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GIS를 이용한 인위적 홍수방재구역의 설정

        안창환(Chang-Whan Ahn),최현(Hyun Choi),남광우(Kwang-Woo Nam),강인준(In-Joon Kang) 대한공간정보학회 2007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7 No.6

        본 연구는 화포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천 본류의 외수위가 하천의 내수위보다 높아 홍수 시 외수위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해 본류와의 합류지점을 차단하여 유역 내 모든 홍수유출량을 하도가 부담해야하는 상황일 때, 하도가 부담할 수 있는 홍수유출량을 계산하고 GIS를 이용하여 유역내의 보다 공간적인 접근을 통하여 극한의 상황에서 초과되는 홍수유출량을 인위적으로 저류할 수 있는 홍수터를 사전에 설정함으로써 피해가 최소화 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대한 연구이며, 개발행위를 억제할 수 있는 홍수방재 구역의 법적 제도를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연구목적이 있다.

      • 중ㆍ저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영상별 통계특성분석

        최현(Choi Hyun),안창환(Ahn Chang-Whan) 한국콘텐츠학회 2007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5 No.1

        위성영상을 분류하는데 있어 분리도 특성에 따라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은 아주 효과적이다. 위성영상 분류작업에서는 분류 클래스에 대한 샘플화소의 대표성은 분류 정확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분류 정확도 향상을 위해서는 분류이전단계의 최적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ㆍ저 해상도위성영상의 분리도 특성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여 고해상도영상의 분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classification of the satellite images, class separability feature is very effective accuracy of the images classified. For improving classification accuracy, It is necessary to study classification methode than analysis of class separability feature deciding classification probability. Above images were calculated the class separability prior to the step for classification of pixel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valued necessary process in geometric information building. This study help to improve accuracy of classification as feature of class separability in the class through optimizing previous classification steps.

      • IKONOS 위성영상 분류를 위한 단변량 통계분석

        최현(Choi Hyun),안창환(Ahn Chang-Whan),홍순헌(Hong Soon-Heon) 한국콘텐츠학회 2007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5 No.1

        위성영상의 분류작업은 원격탐사에서 가장 기초적인 부분이다. 위성영상을 분류하는데 있어 분리도 특성에 따른 분류는 영상을 분류하는데 있어 아주 효과적인 방법이다. 위성영상 분류작업에서는 분류 클래스에 대한 샘플화소의 대표성은 분류 정확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분류 정확도 향상을 위해서는 분류이전단계의 최적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위성 중 활용빈도가 가장 높은 IKONOS 영상에 대한 영상특성을 파악한 후 기존의 중ㆍ저 해상도위성영상의 분리도 특성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여 고해상도영상의 분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classification of the satellite images is basic part in Remote sensing. In classification of the satellite images, class separability feature is very effective accuracy of the images classified. For improving classification accuracy, It is necessary to study classification methode than analysis of class separability feature deciding classification probability. In this study, IKONOS were resampled to sizes 1m grid. Above images were calculated the class separability prior to the step for classification of pixels. This Study concludes, each image was measured by the rate of class separability, values classified were showed highly about 1.600~2.000. As consideration about side of class separability, Not only mean for the measurement of class separability in statistical methods and divergence but also pixel's values of training affect the statistical feature. IKONOS image was showed that bands are high relation. It is better that images are as classifically as possibl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valued necessary process in geometric information building. This study help to improve accuracy of classification as feature of class separability in the class through optimizing previous classification steps.

      • GIS를 이용한 수문지형인자 추출에 관한 효용성 연구

        최현(Choi Hyun),안창환(Ahn Chang-Whan),이재윤(Lee Je-Yun),한호욱(Han Ho-Wook) 한국콘텐츠학회 2007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5 No.2_2

        하천의 수문해석을 위해서는 하천의 정확한 유역의 분할과 수문지형인자의 추출은 유역의 유출해석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유역의 분할 및 수문지형인자의 추출은 여러 가지 형태로 연구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이러한 방법들에 대한 명확한 기준은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최근 들어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수자원 분야에 적용하면서 과거에 비하여 많은 노력을 들이지 않고도 수치고도자료(DEM : Digital Elevation Model)를 이용하여 유역을 자유롭게 분리하고 대상지역의 수문지형인자를 손쉽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산정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기 구축된 국가지리정보(수치지도등)의 정도에 따라 수문지형인자의 변수값이 달라지는 등의 또다른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하천의 유역내 홍수량 산정시 사용하는 수치지도(1:25000, 1:5000), 토지 이용현황도, 토지피복도, 개략토양도, 정밀토양도등을 이용하여 유역의 수문지형인자 및 SCS 유출곡선지수(CN)를 GIS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추출하는 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For Hydrologic analysis of the river, the exact Dividing Watershed and Hydrologic-Topographical Parameters affect enormously Hydrologic analysis of the river basin. Therefore the extraction of Hydrologic-Topographical Parameters as well as Dividing Watershed are stiuied by several ways. However the definite standard of all those means are not settled. Recently GIS is applied to the field of water resources so that we can divide Watershed and calculate Hydrologic-Topographical Parameters of the targeted area easily and objective way for using DEM. Thanks to DEM, we don't have to spend much time as we did before. However other problems are generated such as the parameter value is changed by the precision of established NGIS(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etc. In this study, using GIS which is popular recently, we suggested efficient extract method of Hydrologic-Topographical Parameters SCS(Soil Conservation Service) CN(Curve Number) in watershed.

      • GIS와 RS 자료를 이용한 수문지형인자 산정에 관한 연구

        최현(Choi, Hyun),김영종(Kim, Young Jong),안창환(Ahn, Chang Whan) 한국측량학회 2011 한국측량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1 No.4

        GIS(지리정보시스템)란 컴퓨터를 이용하여 지형, 지리 등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그 특성에 맞게 분석하여 여러 목적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종합정보체계라 할 수 있다. 그리고 RS(원격탐사)란 지상이나 항공기 및 인공위성 등의 Platform에 설치된 Sensor를 이용하여 대상물에서 반사 혹은 방사되는 전자기파를 탐지하고, 이들 자료로부터 토지, 환경 및 자원에 대한 정보를 얻어 해석하는 기법으로 지리정보시스템 구축시 정보를 수집하는 핵심기술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리정보시스템과 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하여 지형수문인자 산정방법에 정량적인 자료추출을 구하고자 한다.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at use a computer to properly analyze the information in connection to the topography and geography can utilize appropriately it which is a total system. and RS(Remote Sensing)that use a sensor installed a platform in the land, airplane, and satellite etc detect an electromagnetic wave reflected or radiated from the subject of space. from these datas, the way that interpret the information about the soil, environment and resource when making the GIS is core technologies to collect information. Thus, this study that use the GIS and Data of Remote Sensing seek the Hydrologic-Topographical Parameters of Methods of the estimating quantitative data retrieval.

      • KCI등재

        소규모 건축물에 적용된 SCW 형식의 GWHP 시스템의 운전방식에 따른 냉난방시 지하수 온도 특성에 관한 연구

        양승진(Yang Seung-Jin),김주영(Kim Ju-Young),홍원화(Hong Won-Wha),안창환(Ahn Chang-Whan) 대한건축학회 2009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5 No.6

        Standing column well(SCW) in ground water heat pump(GWHP) system that is well known for the high efficient heating and cooling system was introduced in Korea 2004, and has been applied in large facilities. Therefore the research of optimum planning of the standing column well for small facilities should be made. Accordingly, this research is aim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underground water as heating and cooling source of the standing column well system that is applied in a small building in accordance with operation methods during heating and cooling. And these results also offers DB(database) for planing of the efficient standing column well systems, which are able to prevent the waste of underground water. For this research, the thermocouples were installed at 10 spots in the well, and the data on temperature of underground water were collected through the data logger all the year round. And temperature changes of the underground water were analyzed by shifting the operation methods of the standing column well system. Differences in the temperature of underground water in accordance with operation methods are clearly defined. Therefore,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constructing DB required for the optimum planning of small-scale SCW in GWHP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