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유아의 부모교육에 관한 문헌연구

        안의정 ( Eui Jung An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5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1 No.4

        본 연구에서는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유아의 부모교육에 관한 국외 문헌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대상 문헌으로 정서 및 행동 문제가 일차적 문제인 학령전기 유아의 부모가 연구 참여자이며, 부모교육을 직접 실행하여 효과성을 측정한 논문으로서 2005∼2014년 사이에 발행된 문헌을 선정하였다. 이와 같은 기준에 부합하는 논문을 절차에 따라 검색한 결과 총 19편의 문헌을 최종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들은 첫째, 부모교육 관련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출판년도,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종류, 대상 유아, 연구 방법, 중재 목표, 중재 결과로 나누어 전반적인 개관을 하였다. 둘째, 중재로 실행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과 방법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9편의 논문에서 7가지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도출되었으며, 모든 연구 결과들은 유아의 문제행동 감소와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의 향상을 보고하였다. 도출된 프로그램 중 증거 기반의 실제(EBP)로 인정받고 있는 Incredible Years®와 Triple-P® 프로그램에 대해 비중 있게 소개하였고, 기타 프로그램들에 대한 내용 및 방법도 소개하였다. 문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유아의 부모교육에 대한 시사점들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foreign literatures on parent training of the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Literatures, which were published from 2005 to 2014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by directly conducting parental training and in which the parents of preschoolers participated as the research participants, have been selected. After the procedural search on literatures to meet the above criteria, 19 documents have been finally taken. A general overview of the selected researches is implemented to firstly inspect the trend of parental training-related researches by the publishment date, the kinds of parental training programs, the target children, the research methods, the goal of intervention and the result of intervention respectively. Secondly, the detailed contents and methods of parental training programs have been arranged. As the result of analysis, 7 kinds of parental training programs from 19 literatures have been drawn and most of the research results have reported the decrease of problematic behaviors of children and the betterment of child-rearing attitude. Introduction of the Incredible Years® and Triple-P®, which have major proportion among several derived programs, has been made heavily and the contents and methods of other programs are also introduced. Based on the document analysis, the implications on parental training of korean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have been treated.

      • KCI등재

        장애 영유아를 위한 예비보육교사의 사전실습 프로그램 모형 개발

        김승현,원종례,안의정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6 특수교육 Vol.15 No.1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사전실습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장애 영유아를 위한 예비보육교사의 사전실습을 위한 지침으로서의 모델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사전실습 프로그램 모형은 문헌분석을 통해 정리된 모델을 실제로 실행하여 수정 보완하는 과정을 통해 모형을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사전실습 프로그램 모형은 이론적 준거를 위한 선행연구 고찰, 사전실습 프로그램 모형 체계 마련, 사전실습 프로그램 모형 구성, 사전실습 프로그램 모형 실행, 사전실습 프로그램 모형 평가, 사전실습 프로그램 모형 수정 및 보완의 과정을 통해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사전실습 구체적인 이해를 위해서 사전실습 프로그램 모형의 특징과 구성 내용 및 모형 내 구성원들의 역할에 대해 제시하였다. 결론: 본 사전실습 프로그램 모형은 전 학년에 걸친 단계적 현장실습의 실행, 사전실습의 체계적 운영에 유용한 모델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효과적인 사전실습 실행을 위한 슈퍼바이저 활용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with guidelines for teaching infants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via developing a practicum program model. Method: The practicum program model development process and its constituent parts are proposed. Results: The study addresses the objectiv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acticum program model, gives details about its constituent parts, and defines the roles of participants. Discussion: This practicum program model can be effective in implementing a progressive practicum program for children of all ages that operates in a systematics way. The study also discusses the ways in which a supervisor can be utilized to ensur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practicum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