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기 유동에 따른 Ni-MH 배터리 모듈의 효과적인 냉각에 관한 연구

        안치영,김태신,김준범,Ahn, Chi-Yeong,Kim, Tae-Sin,Kim, Jun-Bom 한국전기화학회 2011 한국전기화학회지 Vol.14 No.4

        본 연구에서는 10개의 배터리로 구성된 모듈에 대한 열관리 전산모사를 수행하였다. 배터리의 구조를 단순화 하였고, 전기저항 등가식을 이용한 열전도 이론을 사용하였다. 2.6 mm의 좁은 배터리 사이의 간격에 대한 격자의 신뢰도 검증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배터리 사이에 최소 3개 이상 나누어진 격자의 형태가 필요하였다. 크게 모듈의 후면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형태, 모듈의 상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형태 그리고 모듈의 하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형태로 나누어 팬과 공기흡입구의 위치에 따른 모듈의 효과적인 냉각방법을 모색하였다. 배터리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모듈의 최고온도와 배터리간의 온도 차이를 비교하였고, 공기의 유속을 비교하여 유체의 거동을 확인하였다. 모듈의 하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40.27^{\circ}C$로 가장 낮은 최고온도를 보였고, 모듈의 상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에 $0.73^{\circ}C$로 가장 적은 온도편차를 보였다. In this study, computational simulation was performed for thermal management of modules consisting of 10 batteries. Simplified structure and equivalent thermal resistance network was applied to maintain the thermal properties. Verification test of the mesh were in progress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2.6 mm in the narrow gap between the battery, resulting in at least three divided mesh between the shape of the grid was required. Type of air from rear of the module, type of air from top of the module and type of air from bottom of the module were applied and effective cooling methods are discussed based on the location of fan and air intake of the modules. Maximum temperature and temperature differences of modules that directly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module were compared, and also behavior of the fluid was confirmed by comparing the air flow. The best maximum temperature is shown type of air from bottom of the module to $40.27^{\circ}C$ and type of air from top of the module shows smallest temperature difference $0.73^{\circ}C$.

      •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백금 기반 전극소재 및 삼상계면

        안치영 ( Chi-yeong Ahn ),조용훈 ( Yong-hun Cho ) 한국공업화학회 2018 공업화학전망 Vol.21 No.5

        연료전지는 에너지 변환 효율이 높으며, 반응 결과물로 전기에너지와 물만이 생성되므로 친환경 무공해 에너지 변환장치로서 그 가치가 높다. 연료전지는 전해질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되며, 그중에서도 고분자를 전해질로 사용하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는 저온 운전 및 빠른 시동이 가능하므로 특히 자동차나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로 각광받고 있다. 본 논고에서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을 간략히 소개하고 연료전지의 실질적 반응 장소인 삼상계면에 대해 알아본 후 백금 기반의 촉매와 관련된 연료전지 단위 전지 및 스택의 성능향상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 SCOPUSKCI등재

        다중벽 탄소 나노 튜브에 담지한 Pt<sub>x</sub>M<sub>(1-x)</sub>(M = Co, Cu, Ni) 합금촉매의 제조 및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에서 산소환원 특성

        정동원,박순,안치영,최성호,김준범,Jung, Dong-Won,Park, Soon,Ahn, Chi-Yeong,Choi, Seong-Ho,Kim, Jun-Bom 한국재료학회 2009 한국재료학회지 Vol.19 No.12

        The electrocatalytic characteristics of oxygen reduction reaction of the $PtxM_{(1-x)}$ (M = Co, Cu, Ni) supported on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WNTs) have been evaluated in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 The $Pt_xM_{(1-x)}$/MWNTs catalysts with a Pt : M atomic ratio of about 3 : 1 were synthesized and applied to the cathode of PEMFC. The crystalline structure and morphology images of the $Pt_xM_{(1-x)}$ particles were characterized by X-ray diffraction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Pt alloy particles in Pt/MWNTs and $Pt_xM_{(1-x)}$/MWNTs catalysts are seen as FCC, and synthesized $Pt_xM_{(1-x)}$ crystals have lattice parameters smaller than the pure Pt crystal. According to the electrochemical surface area (ESA) calculated with cyclic voltammetry analysis, $Pt_{0.77}Co_{0.23}$/MWNTs catalyst has higher ESA than the other catalysts. The evaluation of a unit cell test using Pt/MWNTs or $Pt_xM_{(1-x)}$/MWNTs as the cathode catalysts demonstrated higher cell performance than did a commercial Pt/C catalyst. Among the MWNTs-supported Pt and $Pt_xM_{(1-x)}$ (M = Co, Cu, Ni) catalysts, the $Pt_{0.77}Co_{0.23}$/MWNTs shows the highest performance with the cathode catalyst of PEMFC because they had the largest ES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