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외상 경험과 인지 변화에 관한 연구

        안현의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5 청소년상담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ffect of trauma experience on the cognitive patterns in adolescents. Post-traumatic Diagnostic Scale and Posttraumatic Cognitions Inventory were administered to 536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ee groups were divided for the purpose of analysis : those who did not have any trauma and had no PTSD symptoms, those who had trauma experience but no symptoms, and those who had trauma experience and had moderate to high level of symptom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with PTSD symptoms had negative beliefs about self, negative beliefs about the world, and were more likely to blame themselves for the event. Interaction effect was also found with gender. 이 연구의 목적은 인지적 사고 패턴이 청소년의 외상경험과 PTSD 증상 발현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 는 것이다.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중인 남녀 학생 536 명 (남학생 251 명, 여학생 285 명)을 대상으로 외상경험 이 전혀 없고 PTSD 증상이 없는 집단, 외상경험은 있으나 PTSD 증상이 없는 집단, 그리고 외상경험이 있고 PTSD 증상이 있는 집단으로 분류하여 Posttraumatic Diagnostic Scale과 Posttraumatic Cognitions Inventory를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PTSD 증상이 있는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들에 비해 자신에 대해 부정 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고, 세상이 위험하고 신뢰롭지 못하다고 믿었으며, 부정적인 사건 경험이 자신으로 인해 비롯된 것으로 귀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도 발견되었다.

      • KCI등재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인지-기억 체계

        안현의,주혜선,한민희 한국상담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5 No.1

        Researchers in recent trauma studieshave examined on the causal path from trauma survivors' interpretation and memory of the traumatic incident, rather than from the incident itself, to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mong various factors related to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PTSD, the cognitive factors, the formation of trauma memory, and their interactive influences on each other have been discussed. Authors categorized the previous literature into five domains (i.e., deep cognition, peritraumatic cognitive processing, formation of trauma memory, circular interaction of trauma memory, and cognitive processing, and posttraumatic cognition) in chronological order. Conceptualizing the cognitive factors, authors explained how trauma survivors develop and maintain PTSD symptoms according to their processing of cognition and memory. Controversy and confusion in the use of PTSD-related cognitive terms among researchers were discussed. Finally effective interventions and treatments in treating PTSD and their relation to the cognitive-mnemonic system were introduced.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 개인이 경험한 외상 사건 그 자체보다는 사건을 해석하고 기억하는 방식이 주요한 요인으로 밝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이하 PTSD)의 유발 및 유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여러 변인들 가운데 인지적 요인과 외상 기억의 형성 및 처리 과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고자 선행 연구들의 주요 결과들을 다섯 단계 과정으로 범주화(심층 인지, 외상 직후 인지과정, 외상 기억의 형성, 외상 기억과 인지의 순환과정, 외상 후 인지)하여 고찰하였다. 이때 PTSD의 심리적 기제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인지적 이론들과 주요 경험적 연구들에서 PTSD와 관련된 인지적 요인을 개념화하고 용어를 사용함에 있어 일관되지 않은 현상에 주목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소개한 외상관련 인지-기억 체계에 기반하여 PTSD에 대한 예방적, 치료적 개입 방안을 단계별로 모색하여 제안하고, 향후 연구의 필요성을 함께 제시하였다.

      • KCI등재

        단순 및 복합 외상 유형에 따른 PTSD의 증상 구조

        안현의,주혜선 한국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0 No.3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외상적 사건들을 단순 외상과 복합 외상 유형으로 구분하여 한국 성인집단에서 각각의 외상 유형에서 가장 적합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의 증상구조는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외상 체크리스트와 PTSD 증상을 측정하기 위한 외상 후 진단척도를 실시하여 생애 중 외상 경험이 있는 경우 연구 집단으로 포함하였다. 연구 집단은 경험한 외상적 사건의 유형에 따라 단순 외상 집단과 복합 외상 집단으로 하위 집단을 나누었으며 이들 중 단순 외상 집단은 428명, 복합외상 집단은 207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검증한 PTSD 증상구조 모형은 DSM-IV의 재경험, 회피 및 정서적 마비, 과각성의 3요인을 기본으로 하는 2개의 모형과 경험적으로 타당성이 보고된 4요인 모형 3개로 총 5개의 모형이다. 다섯 개의 PTSD 증상 모형을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단순 외상 집단과 복합 외상 집단에서 동일하게 DSM-IV의 PTSD증상 모형보다는 재경험, 회피, 정서적 마비, 과각성의 4개의 하위 증상이 상호작용하는 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PTSD 증상구조에 대한 이해와 함의 그리고 제한점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structur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symptoms in simple and complex trauma. Sample consisted of 428 simple trauma group and 207 complex trauma group in Korean adults aged over 18 who had experienced at least one traumatic event in their life time. We assessed their PTSD symptoms using Posttrauma Diagnostic Scale (PDS), and tested five models consisting of PTSD symptom factors based on the DSM-IV criteria as well as those from the previous studies.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on each of the five models of the PTSD symptoms. Among the five models, the four factor intercorrelated model with re-experiencing, avoidance, emotional numbing and hyperarousal factors provided the best fit in both simple and complex trauma groups. Results are discussed regarding the implications of this finding.

      • KCI등재

        외상관련 정서의 확장: 수치심, 죄책감, 분노를 중심으로

        안현의,박철옥,주혜선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2

        Trauma-related emotions have been mainly discussed as fear, horror, and helplessness since the diagnostic criteria of PTSD as an anxiety disorder have been concerned with such emotions only. However, there is a recent consensus in the research and clinical fields that shame, guilt, and anger, which are referred to as the secondary emotions of trauma, are as important as those primary emotions. In our article, we reviewed the literature on trauma-related emotions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secondary emotions, and discussed the directions and limitations of research that were conducted to date. We also discussed the importance of sociocultural context of secondary trauma-related emotions, and finally, we introduced the recent attempts to expand trauma therapy based on the importance of such emotions. PTSD는 불안장애로 간주되면서 이제까지 외상관련 정서로 두려움, 공포, 무력감이 주로 다루어져왔다. 하지만 최근 상담실무현장을 중심으로 이러한 1차 정서반응 외에 수치심, 죄책감, 분노와 같은 2차 정서가 외상경험자들에게 보편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상에 주목하면서, 외상 관련 2차 정서들에 대한 연구와 치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상으로 인한 개인의 다양한 정서적 반응에 대한 지금까지 상담심리학 및 관련분야에서 제기된 이론적 문헌과 경험적 연구들을 개관하고 향후 필요한 외상정서의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또한 외상관련 정서의 사회문화적 영향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외상관련정서가 갖는 치료적 함의와 치료적 적용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위기상담모델의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인지적 요인을 중심으로

        안현의 한국상담학회 2007 상담학연구 Vol.8 No.1

        To explore the factors effective in crisis counseling, data from 80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attending a local university who reported having had experienced a crisis in the past five years were collected. When asked to answer retrospectively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s, 49 people expressed a high interest in receiving professional counseling, and 43 people believed it would be most helpful to provide counseling within a month of the crisis event. Meaning making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urrent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however, benefit finding was not. The study discusses how the findings could be applied in developing a crisis counseling model. Keywords : crisis counseling, posttraumatic stress, meaning making, benefit finding 위기상담모델의 기초가 되는 인지적 개입 요인들을 탐색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방 대도시 소재 2개 대학의 대학생과 전문대학원 과정에 다니는 일반인 가운데 위기경험을 한 적이 있다고 보고한 80명으로부터 위기상담의 필요성 인식, 자신의 위기경험에 대한 의미화하기와 긍정성찾기 등의 인지적 재통합 시도 여부, 그리고 현재의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수준 등을 알아보았다. 사후보고식 조사 결과 49명 (51.4%)가 위기상담에 대해 높은 수준의 호감을 나타냈고, 43명 (53.8%)는 위기상담이 사건발생 한달 이내에 제공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39%의 응답자들은 현재까지도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을 중간 수준 이상으로 겪고 있었다. 의미화하기와 긍정성찾기의 요인들과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과의 상관을 본 결과 의미화하기는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인 반면 긍정성찾기는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들이 위기상담의 과정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논의하였다. 주요어 : 위기상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의미화하기, 긍정성찾기

      • KCI등재

        군복무 부적응 실태 및 인권침해 경험과의 관련성

        안현의,손난희,이문희,서은경 한국상담학회 2007 상담학연구 Vol.8 No.2

        This study examined the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contributing to the mental health and adjustment among Korean military servicemen. Nine hundred and forty enlisted men and 141 higher ranking officers completed Symptom Checklist-90 (SCL-90) and a survey asking their psychosocial experiences as well as their direct and indirect witness of human rights violations incidents within the military. Results showed that 10.96% of the enlisted men and 28.3% of the officers were experiencing more than one symptoms from the SCL-90. Results also showed that pre-enlistment adjustment level of the enlisted men wa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d to the current adjustment level during military service. Keywords : Military adjustment, human rights violation, mental health 본 연구에서는 ‘군복무 부적응자란 군입대자 개인의 심리사회적 요인과 군대 조직의 물리적, 사회문화적 요인 간의 부조화로 인하여 개인의 안녕 및 군대와 일반 사회의 안녕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행동을 현재 나타내고 있거나 잠재적으로 지니고 있는 자로 정의하면서, 군복무 부적응을 만드는 개인적 요인들과 더불어 환경적 요인들을 탐색하고, 이 둘 간의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모델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현역 병사 940명과 현역 간부 141명을 대상으로 간이정신진단검사, 군복무 부적응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병사의 10.96%, 간부의 28.3%가 각각 간이정신진단검사의 한 개 이상의 척도에서 부적응 증상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병사의 입대 전 부적응정도는 복무 부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인권침해를 경험하는 정도에도 영향을 미침으로써 복무부적응을 일으키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어 : 군복무 부적응자, 인권침해, 정신건강

      • KCI등재

        한국인 대학생의 민족정체성이 주관적 안녕감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안현의,서한나 한국상담학회 2010 상담학연구 Vol.11 No.3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ethnic identity on subjective well-being and self-esteem. The aim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the role of ethnic identity to the Koreans and overall, to confirm the necessity of future research related to the concept. In order to fulfill the purpose, first, the differences in subjective well-being and self-esteem among the groups with differing level of ethnic identity were examined and second, th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the effect of ethnic identity on the two psychological variables. A total of 225 university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subjective well-being and self-esteem were shown between the high group and the middle & low groups. Second, it was found that ethnic identity positively predicted subjective well-being and self-esteem. Thus, ethnic identity is confirmed as a variable contributing to subjective well-being and self-esteem, suggesting that the future research dealing this issue is necessary, especially in a more multi-cultural society. 본 연구는 한국인 대학생의 민족정체성이 주관적 안녕감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한국인에게 있어 민족정체성이 가지는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따른 추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문제로 첫째, 민족정체성 수준에 따라 주관적 안녕감과 자아존중감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둘째, 민족정체성의 주관적 안녕감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한국인 대학생 총 22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민족정체성 수준이 높은 집단이 중간 집단과 낮은 집단에 비해 주관적 안녕감과 자아존중감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민족정체성이 한국인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자아존중감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한국인 대학생의 민족정체성이 심리적 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의미 있는 개념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개념인 민족정체성 연구의 중요성을 알리는 데에 주요 의의를 가진다. 그 외 연구의 제한점과 그에 따른 추후 연구방향 등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자서전적 외상 기억 질문지(ATMQ) 개발 및 타당화

        안현의,주혜선 한국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 후 심리적 증상과 관련된 자서전적 외상 기억 특성을 자기보고식으로 측정하기 위한 자서전적 외상 기억 질문지(Autobiographical Trauma Memory Questionnaire; ATMQ)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토하는 것이다. 문헌 연구를 통해 확인된 외상 후 심리적 증상과 관련된 자서전적 외상 기억의 현상학적 특성인 비조직화, 신체감각적 경험, 침습적 회상으로 영역을 구성하고 각 영역에 포함되는 문항들을 개발하여 본 연구의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내용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이후 외상 경험이 있는 대학생 230명을 대상으로 예비 연구를 실시하여 문항 분석을 한 결과 18개의 예비 문항 중에 13개의 문항을 최종 ATMQ에 포함시켰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3요인 구조가 가장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외상 경험이 있는 27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ATMQ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ATMQ의 구인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3요인 구조가 가장 적합한 모형으로 확인되었으며 수렴, 공준, 그리고 증분 타당도를 지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ATMQ의 하위 척도는 높은 내적일치도를 보였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 또한 양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ATMQ의 활용 제안, 본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서도 함께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velop a self-report questionnaire (Autobiographical Trauma Memory Questionnaire (ATMQ)) for assessing characteristics of autobiographical trauma memory which is related with posttraumatic psychological symptoms, and to examin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Following the literature reviews on posttraumatic psychological symptoms related with characteristics of autobiographical trauma memory, we generated 3 dimensions (e.g. disorganization, sensory motor experiences, and involuntary recall) and 18 items which were verified by a group of specialists. We conducted preliminary study of analyzing the items and conduct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230 undergraduate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a traumatic experience. The results of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uggested 13 items under three factors. Then we conducte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alculated reliability of the ATMQ in 278 undergraduate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a traumatic experienc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 supported the three factor structure of the ATMQ. The evidence of convergent, concurrent, and incremental validity of the ATMQ was obtained. The sub-scales of the ATMQ showed high internal consistency and good for test-retest reliability. Results are discussed in suggestion of using the ATMQ, and the restriction of this study was presented.

      • KCI등재

        한국판 기억 경험 질문지(K-MEQ)의 타당화

        안현의,주혜선,심기선,민지원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of a Korean version of the Memory Experiences Questionnaire (K-MEQ). The MEQ (Sutin & Robins, 2007) is a self-report questionnaire measuring the phenomenology of autobiographical memory and that has 10 relevant dimensions: Vividness, Coherence, Accessibility, Time Perspective, Sensory Details, Visual Perspective, Emotional Intensity, Sharing, Distancing, and Valence. A total of 347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in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call the most traumatic or negative stressful experience vividly and then completed K-MEQ. All items showed adequate mean, standard deviation, internal consistency and item-total correlation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the ten factor structure of the K-MEQ and all factors were correlated one another. In conclusion, the K-MEQ is a valid measure of ten dimension autobiographical memory in a Korean population. Results were also discussed in relations to the potential utility of the scale. 본 연구의 목적은 Sutin과 Robins(2007)가 자서전적 기억의 현상학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기억 경험 질문지(Memory Experiences Questionnaire; 이하 MEQ)를 한국어로 번안한 후 신뢰도 및 구인 타당도를 검토하여 한국판 MEQ를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347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MEQ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판 MEQ 문항 분석에서 문항들의 양호도를 검토하고 적합한 내적 일치 계수, 문항-하위요인 총점 상관을 보여 우수한 신뢰도를 지니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구인 타당도 검증을 위해 원 척도에서와 동일한 구조 모형을 설정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원척도와 동일하게 모든 요인 간 상호 상관된 10요인으로 이루어진 모델의 적합도가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기술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