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기본지리정보 활용 활성화방안 연구

        홍상기(Sang-Ki Hong),안종욱(Jong-Wook Ahn) 대한공간정보학회 2006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6 No.5

        정부는 “국가지리정보체계의 구축 및 활용에 관한 법률”에 의거 GIS에 기본이 되고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기본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연차적으로 구축하고 있다. 2001년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기본지리정보의 활성화를 위해 2003년부터 교통(도로)분야, 2004년 수자원분야의 기본지리정보를 전국단위의 연속적인(seamless)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였다. 제1단계 기본지리정보구축의 목표는 국가지리정보 수요자가 광범위하고 다양하게 GIS를 활용할 수 있도록 가장 기본이 되고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지리정보를 구축해서 제공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제1단계 기본지리정보구축사업의 목표가 기본지리정보의 구축에 있었으므로 이에 대한 유지관리 및 활용방안에 대한 검토가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지리정보 활용의 활성화방안 마련을 위해 효율적인 기본지리정보 유통방안과 민간부문과의 협력체계 확대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첫째, 기본지리정보 유통방안으로는 국가지리정보유통망을 통한 온라인 유통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온라인 유통방안 중 기본지리정보 통합관리기관이 기본지리정보 통합관리소의 역할을 수행하는 중앙집중식의 유통방안이 현 시점에서는 효과적인 유통방안인 것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기본지리정보 유통가격과 관련해서는 활용활성화 측면에서 차별가격, 단계별 가격, 저작권료 적용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인터넷을 이용한 기본 지리정보구축사업의 홍보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협력체계 확대구축방안으로는 현재의 기본지리정보 구축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는 추진협의회를 활용활성화 측면에서 활용기관인 지자체 및 공공기관 그리고 민간업체를 포함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때 파트너십을 통한 네트워크 구축이 중요하다. 셋째, 기본지리정보 활용활성화를 위한 문제점 개선방안으로는 기본지리정보 정의 및 분야 그리고 항목의 재정비 방안, 그리고 품질향상방안, 표준정립 방안을 제시하였다.

      • 공간정보 기반의 협업지원플랫폼 분석 및 구축

        최원욱,홍상기,안종욱,Choi, Won Wook,Hong, Sang Ki,Ahn, Jong Wook 한국공간정보학회 2015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3 No.4

        The fact that the limits of information recency, diversity, and usability are mainly caused by the supply oriented geospatial data and service development is commonly recognized. It is recently tried to overcome the limits by facilitating user experience and VGI(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 in several geospatial web services. This study suggests conceptual architecture and service scenario for geospatial collaborative platform prototype through review and examination of previous researches. The prototype, composed of 4 unit modules: 3D POI Creation Module, 3D POI Application Module, 3D POI/Event Management Module, 3D POI/Event Monitoring Module, provides the capability of collaboratively dealing with geospatial work. The suggested service scenario is demonstrated by developing prototype for the service modules. 일반적으로 공급중심의 공간정보 데이터 구축 및 서비스 개발은 정보의 최신성, 다양성, 활용성의 한계를 수반한다. 최근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공간정보 웹서비스에 사용자 경험과 참여기반의 공간정보(VGI: 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를 활용하려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공간정보 기반의 협업지원플랫폼 프로토타입 개발을 위한 개념적 아키텍처와 서비스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또한 '3D POI 생산모듈', '3D POI 활용모듈', '3D POI/이벤트 관리모듈', '3D POI/이벤트 모니터링 모듈' 총 4개의 모듈로 구성된 프로토타입을 공간정보 협업을 위한 기능으로 제시하였다. 제안된 서비스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개별 모듈들의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 사용자 참여형 공간정보 웹서비스의 가치사슬분석

        최원욱,홍상기,안종욱,Choi, Won Wook,Hong, Sang Ki,Ahn, Jong Wook 한국공간정보학회 2014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2

        일반적으로 공급중심의 공간정보 데이터 구축 및 서비스 개발은 정보의 최신성, 다양성, 활용성의 한계를 수반한다. 최근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공간정보 웹서비스에 사용자 경험과 참여기반의 공간정보(VGI: 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를 활용하려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VGI를 지원하는 공간정보 웹서비스의 10C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또한 10C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사용자 참여를 통하여 VGI를 생산하는 23개 공간정보 웹서비스의 가치사슬체계를 분석하였다. 가치사슬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VGI의 생산, 수집, 전달, 이용 측면에서 공공 공간정보의 가치증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fact that the limits of information recency, diversity, and usability are mainly caused by the supply oriented geospatial data and service development is commonly recognized. It is recently tried to overcome the limits by facilitating user experience and VGI(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 in several geospatial web services. This study suggests 10C framework of geospatial web service for VGI through review and examination of previous research. Based on the 10C framework, the value chain system of 23 use cases relevant to the geospatial web service involving the creation of user's VGI is investigated. The result of the value chain analysis is applied to examine and formulate the strategies to generate value addition from public spatial information with respect to creation, aggregation, delivery, and consumption process of VGI.

      • 공간정보 소셜플랫폼의 개념과 플랫포머로서 정부의 역할

        최원욱,홍상기,신동빈,안종욱,Choi, Won-Wook,Hong, Sang-Ki,Shin, Dong-Bin,Ahn, Jong-Wook 한국공간정보학회 2012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4

        현재의 공간정보서비스는 스마트 사회의 도래에 따라 정보화 사회에서 축적된 공간정보의 콘텐츠 및 기술적 자산을 기반으로 스마트 사회에 걸맞은 모습으로 새롭게 전환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이 보다 경쟁력 있고 지속적인 자생력을 갖추기 위하여 공간정보 소셜플랫폼으로 전환해야 하는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이 공간정보 소셜플랫폼으로 점진적으로 진화하기 위한 소셜화의 요구조건들을 P. Savalle가 제시한 소셜플랫폼이 갖추어야 할 주요 개념을 기준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스마트 사회에 대응한 공간정보 서비스의 구현기반으로서 공간정보 소셜플랫폼의 개념과 플랫포머로서의 정부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Moving forward on smart society, change of the way to solve the spatial issue used in information society is required. In order to be competitive and sustainabl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existing "spatial information open platform" strategy needs to be transformed into "spatial information social platform". The requirement for the spatial information open platform to be socialized and evolved into the spatial information social platform is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platform P. Savalle(2010) suggested. Based on the investigation, the definition of spatial information social platform is formulated. Several roles of the government as a platformer to create and manage the spatial information social platform are suggested.

      • KCI등재
      • 공간정보 기반의 소셜서비스 플랫폼을 활용한 참여형 공간설문 서비스 개발

        최원욱(Won-Wook Choi),홍상기(Sang-Ki Hong),안종욱(Jong-Wook Ah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4 한국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11

        본 연구는 공간정보 기반의 소셜서비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시민참여를 통한 공간설문 서비스 개발을 주요 연구목표로 설정하였다. 연구목표 달성을 위하여 시민참여를 통하여 층간소음에 대한 공간데이터를 수집 ㆍ공유 ㆍ활용하는 시범 서비스 구현사례(Use Case)를 제안하였다. 본 시범 서비스는 공간정보 기반의 소셜서비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층간소음정보의 수집, 시각화, 층간소음정보의 비교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시민 참여를 통하여 층간소음정보를 자가 진단 및 생성, 시민참여의 수가 증가할수록 양질의 층간소음정보가 구축 및 제공되도록 서비스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본 시범 서비스는 시민들이 웹과 모바일을 통하여 공간설문에 참여하고, 특정 공간정보를 생산ㆍ수집 ㆍ공유 ㆍ활용하는 등 공간정보 기반 소셜서비스 플랫폼의 핵심기술을 구현했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참여형 공간정보 웹서비스의 활용사례 연구

        최원욱(Won-Wook Choi),홍상기(Jong-Wook Ahn),안종욱(Sang-Ki Hong) 대한공간정보학회 2014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5

        공급자 중심의 공간정보 콘텐츠 생산 및 서비스 개발로 인하여 수반되는 정보의 최신성 결여, 다양성의 한계, 활용성의 미비 등 공간정보의 질적 가치를 저해하는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사용자 참여와 협업기반의 공간정보 웹서비스가 전략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23개 사용자 참여형 공간정보 웹서비스의 활용사례 분석을 통하여 웹서비스를 통한 공간가치 창출 전략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공공 공간정보의 가치향상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3차원 공간정보 도로 데이터 모델 표준 설계 및 구현

        김병선(Kim, Byeong Sun),정다운(Jeong, Da Woon),오세훈(Oh, Se Hoon),안종욱(Ahn, Jong Wook),홍상기(Hong, Sang Ki) 대한공간정보학회 2019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7 No.5

        본 연구는 3차원 도로 데이터 모델을 설계하고 여의도를 대상으로 설계 내용을 실험적으로 구현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도로와 관련된 국제 표준인 geographic data file (GDF)의 특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CityGML-Transportation model이 기존의 표준과 비교하여 3차원 도시 모델에서 도로 공간을 반영함에 있어서 가장 적합한 데이터 모델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관련 문헌 검토와 사용자 요구사항 조사를 통해 CityGMLTransportation model의 한계점과 개선 사항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unified modeling language (UML)를 이용해 CityGML-Transportation model 기반의 3차원 도로 데이터 모델을 설계하였으며, 여의도를 대상으로 설계 내용을 구현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활용 잠재력이 높은 3차원 도로 데이터의 구축과 활용에 기초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design transportation model for detailed 3D road data and to implement the representation of the street space for Yeouido City. For such purpose, we reviewed related standards dealing with street modeling such as GDF, LandInfra and CityGML-Transportation model. From this comparison, it can be concluded that CityGML-Transportation model may be a good solution for addressing the shortcomings of the other standards and ensuring the usability of roads within 3D city models. Subsequently, the CityGML-Transportation model is examined to discovery some critical issue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s well as on user requirements and a number of improvements are presented. Finally proposed concept is designed by using UML and implemented for Yeouido City. It is judg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applied on the basis of the construction for detailed 3D road data which have high potential ap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