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니한테 자랑하는 거니?”: 한국 아동들의 의사친척용어 학습을 통한 사회적 지위와 위계의 사회화

        안준희 ( Ahn Junehui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6 韓國文化人類學 Vol.49 No.3

        본 논문은 한국 아동들이 한국 사회의 위계 및 사회적 지위에 적합한 의사소통방식을 습득하는 과정에 주목한다. 구체적으로는 사회화 현장에 나타난 의사친척용어와 관련된 사회화 및 또래 담화를 분석하여, 아동들이 의사친척용어 사용의 학습을 통해 사회적 위계, 지위, 역할 등에 대한 문화적 의미를 습득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논문은 교사들이 모형제시와 명시적 사회화 담화라는 두 가지 전략을 사용하여 의사친척용어의 사용과 관련된 사회언어적 규칙과 이에 수반되는 사회적 지위 및 위계의 문화적 모델을 제공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동시에 또래 담화에 대한 분석은 아동들이 의사친척용어의 사용과 관련된 다양한 일련의 언어적, 사회적 자원들을 동원하여 또래의 사회적 관계를 조정, 협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렇게 아동들이 만들어낸 비전형적이지만 관례화된 의사친척용어 사용은 위계를 표시하는 자칭의 사용, 가상의 프레임 동원, 형님, 아가 담화의 전략적 차용 등을 특성으로 하였다. 논문은 분석 결과를 언어사회화 연구의 기본 전제, 한국어 언어사회화 환경의 특성, 또래 담화연구, 호칭어 및 지칭어 사용의 다면적 특성에 대한 연구들과 관련지어 논의한다. This paper examines how Korean children acquire sociolinguisic rules regarding fictive kin term usage and accompanying cultural meanings of hierarchy through their everyday participation in language socialization practices. The analysis of teacher-children discourses shows that teachers use modeling and explicitly differentiated `big boy` and `baby` discourses as socializing strategies for children`s kin term usage. Exposed to a linguistic environment in which fictive kin term usage and hierarchy are highly salient, children creatively use and appropriate sociolinguistic rules regarding kin term usage to debate and negotiate peer relationships. The paper argues that children`s practices of fictive kin term usage socialize them simultaneously into the cultural model of social hierarchy, and provide them the linguistic means of inhabiting it.

      • KCI등재

        갈등과 사회적 관계의 사회화: 미국과 한국 유아교육 기관의 갈등사회화 관습 비교를 중심으로

        안준희 ( Junehui Ah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21 교육인류학연구 Vol.24 No.1

        본 논문은 미국과 한국의 유아교육 기관에서 실천되는 갈등사회화 관습을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이에 투영된 두 사회의 문화특수적 사회관계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두 문화의 갈등사회화 관습은 교사의 갈등에 대한 태도, 역할, 개입 빈도, 갈등의 책임을 다루는 방식, 그리고 갈등을 둘러싼 행동의 의도와 감정이 형상화되는 방식에 있어 문화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의 갈등사회화 관습은 교사의 적극적 개입과 중재자로서의 역할, 가해자와 피해자의 구체화, 갈등에 있어서 감정의 중요성, 한국의 사회화 관습은 교사의 무개입, 갈등의 책임을 갈등 당사자 공동에게 부여하는 방식, 갈등에 있어서 의도의 중요성을 각각 특성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은 이러한 문화적 차이를 두 문화에서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사회적 관계, 사회성, 공동체의 특성과 연계하여 분석, 논의한다. This paper comparatively analyzes teachers’ involvement with peer conflict in preschool classrooms of the U.S. and Korea to illuminate culturally specific ways of conflict management in the two cultures. The analysis of conflict discourses shows that conflict management practices of two cultures differ in terms of teachers’ attitude toward conflict and their roles in conflict management and the ways responsibilities, intentionalities, and feelings involving conflicts are dealt with. The conflict socialization practices of the U.S. are characterized by teachers’ active intervention in children’s conflicts as mediators, the specification of the offender and the victim, and the importance of feelings in conflicts, whereas the Korean ones are featured by teachers’ non-intervention tendency, the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to all parties involved in conflicts, and the significance of intentionality. The paper contends that children, through participation in conflict management practices, not only learn culturally specific ways of carrying out, managing, and resolving conflict, but are also socialized into societal values of social relationships, social and moral order, and socialities.

      • KCI등재

        한국 아동들의 말놀이 유형과 사용 양상: 어린이집 교실 담화를 중심으로

        안준희(Ahn, Junehui)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21 비교문화연구 Vol.27 No.2

        본 논문은 어린이집 교실 담화에서 연행되는 아동 말놀이 사례들을 수집하여 이의 구조적 특성과 사용 양상을 살펴본다. 말놀이 사례의 분석은 아동 말놀이가 동음이의어를 사용한 말재간, 금기어나 욕설의 사용, 예상치 않은 맥락에서의 공손 관용 표현, 말 겨루기라는 네 가지 표현 양식상의 유형을 특징으로 하며, 사용 양상에 있어서는 갈등 완화 전략과 교실 질서의 재구성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분석 결과는 아동들이 다양한 말놀이 목록을 습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어의 음운론적, 의미론적 구조 및 언어 사용의 문화적 맥락에 관한 매우 정교한 지식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논문은 아동 말놀이에 나타난 문화특수적, 범문화적 특성들을 말놀이에 관한 기존 연구 결과들과 연계하여 논의한다. In this paper, I examine the structure and use of children’s verbal play performed in a Korean preschool classroom. Based on sociolinguistic analysis of verbal play occurring in everyday classroom discourses, the paper lists pun, taboo words, the playful or silly polite routines, and verbal dueling as main structural properties of children’s verbal play. It further shows that children strategically use verbal play to avoid or mitigate peer conflicts and also to subvert social order and hierarchy within the classroom. The findings articulate that children not only possess rich repertoires of verbal play but know how to parse language and grammatical structure to constitute their identities and social relationships within local classroom community.

      • KCI등재

        말단계의 전략적 사용을 통한 모호한 관계 만들기: 대학생의 카카오톡 의사소통에 나타나는 공적 말하기 전략

        김예니 ( Kim Yeny ),안준희 ( Ahn Junehui ) 한국문화인류학회 2023 韓國文化人類學 Vol.56 No.1

        다양한 맥락이 중첩된 의사소통 상황에서 개인은 복잡하고 절묘한 말단계 선택을 통해 전략적인 관계 맺기를 시도한다. 본 논문은 A대학교 교내 동아리 ‘비하인드’의 ‘팀장단’이 참여한 카카오톡 채팅을 분석하여, 규범적 말단계에서 벗어난 ‘모호한 말단계’가 일상적 의사소통에서 사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팀장단 채팅방에서 ‘모호한 말단계’는 ‘말단계 선택 회피’, ‘영어로 말하기’, ‘높임 어미 변형’, ‘이모티콘을 동반한 말하기’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모호한 말단계’는 이들이 참여하는 말상황의 성격 또한 모호하게 만들고 있었다. 동아리 업무의 원활한 수행이라는 목표를 위해 서로를 공적이면서도 편안하게 대하는 팀장단의 조직 문화를 고려했을 때, ‘모호한 말단계’ 사용이라는 팀장단의 언어적 실천은 실천공동체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정체성 실천으로 해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팀장단은 ‘모호한 말단계’ 사용을 통해 한편으로는 동료이자 친구라는 다중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고(긍정적 정체성 실천), 다른 한편으로는 위계적인 관계를 피하며(부정적 정체성 실천) 공식성과 친밀함 사이에 있는 관계의 모호성을 유지하였다. In everyday life where various contexts are layered, Korean speakers not just choose only one of the grammatical Korean speech levels but take more complex linguistic strategie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actional sociolinguistics, which assumes sociocultural contexts of communication are created from each verbal and non-verbal interaction made by individuals, this study analyzed the KakaoTalk chats involving ‘team leaders’ of ‘BE:HIND’, the members of a student club at A University. The study found that four kinds of ‘indistinct speech levels’ - ‘avoiding choice of a particular speech level’, ‘speaking in English’, ‘modifying an ending of the words’, and ‘speaking with emoticons’ - were used in their daily communication for ‘working’ and made the speech situations ambiguous. Considering that team leaders aimed to treat each other both officially and comfortably for working, the use of ‘indistinct speech levels’ is a kind of identity practice to achieve a goal of team leaders as member of the community of practice. They produced the ambiguity of their relationship between formality and intimacy in order to ‘proper’ working environment by using ‘indistinct speech levels’ as a strategy for performing their multiple roles of coworkers and friends at the same time(positive identity practice) and avoiding hierarchical relationships(negative identity practice).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