children associate with the personality type of the character in order to determine how strongly the colors of characters that will be used to make animation and cultural contents would affect children. First, 8 positive adjectives and 8 negative adjectives were presented based on personality types to analyze the associative colors (associative color of hue and tone) of the subjects accordingly. Second, the difference between preferred colors and associative colors was confirmed considering that both male and female children preferred blue in previous studies. Third, children associated the hue and tone in addition to the form of the character with the personality of the character.Based on said results, this study intended to suggest a reference that can be used in applying colors according to their use in the character making process.

      • KCI등재

        조선 후반기 관경변상도의 보수(寶樹) 표현 연구

        안희숙 ( Ahn Hee-sook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7 강좌미술사 Vol.48 No.-

        조선 후반기 관경변상도는 관경십육관변상도 중에서 아미타불 설법회 장면과 구품왕생을 중심으로 극락세계를 도해한 것이다. 화면에는 의보 장엄인 연못, 연꽃, 꽃비, 보수(寶樹), 미풍, 극락새, 황금대지(黃金大地), 누각과 정보 장엄인 아미타불과 성중, 왕생자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의보 장엄의 중요 도상 가운데 하나인 보수는 누각(樓閣), 보화(寶花), 영락(瓔珞), 리본, 악기, 천개(天蓋), 광명(光明), 일곱 겹 나망(羅網) 등으로 장식되어 있다. 이러한 보수는 모든 불화에 등장하지 않으며, 주로 변상도류의 불화에 나타난다. 관경변상도에 표현된 보수는 아미타불이 등정각을 이룬 보리수와 은나무, 금나무, 유리나무, 파려나무, 산호나무, 마노나무, 자거나무인 칠보의 나무 등이 있다. 보리수는 무불상 시대에 깨달음을 의미하는 불타의 상징물로 인식되었으며, 이후 부처의 광배 뒤에 묘사되어 배경으로 다루어졌다. 돈황의 당대 관경변상도에서는 쌍수(雙樹)로 주로 표현되고 있으며, 서하와 남송대에는 쌍수의 표현이 사라진다. 고려 시대의 관경변상도에서도 서하 남송대의 영향을 받아 본존의 좌우에 도안화된 중층보수가 좌우에 대칭으로 배치된다. 조선 후반기의 보수는 전통적인 중층 보수를 계승한 것과 회화적으로 표현한 유형으로 나타난다. 전통적인 보수는 隣松寺藏 관경십육관변상도(1323), 知恩院藏 관경십육관변상도(1323)(삽도 1), 西福寺藏 관경십육관변상도(고려)등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조선후반기에는 중앙에 영락과 만개한 꽃문양을 중심으로 나뭇잎이 여러 겹 중첩되어 정연하게 늘어져 있으며, 이들이 단계적으로 층을 이루고 있다. 이는 은해사 왕생첩경도(1750), 동화사 염불암 극락구품도(1841), 표충사 극락구품도(1882) 등에서 볼 수 있다. 회화적으로 표현한 보수는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Ⅱ-① 형식은 전통적인 원뿔 모양의 중층 구조로 된 보수 형식을 변형한 것으로 현실 세계의 나무를 간략하게 도안화한 것이다. 운문사 극락구품도(1883), 법륜사 극락구품도(1898), 은해사 묘봉암 극락구품도(1898)등이 있다. 둘째 Ⅱ-②형식은 회화적으로 표현한 보수의 유형으로 흥국사 극락구품도(1860), 위봉사 태조암 극락구품도(1868), 태조암 극락구품도(1879), 흥천사 극락구품도(1885) 등이 있다. 이같이 조선 후반기에는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나무가 보수 도상으로 새롭게 유입되는데, 이는 고려 시대의 이상향의 극락세계에 대한 인식에서 벗어나 시각적으로 좀 더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려는 의식의 변화로 여겨진다. The patinting of the Paradise of Amitabha in the late of Joseon, is an illustration of the world of paradise centered around the Reborn of the Nine Grades and scenes of Amitabha triad on The patinting of sixteen visions of Amitayur-dhyana-sutra. The screen is composed of Uibojangeom pond, lotus flower, ggokbi(flower rain), Bosu(tree decorated with jewels), breeze, paradise, golden ground, nugak(A house in the Paradise of Amitabha) and Jeongbojangeom Amitabha, Seongjung, Wangsaengja and so on. One of the important iconography of Uibojangeom, Bosu(Tree decorated with jewels) is decorated with nugak, bohwa, jewels, ribbon, instrument, cheongae, gwangmyeong, seven fold naming, etc. These Bosu do not appear in every Buddhist painting, but mainly in the Buddhist paintings of Byeongsangdo(Sutra-illustration). Bosu, represented in the patinting of the Paradise of Amitabha, is a tree with Amitabha`s Deungjeonggak, a tree of silver, a tree of gold, a glass tree, a parcel tree, a coral tree, an agate tree and a tree of Chilbo. Borisu was recognized as a symbol of Buddha, which means enlightenment in the Buddhist era, and was later depicted behind the gwangbae of the Buddha and dealt with in the background. In the patinting of the Paradise of Amitabha of Donghwang, it is mainly expressed as a holy tree worship and the expression of A holy tree worship in Seoha and Southern Songs. In the the patinting of the Paradise of Amitabha of the Goryeo Dynasty, the Jungcheung Bosu, which is design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main under the influence of Seoha South Songs, is arranged symmetrically on the left and right. Bosu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appears as a succession of traditional Jungcheung Bosu and pictorially expressed type. The traditional Bosu was influenced by Insongsajang the patinting of sixteen visions of Amitayur-dhyana-sutra(1323), Jieunwonjang the patinting of sixteen visions of Amitayur-dhyana- sutra(1323) (Illustration 1), Seoboksajang the patinting of sixteen visions of Amitayur-dhyana- sutra Goryeo and so on.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the leaf is folded in layers in the center with Yeongrak and flower patterns in full bloom, and they are layered step by step. This can be seen in Eunhaesa The Goryeo patinting of the Paradise of Amitabha(1750), Donghwasa Yeonbulam the Painting of the Nine Grades of Paradise(1841), and Pyochungsa the Painting of the Nine Grades of Paradise(1882). The pictorial Bosu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First, the type II-① is a modification of the Bosu form of the traditional conical Jungcheung structure, which is a simplified illustration of the tree of the real world. There are Unmunsa the Painting of the Nine Grades of Paradise(1883), Beopryunsa the Painting of the Nine Grades(1898), and Eunhaesa Guekrakjeon the Painting of the Nine Grades of Paradise(1898), etc. Second, the type Ⅱ-② is a pictorial Bosu type, and there are Heungguksa the Painting of the Nine Grades of Paradise(1860), Wibongsa Taejoam the Painting of the Nine Grades of Paradise (1868), Taejoam Amitabha-Jeongtodo(1879) and Heungcheonsa the Painting of the Nine Grades of Paradise(1885), etc. Thus, in the late of Joseon, a tree that is present in the real world is newly introduced into Bosu iconography, which seems to involve a change of awareness to accept the paradise world of the whole period realistically.

      • KCI등재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증강현실 에듀테인먼트 콘텐츠의 교육적 특성 분석

        안희숙(Hee Sook Ahn),최유미(Yoo Mi Choi)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4 애니메이션연구 Vol.10 No.4

        대부분의 에듀테인먼트는 단순한 시각적 자극을 통한 일차원적 상호작용을 통해 교수·훈련의 학습 개념의 양적 팽창만을 가지고 왔다. 또한 교육용 디지털 콘텐츠 연구자들의 주요 관심은 디지털 콘텐츠 학습의 효과성 측면에만 있을 뿐, 구체적인 상호작용 유형이나 심층적인 상호작용 분석이 이루어 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증강현실을 단순히 과학적인 기술이 아니라 교육방법의 매개 수단으로서 증강현실이 갖는 특성을 파악하고,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분석을 통해 오늘날의 교육방법을 보다 효과적이고 능률적으로 수행하게 하고자 학습자에게 증강현실의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에듀테인먼트 콘텐츠의 교육적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증강현실 및 에듀테인먼트콘텐츠의 개념, 학습자(수용자)를 통한 증강현실 연구사례, 교육적 장점 및 학습촉진요소, 교육적 특성을 파악한 상호작용 적용의 가능성을 정리하여, 증강현실의 상호작용성의 구조와 층위,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국내·외 증강현실 콘텐츠의 상호작용 방법을 사례를 통해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증강현실 콘텐츠를 상호작용에 따라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상호작용유형에 따른 교육적 특성에 차이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에듀테인먼트 콘텐츠의 교육적 특성을 파악하여 학습에 따라 상호작용 유형을 달리 적용한다면 교육적 특성에 맞는 학습콘텐츠를 개발하는 데 효용성이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상호작용에 따른 에듀테인먼트 콘텐츠로서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스마트 미디어로서의 증강현실이 에듀테인먼트의 대중화를 위해 보다 더 활발히 진행될 수 있길 기대해 본다. This study intend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edutainment contents based on the interaction types of augmented reality and present the result to leaners in ord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gmented reality as the media involved with teaching methods rather than simply as scientific technology and enhance the effect and efficiency of today’s teaching methods through the analysis based on interaction types. For this, this study summarized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augmented reality and edutainment contents, analyzed the structure, layer, and component of the interactive characteristics of the augmented reality, and also probed into the interaction methods related with augmented reality contents used in Korea and overseas using case study by type. The analysis of augmented reality contents by type based on interaction showed difference in educati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interaction types. If such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edutainment contents can be applied variably depending on the type of interaction, it would be effective in developing learning contents suitable for educational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study, I sought the ways to apply edutainment contents based on interaction and hope the augmented reality as a smart media promotes the propagation of edutainment.

      • KCI등재

        조선말기 칠성도의 수노인 도상 연구

        안희숙 ( An Hee Sook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21 강좌미술사 Vol.56 No.-

        수노인도는 인간 수명을 관장한 수성(壽星)을 인격화하여 그린 것이다. 한국에서 최초로 수노인성을 표현한 예는 덕흥리 2호분에서 볼 수 있다. 여기서 수노인성은 원형으로 묘사되어 있다. 수노인을 인격화하여 그렸다는 기록은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찾을 수 있다. 지리서에는 수노인도를 전각 내부에 안치하고 제를 지냈다하였으며, 이를 통해 조선전반기에 수노인 그림과제를 지낸 건물이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전기 수노인 관련 그림이 희박한 요인은 수노인성제 축소와 숭유억불정책으로 소격소 혁파로 보고 있다. 이후 정조는 수노인제를 복구하려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이후 조선말기에는 수노인 도상이 칠성도에 유입되어 유불 습합을 엿볼 수 있으며, 민화에도 유행한다. 수노인의 신체적 특징과 세부도상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노인의 신체 특징은 長頭, 短身으로 19세기후반에는 얼굴과 머리 비율이 1:2 또는 1:3으로 정수리 부분을 과장되게 표현하며 20세기에는 정수리부분이 낮아지면서 차츰 쇠퇴된다. 수노인과 함께 등장한 사슴과 두루마리는 초기부터 보이며, 동자는 명대에 나타난다. 학은 수노인이 공간을 이동할 때 이동 수단으로 표현되고 있다. 지물은 두루마리, 홀, 영지, 여의, 호리병, 복숭아 등이 있다. 두루마리는 수노인이 두 손에 쥐고 있는 표현에서 이를 펼쳐보거나, 지팡이에 매단 모습으로 변화된다. 호리병은 이철괴의 지물로 수노인이 소지하면서 허리춤에 차거나 동자가 대신 들고 있는 유형으로 나타난다. 불로장생의 상징인 복숭아는 칠성도 보다는 주로 민화에서 수노인의 지물로 등장한다. 이와같이 칠성도와 민화에서 수노인의 선호는 조선말기 수명 장수에 대한 사회문화적 풍조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The star of longevity Painting is a person who depicts Mercury, which controls human life.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 example of expressing the south pole star can be seen in Deokheung-ri No.2. Here, the star of longevity is described as a round circle. The record depicting the elderly as a person can be found in 『Shinjeungdongguk Yeoji Seungram. In the geography book, there is a record that the star of longevity Painting was placed inside the hall and the rites were held. Through this, it is estimated that there existed a building where the star of longevity Painting and ceremonies were held in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reason that the picture related to the star of longevity Painting was scarce was the reduction of the rituals The star of longevity and the policy to suppress the worship of The star of longevity. After that, King Jeongjo tried to restore Suoinje, but failed. Howev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star of longevity Painting was painted on Chilseongdo, which gives a glimpse of the combination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and is also popular in folk painting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detailed drawings of the star of longevity Painting are as follows. The star of longevity has a raised head and is short. In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the face-to-head ratio was 1:2 or 1:3, and the top of head was exaggerated. In the 20th century, it gradually disappears as the top of head lowers. Deer and scrolls that appeared together with the star of longevity were seen from the beginning, and Dongja(童子) appeared in Ming dynasty. Crane was expressed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when The star of longevity moved through space. Belongings include scrolls, ganoderma lucidum, yeoui, gourd bottle, and peaches. The scroll changes from an expression held by the star of longevity in both hands to unfold it or hang it on a cane. The gourd bottle appears as a type held by the star of longevity in the hand, worn on the waist, or held by Dongja(童子) instead. Peaches, a symbol of immortality, are mainly painted in folk paintings. In this way, the preference of The star of longevity in Chilseongdo and folk paintings reflected the socio-cultural trend of longevity in the late Joseon period

      • KCI등재

        메디아 충전량에 따른 An - hybrid 반응조의 운전특성에 관한 연구

        양병수,안희숙,이재관 ( Byung Soo Yang,Hee Sook An,Jae Kwan Lee ) 한국물환경학회 1992 한국물환경학회지 Vol.8 No.1

        A parallel study of an-hybrid reactors with total media volume/total reactor volume ratio of 0.2, 0.5 and 0.8 was carried out under unsteady state start-up conditions. The results show that 20 to 50% media packings in an-hybrid reactors was evaluated to be sufficient to prevent the biological solids from escaping through effluent. It was also found that the hydraulic dead space and plug flow regime in the reactors trended to increase with the increase of packed media volu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