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비쿼터스 시대 방송환경의 변화와 전망에 관한 연구

        안종묵 이혜란 청주대학교 학술연구소 2010 淸大學術論集 Vol.14 No.S

        This research was related to the study on the change of broadcasting and its prospection in Ubiquitous era. The broadcasting environment is changing in this ubiquitous era. Ubiquitous' environment had an effect on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and brought about the convergence of the broadcasting communication. This change will influence on formats and forms of broadcasting programs in the future. In particular, DMB service will be use for public good channel like a emergency management broadcasting, and its service will influence to many people. But we should think that ubiquitous bring about personal information leak, information gap and so on. So we need to have a subjective attitude to using ubiquitous system in the new multimedia environments.

      • 미디어 수용자 연구의 패러다임 변화 : 이용과 충족이론을 중심으로

        안종묵 이혜란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08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0 No.1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이루어진 이용과 충족이론의 연구경향을 역사적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사람들은 여러 가지 개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특정 미디어 내용을 추구한다는 이용과 충족이론은 1950년대에 약효과 이론의 강세에 반발해 카츠(Elihu Katz)에 의해서 제안되었다. 이 이론은 송신자의 설득적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측정하는 효과연구와는 달리 수용자를 적극적인 존재로 생각하여 수용자의 욕구, 동기, 기대 등 수용자로부터 미디어 기능의 문제에 접근해 간 점, 그리고 수용자를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능동적인 인간으로 고찰하고 있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연구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이론은 매스 미디어가 수용자들에게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시청자들의 동기화와 행위, 즉 그들이 어떻게 그리고 왜 미디어를 이용하는지 조사한다. 또한 1940년대에서 1960년대 중반까지 유행했던 매스 미디어의 선별효과이론을 퇴조시키고 그 대신 중효과 이론들을 대두시키는데 있어 선구적 역할을 했다는 점, 그리고 수용자를 연구의 주체로 등장시켰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