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 대상 미술교과교육 교과목의 운영 실태 및 개선 방안

        안지연(Jiyoun AHN),김남연(Namyun KIM) 한국조형교육학회 2020 造形敎育 Vol.0 No.74

        본 연구는 유아교사 양성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예비유아교사 대상 미술교과교육 교과목의 강의계획서 분석 및 강의자 면담을 통하여 교과목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교과목의 목표는 ‘유아미술교육 의 의미와 목적 이해’, ‘유아미술교육의 교수학습방법 습득’, ‘유아미술교육 환경 구축 및 유지 능력 함양’이 제시되었으며 이 중 ‘유아미술교육의 교수학습방법 습득’이 가장 강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목 내용은 크게 이론, 실기, 발표로 나뉘었는데 이론은 ‘유아미술교육의 필요성과 목적’, ‘미술의 요소와 원리’, ‘유아미술교육 교수학습방법’, ‘환경 구성’으로 구 성되었으며 실기의 경우 유아미술교육에서 주로 사용되는 재료와 기법을 실습해보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평가는 과제, 지필고사, 발표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미술 능력에 대한 평가보다는 수업에의 적용 능력에 대한 평가가 주된 것으 로 나타났다. 실태 파악을 토대로 예비교사 대상 미술교과교육 강의를 계획함에 있어서 목표에서 미술에 대한 전문성 향상 을, 내용에서 미술을 알고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평가에서 유아교사에게 요구되는 전문성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한 평가를 고려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미술교과교육의 개선을 위해 실기 교육에 있어서 내용과 방법에 대한 재고, 미술교 육전문가와 유아교육전문가의 협업, 비교과 프로그램 및 동아리 등을 통한 미술 경험 기회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tatus in art education subjects for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draw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through syllabuses and interviews with lecturers. Study shows that the course objectives are ‘understanding the meaning and purpose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acquiring teaching methods for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and ‘building and maintaining an environment for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The contents of the subject are divided into theory, practice and presentation. In the theory, it consists of necessity and purpose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 element and principle of art , teaching methods for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and environmental composition . In the practice, materials and techniques are used mainly in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The evaluation consists of homework, written test, and presentation. The main focus of evaluation is the ability to apply art classes rather than art itself. Based on the result, the lecture plan proposes the course objectives for the improvement of art expertise, the content to know and enjoy art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evaluation for the improvement of art expertise required to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art education subject,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contents and methods of art practice, cooperate with art education expert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and provide opportunities to increase art experienc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대학 교양 교육에서 비대면 동양화 실기교육에 대한 교수자들의 인식과 경험

        최재영(Jae-Young CHOI),안지연(Jiyoun AHN) 한국조형교육학회 2021 造形敎育 Vol.- No.80

        대학 교양 교육에서 비대면 동양화 실기교육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관련 경험이 풍부한 교수자를 대상으로 면담하고 그 결과를 ‘인식’, ‘준비’, ‘운영’, ‘평가’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식’은 수업 목표에 따라 인식의 간극은 컸지만 공통적으로 비대면 수업을 통해 교수자의 역할이 더욱 확장되었음을 인식하게 되었고 ‘준비’는 수업 준비를 위한 시간과 노력이 늘어났으나 수업 계획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장점도 있었다. ‘운영’은 교육 환경의 다양화로 인한 긍정적인 측면을 발견하고 활용할 수 있었으나 비대면 수업으로 인한 학생과의 물리적, 심리적 거리는 교수자 정체성의 혼란과 회의라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마지막으로 ‘평가’는 평가의 기준은 성실성이었고 비대면 상황에서 더욱 강화되었으며 작품의 왜곡, 고의적인 보정, 수정 프로그램의 활용으로 인해 정확하고 공정한 평가가 침해당할 수 있다는 점에서 어려움이 있었다. 위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활성화 방안을 교수자 내적 측면으로 교수자 역할에 대한 인식과 태도 변화, 미술 실기 수업의 목표 재설정 및 교수법 연수, 수업 목표에 맞는 평가 기준 설정을, 교수자 외적 측면으로 기자재와 공간 등 물적 지원, 미술 실기 수업 지원을 위한 학습관리시스템 개발 및 지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s with instructors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and activation plans of non-face-to-face oriental painting practice education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First of all, the perception showed a large gap in perception depending on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set by the instructors, but all of them agreed that their role has been expanded through non-face-to-face classes. The preparation had an advantage in that the class plan was systematically implemented, although time and effort to prepare for the class increased. The operation had difficulties due to limitations in interaction, but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as diversified to enable dynamic classes, showing many positive aspects as well. However, there were confusion in instructor identity and skepticism which was caused by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from students. Lastly, the criteria for evaluation were sincerity, strengthened in non-face-to-face situations, and it was difficult in that accurate and fair evaluation could be violated due to distortion of artworks, intentional correction, and use of modification program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changing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instructor’s roles, resetting goals of art practice classes and setting evaluation standards for instructional objectives, material support such as equipment and space, developing and supporting learning management system were proposed for improvement.

      • KCI등재

        우의(寓意)론에 기반한 수묵화 창작 경험의 교양 교육적 의의와 적용 가능성 탐색

        임장순(Jangsoon IM),안지연(Jiyoun AHN) 한국조형교육학회 2022 造形敎育 Vol.- No.84

        문인화의 우의(寓意)론에 기반한 수묵화 창작 경험의 교양 교육적 의의와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자화상을 주제로 수업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자신의 얼굴을 사생(寫生)을 통해 형상을 드러내되 닮음에 그치지 않고 이치를 파악하 도록 하였으며, 다음으로 사의(寫意)를 통해 생각과 느낌을 담고 관점을 세워 자신을 성찰하고 정체성에 대해 생각해 볼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얻을 수 있었던 자신의 모습은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는 기억의 표현으로 자신에게 의미 있는 공간과 상황 등을 통해 과거의 기억 가운데에서 잊고 있었던 자신을 발견하였다. 둘째는 마음의 표현으로 자신이 느끼는 생각과 감정을 다양한 수묵 기법으로 풀어내는 과정에서 자신을 발견하고 드러내었다. 이러한 우의론에 기반한 수묵화 창작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주관적으로 성찰하며, 시각 언어를 통해 타인과 소통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자신을 인식하고, 강화하고, 확장하기 위한 방안으로 문인화의 정신을 담은 수묵 창작 경험의 교양 교육적 의의와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related class to explore the meaning and its applicability of su-muk painting classes based on Yuyi(寓意) in the liberal arts education. First, students drew shapes not only for the similarity, but also for perceiving its principle. Secondly, students deposited their thoughts and experiences into the images considering their identities. The self-image that the students were able to draw in these classes revealed in two ways. Firstly, the expression of memory. They found themselves in the memories of the past through drawing their meaningful spaces and times. Secondly, the expression of their mind. They revealed themselves by unraveling their thoughts and feelings with various ink wash techniques. Through the drawing, students were able to review themselves objectively and subjectively, communicating with viewers through various visual languages.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meaning of the su-muk painting for students to recognize, strengthen and expand themselves.

      • KCI등재

        초등교사의 인식과 경험을 통해 본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

        이경언(Kyungeon LEE),안지연(Jiyoun AHN) 한국조형교육학회 2021 造形敎育 Vol.- No.78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통합교과 관련 경험이 풍부한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의 인식, 수업 경험, 애로점에 대해서 면담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 인식의 간극은 크지만 교과의 필요성과 학생들의 흥미는 높으며 교사들에게도 자신 있고 즐거운 교과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교육과정 및 교과서는 보완이 필요하며 누리과정 및 3-4학년 음악/미술 교과와 보다 체계적인 연계가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수업 계획의 기준은반 아이들이며 수업을 계획하기 위한 큰 틀로서 교육과정을, 교과서는 틀 안을 다채롭게 채우기 위한 도구로 활용하고 있었 다. 수업 실행은 협력 학습과 프로젝트 학습이 주로 활용되었고 주제 학습 지도과정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는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즐거운 생활’ 교과 운영의 애로점은 창의적 표현과 놀이 또는 장난의 경계가 모호하다는 점, 교사마다 성취기준의 해석이 다르다는 점, 통합교과 지도를 위한 연구와 연수가 부족하다는 점이 제시되 었다. 면담 분석 결과에 따라 교육 내용의 측면과 교사 연수의 측면에서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and analyzed interviews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their class experiences and difficulties in order to identify the current practices of the ‘Pleasant Life’ curriculum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 The gap between teacher perceptions was significant, but the need for the subject and students interest was high, and teachers were confident and enjoyed the subject.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needed to be supplemented and more systematic links with Nuri curriculum and music/art curriculum in the 3, 4 grades. The standard for class planning was their students, and the national curriculum was used as a large framework for class planning, and textbooks were used as a tool to fill the framework with various activitie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mainly used for collaborative learning and project learning, and the topic learning teaching process was shown to be effective, and the evaluation was used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learning. The difficulties of the ‘Pleasant Life’ curriculum was that the boundary between creative expression and play was ambiguous, different interpret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among each teacher, and the lack of research and training for integrated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analysis, improvement plans were proposed in terms of education content and teacher training.

      • KCI등재

        스포츠가치교육으로서 올림픽가치교육프로그램(OVEP)의 교육적 가능성 탐색

        홍애령(AeRyung Hong),안지연(JiYoun Ah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6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IOC 올림픽가치교육프로그램(OVEP) 표준매뉴얼 분석을 통해 올림픽가치교육의 개념과 특성을 이해하고, 우리나라의 교육환경에 적합한 청소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OVEP의 국내외 교육현황을 파악하고 우리나라에서의 교육적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스포츠가치교육으로서 OVEP의 실행 배경과 전개양상, 특징과 주요 개념을 살펴보고,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싱가포르, 프랑스 외 12개국의 OVEP 교육현황과 이와 유사한 국내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고려해보았을 때, OVEP은 교육목적 및 내용의 특성상 체육, 도덕, 사회 등의 교과와 성격이 매우 유사하여 일부 교과 단원에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녔다. 또한 교육내용적 측면에서 융합교육, 인성교육, 범교과 학습 주제를 강조하는 현 상황에 적합한 내용요소가 될 것이다. 교육제도적 측면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 자유학기제, 방과 후 돌봄교실, 사회복지실을 활용하여 초 중등교육의 교과 내와 교과 외 활동으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 사례를 제안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OVEP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현실적 조처와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Olympic value program by analyzing standard manuals of IOC Olympic Value Education Program(OVEP). The study also aimed to explor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tuses and educational potential of OVEP in order to develop and provide educational programs for adolescence that take account of education circumstances in Korea. Significances of OVEP as sports value education were examined in terms of background, development, distinct features, and important concepts. Current education examples of OVEP from 13 different countries were also examined including Korea, Australia, Canada, New Zealand, Singapore and France. For Korea, we could find some possibilities for OVEP to be included in certain subject chapters because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contents of OVEP were similar to those of moral, physical and social education. Contents of OVEP fit well with current status that emphasizes convergence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and cross-curricular learning themes. In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system, OVEP can be variously applied to both as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by utilizing creative field work, free learning semester, after-school program or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zone. Practical measures and future studies for effective OVEP application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대학생들의 예술 인식에 대한 개념도 연구

        김민희(Minhee KIM),김두이(Dooiee KIM),안지연(Jiyoun AHN) 한국조형교육학회 2021 造形敎育 Vol.- No.80

        본 연구는 대학 교양 교육에서 맞춤형 예술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대학생들의 예술에 대한 인식 구조를 분석한 개념도 연구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15명을 대상으로 예술 인식에 대한 아이디어를 산출하였고, 최종적으로 56개의 진술문을 도출하였다. 이들 진술문에 대해 참여자들이 평정한 범주의 유사성 행렬을 활용하여 다차원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개념도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예술은 ‘포괄적-구체적’과 ‘사람-작품’의 두 차원으로 나뉘어 있었다. 둘째, 군집은 ‘예술의 본질과 표현’, ‘예술의 기능’, ‘나와 구별된 세계’의 3개 범주로 이루어져 있었다. 셋째, 각진술문에 대해 연구 대상자가 동의하는 정도는 ‘예술의 본질과 표현’ 군집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예술의 기능’ 군집과 ‘나와 구별된 세계’ 군집이 뒤를 이었으며 예술에 대한 포괄적인 진술이 구체적인 진술에 비해 동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맞춤형 예술교육과 관련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위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undergraduates’ awareness structure of art and to use it as basic data for customized education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The idea of art awareness was come up with for 15 undergraduates, 56 statements were obtained. The multidimensional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for these statements were conducted using the similarity matrix of the categories evaluated by the participants to analyze the concept mapping.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rt awareness by undergraduates was divided into two dimensions: comprehensive-specific and person-artwork . Second, the cluster was consisted of three categories: the essence and expression of art , the function of art , and the world distinct from me . Third, the result about the degree of agreement was the essence and expression of art cluster was the highest, function of art was the second and world distinct from me was the last. Moreover, comprehensive statements were found to have higher agreement than specific statemen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related to customized art education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for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