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 환경에 있어서 공공디자인의 역할에 관한 연구

        안현정 ( Ahn Hyun-jung ),이영화 ( Lee Young-hwa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8 한국디자인포럼 Vol.21 No.-

        생산 우선주의에서 생활 우선주의로 전환되면서 생산성보다는 사용성, 생산자 보다는 사용자를 중시하는 의식 전환을 통해 개인성과 공공성의 관계에 있어 문화 환경으로서의 커뮤니케이션이 점차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공공미술과 디자인을 효율적으로 접목한 일본은 이미 30여 년 전 부터 정부와 지방 자치 단체의 적극적인 지원과 혜택에 힘입어 비약적인 발전을 보이고 있다. 기능성과 작품성이 조화를 이루는 다양한 도시 시설물들은 예술가와 도시디자이너 그리고 그곳을 삶의 터전으로 하는 시민들과 합의된 작품들이 대부분으로 자연환경, 사회 환경, 인공물환경, 정보환경 등 통합적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에 문화 환경으로의 순환형 사회 운동의 일례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도 생활수요자의 사용을 위한 디자인행위의 의미 차원에서 공공디자인의 역할과 커뮤니케이션에 대하여 의미와 그 가능성을 확립하고, 사용한다는 행위가 갖는 개념에 대한 인식 전환을 통해 생활수요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공공시설물 디자인 중 맨홀커버 디자인의 국내 현황과 해외의 활용 현황을 살펴보고 근본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될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생활 수요자 선호도를 조사하여 가장 적합한 디자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물론 근본적으로는 맨홀커버의 재질과 인체공학적인 형태디자인의 개선, 또한 현재 산재되어있는 책임부서의 통합과 정부 인식의 전환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며, 지역 이미지와 지역의 홍보까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려하여 생활환경의 재편성을 도모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생활환경 재편성의 가능성은 생활 수요자의 관심과 실천, 그리고 올바른 사용성 확보를 통해 공공디자인의 역할을 널리 확장하는 것이므로, 생활 수요자의 디자인적 선호도를 조사하여 디자인적 수준을 향상시켜 공공디자인의 역할을 재조명하고하고자 한다. As priority is placed on life rather than on production, communication through cultural environment is gradually required mo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ity and publicity by changing our recognition as putting emphasis more on usability than on productivity, and on users than on producers. In this aspect, Japan integrating public art and design effectively has shown tremendous development within the active support and benefit of the government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from about 30 years ago. Various city facilities in which functions and quality as artworks are harmonized are mostly the works created through the agreement among artists, city designers, and citizens living in the areas, so they can be an example of cyclic social movement towards cultural environment because they have integrative characteristics such as natural environment, social environment, artifact environment, and informative environment. Our country also have to establish the meaning and possibility of public design`s roles and communication in terms of the significance of designing behaviors for life demanders` use, and should encourage their active participation through changing their recognition on the concept of the behavior of using. Of course, it is basically important to improve the material quality of manhole covers and change them to human-oriented design, and to integrate responsible divisions that are presently scattered and change the government`s recognition as well. It will be meaningful to reorganize our life environment through this in consideration of its harmony with surrounding circumstances and the publicity of the region and its image. Since the possibility of reorganizing life environment means to extend the roles of public design more widely through securing life demanders` interest and practice and proper use, this article intends to review the roles of public design by investigating life demanders` design preference and improving design quality.

      • 뮤지엄 기획전시에서의 온라인 활용과 상호작용 연구

        안현정(hyun Jung Ahn) 한국전통미술융합진흥원 2023 전통미술융합연구 Vol.1 No.-

        이 글은 코로나 팬데믹(Corona pandemic)으로 인해 발생한 ‘뮤지엄 기획전시’의 온라인 활성화에 관한 ‘2020년 초반의 전시현황’을 분석하여 ‘뮤지엄 전시’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다. 사회적 거리두기의 시책에 따라 뮤지엄 기획전시는 시설 폐쇄로 이어졌고, 이로 인한 경제적 여파는 유투브· 네이버라이브·다음카카오갤러리 등의 새로운 가상전시 활용을 통해 새로운 소통구조를 발전시키게 되었다. 언택트 시대에 대응하는 뮤지엄들의 운영방식은 불안정한 수익구조를 개선해 새롭고 지속적인 운영 모델을 도모해야 한다. 코로나 팬데믹이 앞당긴 가상공간의 출현, NFT와 메타버스를 활용한 뮤지엄의 구조의 확장은 오프라인 전시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전통 및 현대전시’의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This article presents a new direction for ‘museum exhibitions’ by analyzing the ‘exhibition status in early 2020’ regarding the online activation of ‘museum special exhibitions’ caused by the Corona pandemic. Due to the policy of social distancing during the COVID-19 era, the museum's planned exhibition could not be held, and as a result, exhibition contents sought a new path. As a result, new virtual exhibitions such as YouTube, Naver Live, and Daum Kakao Gallery were developed, and new challenges were attempted through them. Museums responding to the untact era should create a new and continuous model of museum management by improving the unstable profit structure of museums. We need to pay attention to various phenomena brought forward by the corona pandemic. For example, the emergence of virtual space and the expansion of the structure of the museum using NFT and metaverse. Even in the endemic era, museum curators will have to find a new way of 'traditional and modern exhibitions' through mutual cooperation between online and offline exhibitions.

      • KCI등재

        디터 람스(Dieter Rams)와 전후(戰後) 독일디자인의 정체성 고찰

        안현정(Hyun Jung Ah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3

        이 논문의 목적은 전후 독일디자인의 변화양상 속에서 디터 람스가 남긴 공적과 정체성을 그의 디자인 철학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브라운(Braun)사의 디자인 정립으로부터 애플(Apple)사의 디자인 경영으로까지 확산된 독일 모던디자인의 가치와 정체성을 고찰해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디자인이 남기는 철학적 가치가 무엇인가를 숙고해보는데 있다. 디터 람스가 디자인을 시작하던 20세기 중반의 독일은 산업화와 기계주의가 팽배한 ‘기능주의 디자인의 시대’로, 제품에 불필요한 장식을 없애고 정제된 아름다움을 선사하는 것이 각광을 받던 시기였다. 1970년대 이후 울름조형대학로부터 구축된 산업과 연계된 제품디자인은 환경과 휴머니즘을 고려한 디자인철학과 맞물리면서 그 의미를 확장해 갔지만, 일각에선 ‘통속적 기능주의’라는 비판과 함께 비전문적이고 단일한 예술작품만을 추구하는 ‘뉴디자인 운동’을 낳기도 했다. 복잡다단한 독일 모던디자인의 흐름 속에서 인간과 환경을 고려한 디터 람스의 디자인 철학은 ‘윤리적 기능주의’의 형태로 독일기업 및 21세기 애플의 디자인 경영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 결과 기능주의를 기저(基底)에 둔 ‘환경친화적 생활문화창달’은 21세기 디자인 경영에서 최우선의 가치로 각광받고 있다.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 “좋은 디자인이란 무엇이고, 기업은 어떤 사회적 책임을 갖는가?”에 대한 해답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전후 독일디자인의 정체성을 ‘디터 람스의 디자인 철학’을 통해 고찰하고, 현재까지 이어지는 기능주의 디자인의 가치를 ‘제품디자인’의 맥락에서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출판물 등의 문헌조사가 1차 자료로,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이 2차 자료로 활용되었다. 연구의 주된 범위에는 전후 독일디자인의 변천과 기능주의, 디터 람스의 디자인 철학과 그 영향, 그리고 21세기 디자인 경영 및 제품디자인의 정체성에 대한 분석들이 포함되어진다. 본 연구는 내용의 결과로서 전후 독일디자인의 기능주의적 조형의식은 디터 람스가 제시한 ‘윤리적 기능주의’로 확대되었으며, 이는 21세기 제품디자인에 ‘인간친화와 환경보존’이라는 디자인 철학을 제시하면서 새로운 디자인 트렌드를 이어가고 있음을 제시 · 정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 review of Dieter Rams and identity of german modern design. The postwar German design has sought after product design that combined durability and functionality inherited the tradition of Bauhaus. There is Dieter Rams who has led Braun Inc. on the base of this design. The Germany in the middle of 20th century when Dieter Rams started design was ‘a period of design of functionalism’ overflowed by industrialization and mechanism, and it was a period that presenting refined beauty with removing unnecessary decoration from products came to a spotlight. Since 1970s, the product design involving the industry that was constructed from Hochscule Fur Gestaltung has extended its meaning interconnected with the philosophy of design considering environment and humanism, and ‘New Design’movement that was not professional and pursuit only unique works of arts came to spread out in the criticism as ‘conventional functionalism’. In the flow of complicated German modern design, the philosophy of design of Dieter Rams considering human and environment had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design management of German companies and Apple Inc. with a form of ‘Ethical Functionalism.’ ‘Environment-Friendly Promotion of Living Culture’ based on functionalism is drawing attention in 21st design management as the priority value. We can obtain an answer to “What is a good design? and What kind of social responsibilities does a company have?” through this. This study reviewed the identity of postwar German design through ‘Dieter Rams`s philosophy of design’, and analyzed the design of functionalism and the value of product design that exist until today in the context of ‘design management.’ For the method of study, the survey of literature such as books·publications including dissertations and books etc. was utilized as the primary data and domestic and foreign information D/B and network search using Internet as the secondary data. The main scope of the study included transition and functionalism of postwar German design, Dieter Rams`s philosophy of design and its effect, and the analysis of philosophical value of design management and product design in 21th century. This study suggested and summarized that as a result of contents, the functionalistic formative consciousness of postwar German design was extended to ‘Ethical Functionalism’ that Dieter Rams suggested, and this continues the new design trend suggesting the philosophy of design, ‘Human- Friendly and Conservation of Environment’ for product design in 21th century.

      • KCI등재

        Honorific Expressions and Registers in Korean

        Ahn, Hyun-Jung(안현정),Kwon, Yeon-Jin(권연진)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1

        본 논문은 한국어의 존칭표현이 공손이론(politeness theory)으로 설명 가능한지를 살펴보고 화용론적으로 Agha(1998)의 언어사용역 이론(enregisterment theory)과 Silverstein(2003)의 단계적 지표성 이론에 어떻게 부합되는지를 논의한 연구이다. 특히 Brown and Levinson(1987)의 존칭표현과 Hill(1986)에서 주장한 인식의 표현에 근거한 존칭표현을 분석하였다. Brown and Levinson의 존칭표현에서는 존칭표현이 ‘face-threatening act’로 인해 사용된다고 주장되었다. 다시 말해서 존칭표현은 파괴적이거나 부정적인 효과가 있을 때 이를 완화하기 위해서 쓰이는 언어표현이라고 정의하였다. 그에 반해, Hill에 따르면, 존칭표현이나 존대표현은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에게, 권력이 있는 사람에게, 연장자에게, 그리고 더욱 형식적인 상황에서 쓰인다고 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교사모임 회의에서 나타난 존칭표현인 ‘-시, -께서, 분, 저희, 드리다, -ㅂ니다’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어 존칭어의 경우 Brown and Levinson의 공손이론이 더욱 적합한 것을 밝히며, 또한 Agha와 Silverstein의 기호학적 언어사용역과 지표성이 한국어 대화에서 존칭표현과 공손표현으로 실현되고 있음을 밝힌다. 이는 한국어 화자들이 존칭표현과 공손표현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특정한 지표를 나타내는 지표화된 표현임을 암시한다. 특히 지표성 순서에서 높은 단계인 2-3단계의 지표성을 사용함으로써 한국어 화자들은 존칭표현을 통하여 지위의 높고 낮음뿐만 아니라 지시와 명령의 대면 행위의 부정적인 얼굴 표현을 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자유자재로 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존칭표현은 단순한 높임을 나타내기 위한 수단이지만 사회적 계층을 나타내면서 동시에 형식적인 면을 표현해 주는 간접적인 2-3단계의 지표가 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e use of honorific expressions is heavily dependent on the contex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locutors. Honorifics are used as a manifestation of discernment(Hill et al 1986, Ide 1989, 2005, 2006, Ide & Yoshida 1999), which means that speakers use honorifics to be polite to: 1) a person of a higher social position, 2) a person with power, 3) an older person, and 4) in a formal situation. On the other hand, honorific expressions, as polite expressions in Korean and Japanese, are also used to redress the ‘face-threatening act’(Brown and Levinson 1987). Brown and Levinson argue that ‘face’ consists of two related aspects; positive and negative face. This paper examines which politeness theory can be best applied to honorific uses in the formal setting of a Korean teachers’ meeting and what the honorific expressions index in terms of semiotic symbols. The paper also seeks to find an answer for the questions of how much and how deeply the use of Korean honorifics is enregistered using Agha(1998) and Silverstein(2003).

      • KCI등재

        공공미술의 공공성 이해와 문화교육적 가치에 관한 연구

        안현정(Ahn, Hyun J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10 美術敎育論叢 Vol.24 No.2

        공존한다는 사회적 개념인 ‘공공’과 문화적 표현형식인 ‘미술’의 합성어 ‘공공미술’은 문화적 삶에 대한 사회적 관심 속에서 21세기를 대표하는 미술장르로 각광받고 있다. 초기 ‘건축 속의 미술’단계에서 ‘공공장소 속의 미술’로 발달했던 공공미술은 공공장소라는 컨텍스트에 적합한 미술로 변화하면서 제도를 벗어난 미술로 자리매김해 왔다. 이후 도시 공공공간의 인간화와 네트워크화의 일환으로 ‘도시계획 속의 미술’로 그 개념이 확장되면서 공공미술은 미술가를 넘어선 대중 모두가 참여하는 미술로 인식되었다. 미술을 통한 시민간 커뮤니케이션의 확대와 시민 문화공동체 형성은 결과보다 과정을 중시하며, 특히 ‘주민참여’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그러므로 공공미술이 발달하기 위해서는 시민에 대한 문화교육적 효과를 겨냥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다양한 관객의 삶과 직접 연관된 이슈들에 관해 소통하는 공공미술은 ‘새로운 장르의 공공미술’이라는 슬로건 속에서 시각예술을 넘어 영화․비디오․공연으로까지 장르가 확대되고 있으며, 그 안에서 ‘나-너-우리’로 이어지는 진정한 ‘공공성’에 대한 사유는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부분이다. Public art, a compound word of ‘public’ which is a social concept of coexisting and ‘art’ which is a form of cultural expression is establishing itself as a buzz word to represent the 21st century in the social interest in cultural life. Public art which developed from the early stage of ‘art in architecture’ to art in public places' has positioned itself as art getting out of the systems as it changed into art which was suitable for the context of public places. Since then, public art has been recognized as art in which every public participates beyond artists as its notion has been expanded to ‘art in urban design’ as a part of networking and humanization of urban public space. The expansion of communication between citizens and the formation of citizens' cultural community through art value processes more than results, and especially, ‘residents’ participation’ is an essential element. Therefore, for public art to grow it is urgent to develop a diversity of programs to target at cultural and educational effects on the citizens. Public art to communicate in relation to issues associated directly with a diverse audience's lives is being expanded to films, video and performances beyond visual arts in the slogan of ‘new genre public art’ and within them contemplation of true ‘publicity’ which leads to ‘I-you-we’ must be preceded.

      • KCI등재

        포스트 팝아트의 대중문화 해석과 비평적 감상교육 제안

        안현정(Hyun-Jung Ahn) 한국문화교육학회 202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6 No.2

        이 글의 목적은 1950년대 이후 등장한 팝아트의 대중문화 해석을 앤디워홀 사후 등장한 유럽· 중국·일본·한국 등 포스트 팝아트의 여러 현상들과 비교해 살펴봄으로써 ‘동시대 문화양식’으로 자리 잡은 팝아트의 감상교육에 비평적 시각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중문화를 반영한팝아트의 초기양식(워홀효과)을 엘리트문화와의 관계 속에서 살펴보았고, 21세기라는 다양성의 시대 속에서 팝아트가 변화되는 과정을 정치권력과 경제효과, 각국의 다양한 시대환경 등과 맞물려연구하였다. 다국적 팝아트를 포함한 한국 팝아트의 현재성을 검토한 결과, 포스트 팝아트는 초기팝아트가 추구한 ‘현대미술에서의 시뮬라크르’의 범주를 넘어서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포스트 팝아트의 흐름은 비지니스와 연계된 상업주의, 대중문화 속 긍정과 부정평가, 디자인 상품과의 콜라보, 캐릭터화와 브랜딩, 미디어와 온라인에의 활용 등에 이르기까지 그 영역을 확장하고있다. 본 연구는 팝아트의 동시대성을 다양한 사회문화적 환경 속에서 이해하기 위해 초·중·고교의 의무교육에서 제시하는 수동적인 감상방식을 탈피하여 평생교육 현장으로까지 활용할 수 있는 비평적 감상 지도안을 ‘펠드먼의 4단계 감상법’과 더불어 제시하였다. 이는 학습자들이‘대중문화=상업화’의 논리로 팝아트를 이해하려는 획일적 사고를 탈피시키고, 현시대성을 반영한 포스트팝아트의 정체성을 학습자 스스로 분석하도록 유도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창의적인 시각을 회복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This article compares pop art s pop culture interpretation, which has emerged since the 1950s, to the various phenomena of post-pop art such as Europe, China, Japan, and Korea, after Andy Warhol s death.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critically expand the appreciation education of pop art, which has become a contemporary culture. Reproduction of images caused by mass cloning has transformed today s life into a daily central culture. Elite art, which avant-garde art called out, has been withdrawn as a side of popular culture amid the challenges of pop art linked to everyday life. In particular, in the era of diversity in the 21st century, pop art, in conjunction with political power, economic effects, and various environments of each country, led to the path of individualization (a creative interpretation of artists). Post-pop art goes beyond the category of replication of images in modern art (portrait images of famous people, logos of luxury brands, reproduction of famous paintings, etc.) pursued by early pop art. It extends its scope to business-linked commercialism, positive and negative dualism of popular culture, collaboration with design products, characterization and branding, and use of media and online. Therefore, the cross-sectional interpretation of early pop art, which has been taught at art education sites, should be expanded. Understanding the contemporaries of pop art in various socio-cultural environments is also very important in establishing a new identity of 21st-century Korean pop art, which is led by young artists. We met with a free multimedia environment and non-face-to-face culture in the post-corona era. Now, we all need to move beyond passive appreciation education to critical appreciation education that develops by comparing the past and the present. This is the same application for developing creativity and interpreting other cultural phenomena. Pop art 포스트 팝아트의 대중문화 해석과 비평적 감상교육 제안37 started more than 70 years ago. Therefore, it is a very important part to compare Pop Art s Yesterday and Today . As a result, the study will encourage learners to escape from the uniform thinking of understanding pop art with the logic of Pop culture = commercialization. By voluntarily recognizing the contemporaries and identities of post-pop art, the learner intends to contribute to accepting art in everyday life and developing a creative perspective through it.

      • KCI등재

        광고의 시각적 은유에 관한 연구-수용자 반응을 중심으로-

        안현정 ( Ahn Hyun Jung ),송민희 ( Song Min He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8 한국디자인포럼 Vol.18 No.-

        IMF이후 감성광고의 증가와 2000년 대선과 2002년 월드컵을 거치면서 이미지 중심의 감성광고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더 커지기 시작하였다. 이와 더불어 카피중심의 광고에서 비주얼 중심의 광고로 그 중심이 이동되었다. 이미 광고 분야에서 언어적 측면에 대한 비주얼의 우월 효과는 여러 연구에서 검증되었다. 이에 이미지 중심광고에서 어떠한 표현기제를 사용하여 그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느냐는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하였고, 수사학적 표현인 은유, 환유, 직유 등 수사학적 비유법이 활발하게 사용되었다. 이러한 많은 수사적 표현중 시각적 은유는 수용자의 마음에 전달하는 이미지의 효과적 측면에서 언어적 은유보다 훨씬 강렬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시각적 은유의 두 영역 간 상호작용이 언어적 측면보다 명시적이며, 새로이 생성된 유사성이 강조되어 바로 눈앞에 제시되기 때문이다. 또한 수용자들로 하여금 그 의미를 그냥 읽게 하는 것이 아니라 밝혀내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수용자의 의식 속에 강하게 자리 잡게 된다. 본 연구는 광고에 시각적 은유를 사용함에 있어 의도된 메시지가 수용자에게 전달될 때 일어나는 반응의 문제에 대해 고려하였다. 이는 광고로 인한 자극의 문제도 중요하지만 이를 수용하는 수용자측면에서의 반응에 대한 문제가 더 중요하다는데 기인한다. 시각적 은유에 있어 수용자가 은유적 표현을 수용함에 문화적, 사회적 차이는 은유의 이해와 해석의 차이를 가져온다. 이에 시각적 은유에 있어 이러한 문화적 사회적 차이와 더불어 수용자의 성별, 연령별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차이역시 시각적 은유의 이해와 해석에 있어 차이를 보일 것이라는 점에 기인 이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검증 결과 시각적 은유를 수용함에 있어 수용자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시각적 은유수용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명시적 유형의 은유광고에 대해서는 남자가 명시적, 암시적 유형의 은유광고에 대해서는 여자가 높이 이해하는 차이를 보여주고 있었고, 연령이 낮을수록 오히려 명시적이고 형태적 유사성에 근거한 광고에 연령이 높을수록 암시적이며 내용적 유사성에 근거한 광고에 높은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 이는 매체의 다양성과 변화, 사회적 변화와 무관치 않다고 보여진다. 둘째, 또한 현재의 수용자는 과거 수동적 수용자가 아닌 능동적 개념을 가진 수용자로 시각적 은유에 있어 원관념(은유대상)과 보조관념(은유도구)사이의 유사성의 형식적 측면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이해를 보여주었다. 이렇듯 수사학에서 출발한 은유는 기호학과 커뮤니케이션 이론, 언어학 차원에서 그리고 광고표현방법의 하나로 그 의미는 매우 크며 적절한 시각적 은유 활용은 매우 효과적이다. 광고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수사적 표현 활용 시 광고제작자들과 광고주는 매우 신중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시각적 은유의 유형별 실 사례와 이에 대한 수용자의 반응을 확인하는 것은 필요한 과정이다. 또한 시각적 은유 사용 시 문화적 경험적 측면 뿐 만 아니라 성별, 나이별, 직업별, 거주지에 따라 활용되는 시각적 은유가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며, 이를 통해 좀 더 나은 효과적인 시각적 은유의 사용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Since the IMF crisis, with the help of increased sensual advertising, the 2000 presidential election, and the World Cup 2002, the importance of image-centered sensual advertising began to increase, and the focus has shifted from copy-centered advertising to visual-centered one. Many studies have reported superior effect of visual over verbal elements in advertising. Accordingly, the question that what kind of expression mechanism can be used for image-centered advertising to maximize such effect is emerging, while rhetoric figures of speech such as metaphor, metonymy, and simile are being widely used. Among these many rhetorical expressions, visual metaphor can be said to have a far more powerful effect in terms of the image delivered to the receiver. This is because interaction between two domains of visual metaphor is more explicit than verbal elements, and newly created similarities are emphasized and presented immediately. Moreover, it gives a strong impression to the consciousness of receivers, since it clarifies the meaning, rather than making them simply read it. This study examined responses of receivers of the message delivered by an advertisement through visual metaphor, from the notion that response of the receiver of an advertisement is much more important, although stimulation by an advertisement is important. In case of visual metaphor, cultural and social differences bring different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n metaphor, when a receiver is exposed to metaphoric expressions. Therefore, verific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assumption that, along with these cultural and social differences, demographic differences of receivers such as age and sex also will make a difference in the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visual metaphor.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receiver`s sex and age made a difference in the response to visual metaphor: men displayed better understanding on explicit types of advertising, while women showed better understanding on metaphor advertising of explicit and implicit type. Those who were younger responded better to explicit and formally similar advertisements, while those who were older did to implicit advertisements based on similarities of content, which is considered related to diversity and changes of media and social changes. Second, currently, receivers having positive concepts rather than passivity of the past showed positive understanding on formal aspects of similarities between original idea (the subject) and supporting idea (the image) of visual metaphor. Thus, starting from rhetoric, metaphor as one of the expression methods of advertising in terms of semiology, communication theories, and linguistics has high significance, and appropriate use of visual metaphor is highly effective. As advertising has a strong effect on companies, advertising producers and advertisers should be careful to use these rhetorical expressions.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to examine cases of types of visual metaphor and receiver`s response to it. In addition, these results also imply that sex, age, occupation, and place of residence, as well as cultural experience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using visual metaphor, and more effective visual metaphor should be used.

      • KCI등재

        디지털 후세대(Post Digital Generation)에 따른 시각커뮤니케이션 표현 전략

        안현정 ( Ahn Hyun Jung ),송민희 ( Song Min He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6 한국디자인포럼 Vol.13 No.-

        인터넷이 처음 모습을 드러냈을 때, 많은 사람들은 인간이 탈구조화 되고 탈분자화 되는 동시에 디지털 신호인 `비트`가 되어 시공간을 초월할 수 있다고 믿었다. 더 이상 물리적인 접촉이 필요 없다고 예견하면서 유토피아의 미래를 그리는 사람이 있는 반면, 사이버 핑크 소설들이 보여주었듯 아무런 철학 없이 맞이한 새로운 과학이 가져올 재앙 그리고 인류의 위기에 대한 디스토피아의 미래도 엿볼 수 있었다. 인터넷이라는 매체의 가능성은 이러한 극단적인 예견들에서 보여지듯 거대하고 놀라웠던 것이었다. 1980년대 초 디지털 시대가 열리면서 인간관계를 중시했던 아날로그적 문화가 편리함을 지향하는 디지털 문화에 밀려나기 시작했다. 이에 디지털 시대 개막에 기여했던 각계의 학자들은 디지털시대의 개인주의와 이기주의 폐쇄성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져갔고, 역기능적인 측면에서의 컴퓨터와 네트워크 환경이라는 폐쇄적 공간에 매몰됐던 디지털 세대가 디지털 후 세대의 등장으로 디지털 생활 속에서도 인간적 관계 즉 아날로그적인 관계에 가치를 두고 있다는 점에서 이전 디지털 세대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최근 핫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PDG는 그런 분석의 최신판이라 할 수 있다. 사회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네트워크구축을 촉진하였고, 네트워크의 급속한 발달로 사이버 공간의 행동비중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아날로그 시대와 디지털 시대라는 큰 구분을 지었다. 아날로그시대를 라인워크의 시대라고 본다면 디지털 시대는 연결고리의 공간화. 다양화로 신속한 정보와 영향력을 주고받는 네트워크의 시대라고 볼 수 있다. 뉴밀레니엄의 2000년대에는 컴퓨터-정보통신발전과 그 속에서 성장한 N세대가 현재까지 디지털 세대로서 자리 잡아 왔다. 또한 인터넷의 발달과 보급으로 사이버공간이라는 새로운 사회와 문화가 등장하였고, 많은 혼란과 시행착오를 거듭하면서 새로운 공간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이로 인해 새로운 행동양식와 트랜드가 생성되었으며, 디지털 시대에 등장한 디지털 세대들은 N세대, M세대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었고, 초창기 디지털 사회의 기술의 부각과 이기적 개인주의를 지나, 인간을 위한 따듯한 기술, 수평적 네트워크의 진화, 공동체 문화 확산으로 아날로그적 감성을 지닌 디지털 후세대(PDG.Post Digital Generation)가 등장하게 되었고, 이 현상을 국내 한 광고대행사에서는 `이시대의 주역 포스트 디지털 세대`로 명명했으며, 이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특성을 조사하게 되었다. 이에 디지털 후 세대의 특성과 행동양식에 대해 연구하여 디지털 기기의 주 타깃이 되었을 때 어떠한 크리에이티브 전략으로 공략해야 하는지 다각도로 연구하는 것은 필요하다. When the Internet was first introduced, people believed humans can be deconstructed and de-molecularized, at the same time transcend over time and space as “bit,” a digital signal. There were those who were picturing a future of utopia predicting that there will no longer be a need for physical contact. On the other had, through movies a future of dystopia brought upon by calamities and human crisis resulting from advancements made in technology without any philosophy was tasted. The possibilities of the Internet medium, as evidenced by these extreme predictions, were received a something that was tremendously surprising. When the digital era began in the 1980s, the analogue culture that had been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human relations started becoming obsolete due to the conveniences of digital culture. As a result, technologists who contributed to the commencement of the digital era began raising their voices in apprehension of shutdown of individuality and egoism of the digital era, and it can be stated the digital generation that had been buried in the closed space namely called computer and network environment from the reverse-functional side is showing a different aspect with the introduction of post digital generation having value in human relations and analogue relationships. Post Digital Generation that is becoming a hot issue can be considered a new topic of such analysis. If the analogue era can be perceive d as line work era, then digital era can be perceived as network era with its ability to promptly exchange information and influence through diversification of space that is virtually infinite. In addition, through advancement and propagation of the internet, a new culture of cyberspace was introduced, and through many confusions and errors, it is being established as new grounds. As a result, action pattern and trends were formed and socio-economic activities began to proceed actively. Digital generations introduced during the digital era are generation N, M, and other various names. By overcoming technical difficulties and selfish individualism of the early digital society with expansion of technology for people,horizontal evolution of network,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e post digital generation with analog characteristics was introduced. A domestic marketing festival described this phenomenon as “the main post digital generation of this era,” and the resulting characteristics of lifestyle began being analyzed. Therefore, by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and action pattern of post digital generation, determining the creative strategy for capturing the generation with digital machines as new targets need to be conducted.

      • KCI등재

        해방이후(1945~1960), 한국화단의 경향과 수묵화 교육에 관한 연구 - 근원 김용준의 ‘水墨南畵論’을 중심으로 : 해방이후(1945~1960), 한국화단의 경향과 수묵화 교육에 관한 연구

        안현정(Ahn Hyun-J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06 美術敎育論叢 Vol.20 No.3

        본 고는 해방이후 수묵화 교육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정착하였는지를 서울대학교 초대 교수였던 근원 김용준의 ‘수묵남화론’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1930년대 서양화에서 동양화로 전필한 김용준은 한국적 전통을 문인화를 계승한 서화에서 찾으려 하였다. 그러나 채색인물화가 유행하던 식민지 한국화단에서는 수묵의 가치가 절하(切下)된 상태였으므로, 사군자와 서예는 ‘봉건시대의 유물’로 치부될 수밖에 없었다. 당시 사군자를 옹호하던 김용준의 주장은 해방직후 남화론(南畵論)과 맞닿으면서 발전하게 된다. 1946년 민족미술건설의 기수로서 설립된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은 김용준의 ‘수묵남화론’을 받아들였고, 1950년 9월 그가 월북한 후에도, 그의 동료교수였던 장우성에 의해 ‘정신성을 강조한 수묵화교육’이 한국화단에 정착하게 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오늘날 김용준이 언급했던 서(書)와 사군자의 가치는 퇴색하였지만, 수묵화를 통해 전통의 현대화를 이루고자 했던 그의 노력은 한국적 정체성의 새로운 모색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남긴다고 할 수 있다. In relation to the research, we have analyze the trace of settlement of the education for a painting in india ink in Korean-painting circles. Kim yong-ju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is settlement as a bridge between a tradition and a modern. In 1930"s, Kim yong-jun, who would search for the Korean tradition from a painting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changed his major from a western painting to an oriental painting. However, the Korean-painting circle in the colonial period underestimated the value of a painting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because this style was considered as relic of the feudal days. His theory had been revalued after the Korea"s liberation from Japan. The best issue of the Korean-painting circles in the liberation period was the liquidation of the remnants of the colonial period and the coloring oriental painting was regarded as one of them. For the liquidation of the coloring oriental painting, Kim yong-ju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India ink theory of the literary artist´s style. His idea was the same as the founding intention of the College of Fine Art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SNU), which was ‘the pursuit of the new identity of Korea’. His efforts were succeed to Chang Woo-Sung, his colleague professor and settled the education for a painting in india ink in the College of Fine Arts of SNU. His idea have had a great effect on the education of Korean fine arts until now from the viewpoint of ‘the modernization of the tradition’

      • KCI등재후보

        한국 도자사에 나타난 꽃문양의 미감(美感) 연구 -국보(國寶) 도자기를 중심으로-

        안현정 ( Hyun Jung Ahn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4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30 No.-

        Today, flower art in Korea focuses more on technical improvements rather than overall sense of aesthetics emphasized in oriental culture while actively adopting western-centered aesthetic view in flower design. However, in traditionally, the design utilizing flowers have been established in Koreans life, reflecting political, religious and societal sense of beauty and surpassing the sense of time and space. Goryeo celadon, grayish-blue-powdered celadon and Joseon white celadon are the representative heritages that we can face frequently which incorporate flower pattern with the sense of aesthetics of the time. Through the article, the author wants to emphasize that the piece as not individual belonging but valuable masterpiece which conveys universal emotional aspect of the contemporaries of that time by recognizing flower patterned ceramic being not merely the decorative object but also the art representing the sense of aesthetics of the time. This study analyzes 25 ceramics/celadon conveying flower pattern, among 40 pieces of ceramics designated as national treasure through universal sense of aesthetics. Korean ceramics went through transitions from Goryeo celadon, onto grayish-blue-powdered celadon to white celadon and onto blue and white porcelain according to the change of pattern. With the flow of ceramic art, the type of flower pattern decorating the ceramic has also been changed; which indicates the different sense of aesthetics by the time. In Goryeo celadon, lotus pattern the Buddhist symbol and the peony pattern the symbol of splendid royal authority are used; while in grayish-blue-powdered celadon the stamped technique conveying the sense of working classes is used with the lotus and peony patterns succeeded from Goryeo celadon. In Joseon white celadon, the utopia of Neo-Confucianism is expressed through the white aesthetics, while Japanese apricot flower and Chrysanthemum pattern being used reflecting the patriotism and loyalty toward the nation and royal authority. I hope the foundation to find the universal identity of Korean flower art is established, and the understanding of pattern design in Korean ceramic history is furthered through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