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인차, 메타언어 자각, 언어 복잡성이 우연적 언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안지은(Jieun Ahn) 한국응용언어학회 2021 응용 언어학 Vol.37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cognitive style and impulsiveness), metalinguistic awareness, and linguistic complexity on incidental second language learning. Native speakers of English (N = 23) read the novel The Mysterious Affair at Styles (Christie, 1920) rewritten in a semi-artificial language, which consisted of English vocabulary and head-final Korean syntax. After reading, participants took a surprise grammaticality judgment test, which targeted five head-final Korean sentence patterns of different levels of linguistic complexity(simple/complex). Participants also completed debriefing interviews on metalinguistic awareness and individual difference surveys. When the outcom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linguistic complexity, learning effects were found to primarily stem from simple sentence patterns. Moreover, metalinguistic awareness and an experiential-intuitive cognitive style significantly predicted the incidental acquisition of complex sentence patterns. Metalinguistic awareness facilitated complex pattern learning, whereas an experiential-intuitive cognitive style had a negative impact on incidental learning of complex patterns.

      • 타지키스탄 대상 산림부문 공적개발원조 사업 타당성 평가

        안지은(Jieun Ahn),김가은(Gaeun Kim),김지원(Jiwon Kim),김승현(Seunghyun Kim),손요환(Yowhan Son) 고려대학교 생명자원연구소 2022 생명자원연구 Vol.30 No.-

        건조한 대륙성 기후를 가지는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아랄해 고갈 및 사막화에 대응하기 위한 산림 조성 및 산림 복원 협력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의 타지키스탄에 대한 산림부문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사업의 타당성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사업 추진 여부를 결정하고 추진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타당성 평가를 위해 경제협력개발기구 개발원조위원회(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OECD/DAC)에서 제공하는 6대 평가 기준을 변형하여 세 가지 평가 기준(적절성, 협력국준비태세, 지속가능성)을 수립하였다. 이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 후속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아울러, 사업의 성과 유지 및 지속가능성 증진을 위해 관계 기관의 역량 배양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중앙아시아 대상 산림 ODA 평가에 대한 사례 연구로써 향후 실효성 있는 평가법 개발 및 대(對)중앙아시아 산림 협력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Central Asian countries have demanded forest sector development to cope with depletion of the Aral Sea and desertification. As one of the development measures, the forest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project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ajikistan has been discussed. This study evaluated the feasibility of the project by reviewing the literature materials, and the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strategies were drawn. The feasibility study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ree evaluation criteria (relevance, readiness, and sustainability), which were modified from the ones of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OECD/DAC). Even though the project was evaluated as feasible,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revealed that the overall capacity of forest sector in Tajikistan should be advanced to guarantee sustainability of the project's outcome. This study will serve as a referable case study for developing reasonable evaluation system for the forest ODA projects and promoting the forest cooperation projects in Central Asia.

      • KCI등재

        암시적 지식 측정 도구로서의 단어 모니터링 과제(word monitoring task)의 타당성 검증 연구

        안지은 ( Jieun Ahn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1 외국어교육연구 Vol.35 No.1

        본 연구는 심리언어학적 기법을 사용한 단어 모니터링 과제(word monitoring task)가 제2언어 암시적 지식 측정 도구로서 타당한지 검증해봄으로써 암시적 지식과 명시적 지식 측정 도구에 대한 선행 요인분석 연구의 흐름(Bowles, 2011; R, Ellis, 2005; Vafaee, Suzuki & Kachisnke, 2017)을 이어나가고자 한다. 영어 원어민 화자 16명과 한국인 영어 고급 학습자 50명은 단어 모니터링 과제, 유도된 모방 시험, 시간 제약이 없는 문법성 판단 시험, 메타언어 지식 시험을 보았다. 본 연구에서 단어 모니터링 과제와 유도된 모방 시험은 암시적 지식 측정 도구로 가정되었고, 시간 제약이 없는 문법성 판단 시험과 메타언어 지식 시험은 명시적 측정 도구로 가정되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영어 원어민 화자들은 단어 모니터링 과제에서 한국인 영어 고급 학습자들보다 더 높은 문법적 민감도를 보여주었다. 한국인 학습자 중에 어렸을 때 영어권 국가에서 거주한 경험이 있는 학습자들은 문법적 민감도를 보였으나, 거주 경험이 없는 학습자들은 그렇지 않았다.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단어 모니터링 과제와 유도된 모방 시험은 한 요인에 수렴하였고, 시간 제약이 없는 문법성 판단 시험과 메타언어 지식 시험이 다른 요인으로 수렴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면 어휘 모니터링 과제는 암시적 지식 측정도구로서 충분한 타당성이 있다는 것을 강력히 시사한다. This study extends previous factor-analytic research on measures of second language (L2) implicit and explicit knowledge(Bowles, 2011; R. Ellis, 2005; Vafaee, Suzuki & Kachisnke, 2017) by validating the use of the word monitoring task (WMT), a psycholinguistic technique, as a measure of L2 implicit knowledge. Native speakers of English (n = 16) and Korean advanced learners of English (n = 50) took four tests: the WMT, the elicited imitation (EI) test, the untimed grammatical judgments test (UGJT), and the metalinguistic knowledge test (MKT). The WMT and the EI test were hypothesized as implicit knowledge measures, while ungrammatical items in the UGJT and the MKT were employed as hypothetical measures of explicit knowledg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native speakers of English showed more grammatical sensitivity in the WMT than the Korean advanced learners of English. Among the Korean advanced learners, the experienced learners were sensitive to grammatical violations, whereas the less experienced learners were not. In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WMT and the EI loaded onto one factor, while the UGJT and the MKT loaded onto the other factor. These combined findings provide strong evidence confirming that the WMT is a valid measure of implicit knowledge.

      • KCI등재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기반한 영어 그림책 어휘 및 문장구조 분석

        박지현(Park, Ji-Hyun),안지은(Ahn, Jieun)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021 초등영어교육 Vol.27 No.4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using English picture books to supplement the English input in primary English education. To this end, a corpus of 107 popular English picture books was constructed and analyzed in the context of the revised national English curriculum of 2015. Vocabulary in the corpus was compared with the basic vocabulary lists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syntactic complexity of sentences in the picture books was compared with the syntactic complexity of the example sentences of elementary-level language forms in the national curriculum. The results show that the vocabulary and syntactic complexity of picture books of ATOS book level 0-2 are generally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xical analyses also reveal that picture books contain exclamations, onomatopoeia, colloquialisms, and words that children can relate to their everyday life, which are likely to function as authentic input in primary English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