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 코로나19 전후비교를 중심으로

        안은미(An, Eunmi),안영미(An, Youngmi),정익중(Chung, Ick-Joong)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60 No.2

        코로나19 이후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는 변화된 환경에서 소진을 경험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소진을 예방하기 위해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영향요인으로 개인특성, 센터특성, 업무특성, 코로나19 특성을 투입하여 분석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를 대상으로 2019년과 2020년에 각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두 자료를 병합하여 총 500명의 종사자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코로나19발생 전후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는 동일하게 소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 전후 차이를 보이는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코로나19 이전에는 소진에 교육문화프로그램 만족도가 부적(-)영향, 정서지원프로그램 만족도는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코로나19 이후에는 보호프로그램 만족도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19 특성 중 코로나 스트레스, 온라인교육 경험, 온라인 교육 어려움이 종사자의 소진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사회복지의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Coinciding with the advent of COVID-19, burnout in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is on the ri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burnout of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exhaustion problems. For this purpose, we categorized the factors in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center characteristics, work characteristics, and COVID-19 characteristics. This study conducted survey interviews with 500 workers at community child centers for the years of 2019 and 2020.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job satisfaction of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before and after had the same negative(-) effect on the burnout. Second, prior to the COVID-19, satisfaction of educational and cultural programs had a negative(-) effect, and satisfaction of emotional support programs had a positive(+) effect on burnout. However after COVID-19, satisfaction of protection programs had a negative(-) effect on burnout. Third, COVID-19 stress, online education experience, and difficulty in online education of characteristics of COVID-19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urnout of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o improve working conditions at community child centers in order to prevent workers’ burnout.

      • KCI등재

        또래관계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가정외보호와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안은미 ( An Eunmi ),조수민 ( Cho Soomin ),정익중 ( Chung Ick-joong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8 청소년복지연구 Vol.20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out-of-home care and self-esteem when the peer relation influences adolescent school adjustment. Data from both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in Out-of-home care(PSKCOC) and the National Survey of Children in Korea, involving 742 youths in the 5th to 6th grades were analyzed. Results using SPSS PROCESS MACRO method are as follows. First, it was identified that self-esteem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peer relation and school adjustment. Second, in the influence of the peer relation on self-esteem, the moderating effect of whether or not adolescents are in out-of-home care emerged. The self-esteem of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were more affected than general adolescents by the peer relation. Third, in terms of the effect of self-esteem on school adjustment, and the direct effect of the peer relation on school adjustment, there was no statistically difference between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and general adolescents. In sum, it is verified that the effect of the peer relation on school adjustment was different depending on self-esteem. It suggests the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 for social welfare through paying attention to the difference between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and general adolescents.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지역사회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과 빈곤아동 발달

        안은미(An, Eunmi) 한국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사회복지학 Vol.68 No.1

        본 연구는 서울시립교향악단의 「우리동네 오케스트라 학습영향평가」를 위해 수집된 종단 자료를 사용하여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운영하는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이 빈곤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효과와 그 효과를 촉진하는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 요소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빈곤 아동의 발달부 분인 우울, 공격성, 공동체성, 대인관계와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 효과를 촉진시키는 활동요소인 평가, 만족, 외부의 관심과 참여를 주요 변수로 구성하여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과 빈곤아동발달에 관한 잠재 성장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 효과로 빈곤아동의 우울, 공격성, 대인 관계에 의미 있는 긍정적 발달을 보였다. 또한 아동발달궤적의 조건모형에서 음악평가는 공동체성의 변화율에, 태도평가는 우울과 공격성, 공동체성의 초기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만족은 공동체 성과 대인관계의 초기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관심과 참여는 공격성 초기치 에 부정적 영향을, 지역사회 관심과 참여는 우울과 공격성 초기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에 참여하는 빈곤아동의 발달에 관한 이해를 돕 고 사회복지사의 직접적인 개입의 실천적 근거를 제공하고, 사회복지계, 문화예술계, 교육계 등의 빈 곤층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여 빈곤아동 발달의 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n development of poor children by community-based orchestra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e orchestra educational activities factors for promoting the effects using longitudinal data are those collected for ⌜The Evaluation of the Impact of Our Neighborhood Orchestra on Children’s Learning⌟ made by the Seoul Philharmonic Orchestra.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employed a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of the factors such as depression, aggressive behavior, communa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development of poor children and evaluation , satisfaction, outsiders’attention and participation of facilitative factors. The result shows that they displayed significantly positive development in depression, aggressive behavior,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t appears that the evaluation on music achievemen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rate of change in communality, while the evaluation on attitude had an impact in the initial value of depression, aggressive behavior, and communality, also the sense of satisfac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initial value of communa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conditional models. And parents’ attention and participation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initial value of aggressive behavior, while the attention and participation of the community showed a positive impact on the initial value of depression and aggressive behavior.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attempted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poor children taking part in orchestra-based educational activities and provide a practical basis for social workers’ direct invention, and look for new ways by shedding light on the merits of the cultural/art education of poor children that engage in the community-based orchestra educational activities.

      • KCI등재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또래관계가 학교적응 발달궤적에 미치는 영향

        안은미 ( An Eunmi ),조수민 ( Cho Soomin ),정익중 ( Chung Ick-joong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6 청소년복지연구 Vol.18 No.4

        This study examines how peer relationship has an effect on school adjustment trajectories of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To analyze discontinuous changes, we applied the piecewise growth modeling to the five waves of data collected from adolescents living in residential institutions, group homes or foster homes by using cluster sampling methods. The results of growth-curve longitudinal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piecewise growth function was most adequate to explain changes of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Second, levels of school adjustment had decreased through the higher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rebounded back in middle school. Third, positive and negative attitudes of peer group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itial status and slope of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discussed further suggestions to improve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proposing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팬덤활동이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과 성별 차이

        안은미(An, Eunmi),김지선(Kim, Jisun),전선율(Jeun, Sunyul),정익중(Chung, Ick-Joo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한국청소년연구 Vol.24 No.2

        과거에는 팬덤활동이 청소년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편향된 시각이 많았으나 최근들어 점점 팬덤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팬덤활동의 긍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고 팬덤활동에서 성별 차이를 고려하여 이들의 팬덤활동 참여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KCYPS)의 자료를 사용하였고, 분석대상은 중학교 1학년 학생 1,734명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팬덤활동은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기존 연구들이 팬덤활동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과는 차별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청소년들의 팬덤활동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팬덤활동 유형을 나누어 살펴본 결과 여자 청소년은 오프라인 팬덤활동, 남자 청소년은 온라인 팬덤활동이 각각 자아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발달과정에 있어서 팬덤활동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부모나 교사들의 적절한 지도와 관심이 필요하며, 특히 팬덤활동 유형과 성별을 고려하여 개입할 필요가 있다. Fandom activity usually brings up many negative initial reactions due to the negative impact on youth, but with the passing of time, fandom activities develop a more positive image.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positive aspects of fandom activities, taking into consideration gender differences, and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fandom activities affect the resilience of the youth concerned. Data was obtained from the first wave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0, which was administer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subjects consisted of 1,734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andom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adolescent resilience. Second, the effect of fandom activities on adolescent resilience showed differences which were highly dependent on gender.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 types of fandom activities, off?line fandom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female adolescents resilience and on?line fandom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male adolescents resilience. Therefore, appropriate guidance by both parents or teachers is needed so that fandom activities have a more positive effect on adolescent development. More specifically, any intervention programs should take both gender and the types of fandom activities into account.

      • KCI등재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서비스 만족도와 친사회적 및 반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자기효능감과 낙인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안은미 ( An Eunmi ),조수민 ( Cho Soomin ),정익중 ( Chung Ick-joong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7 학교사회복지 Vol.0 No.39

        본 연구는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서비스 만족도와 친사회적 및 반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낙인감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전국의 아동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지원센터를 통해 표집한 중학교 1-2학년 가정외보호 청소년 428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외보호 청소년이 인지하는 서비스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자기효능감은 증가하고 낙인감은 감소하였다. 둘째, 자기효능감이 높아질수록 친사회적 행동은 증가하며, 낙인감의 감소는 친사회적 행동을 증가시키고 반사회적 행동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비스 만족도가 친사회적 및 반사회적 행동에 이르는 경로는 자기효능감 및 낙인감을 통해 완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사회적 행동에 이르는 경로에서 보호요인인 자기효능감보다, 위험요인인 낙인감의 매개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사회적 행동 경로에서는 낙인감만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정외보호 청소년 발달에서 낙인감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서비스 만족도를 고려하여 자기효능감 증진 및 낙인감 감소를 통해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을 강화하고 반사회적 행동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tigm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 satisfaction and prosocial/antisocial behavior among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recruited 428 adolescents living in residential care facilities, group homes, and foster homes by using the cluster sampling method. Based on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satisfaction and prosocial/antisocial behavior was totally mediated by self-efficacy and stigma. In particular, service satisfaction had indirect effect on prosocial behavior via both self-efficacy and stigma, but the size of indirect effect on prosocial behavior via stigma was more than that via self-efficacy. The indirect effect of service satisfaction on antisocial behavior was found only by stigma. The importance of stigma was confirmed in the development of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Based on these findings, further suggestions were provided to reduce adolescents’ antisocial behavior and to enhance prosocial behavior by decreasing stigma and increasing self-efficacy.

      • KCI등재

        주양육자의 양육태도가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 발달궤적에 미치는 영향

        안은미(Eunmi An),강현아(Hyunah Kang),노충래(Choong Rai Nho),우석진(Seokjin Woo),전종설(Jongserl Chun),정익중(Ick Joong Chu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16 한국아동복지학 Vol.- No.54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외 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 발달궤적을 추적하고 그에 대한 예측요인으로 주양육자의 양육태도의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주양육자의 양육태도가 가정외 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성차가 존재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 아동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지원센터를 군집표집한 종단자료 중 중학교 1학년∼3학년까지 341명의 3차년도 자료를 활용한 잠재성장모형과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가정외 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주양육자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학교적응의 초기치와 변화율에, 부정적 양육태도는 학교적응의 초기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양육자의 긍정적 양육태도에 따라 남학생과 여학생의 학교적응 초기값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외 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parenting attitudes would have an effect on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school adjustment for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Additionally, we hypothesized that this model would be different between boys and girl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ree waves of data collected from 341 adolescents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group homes or foster homes by using cluster sampling methods. Growth-curve longitudinal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levels of school adjustment had increased from the 1st through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had a positive impact on initial school adjustment and rate of change, wherea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had a negative impact only on the initial school adjustment. Second, multi-group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ere group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their initial school adjustment by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further suggestions to increase school adjustments for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또래관계가 학교적응 발달궤적에 미치는 영향

        안은미(An, Eunmi),조수민(Cho, Soomin),정익중(Chung, Ick-Joo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또래관계가 학교적응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아동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지원센터를 군집표집한 5년간의 종단 자료를 활용하여 분할함수 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 변화에 대한 분석모형은 분할함수 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 변화 추세는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에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학교적응 수준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중학교 입학 후 중 1, 2학년을 기점으로 학교적응 수준이 향상되는 추세로 V 형태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적 또래관계와 부정적 또래관계 모두 학교적응의 초기치와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 향상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함의 및 추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at peer relationship would have an effect on school adjustment trajectories of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To analyze discontinuous changes, we applied the piecewise growth modeling to the five waves of data collected from adolescents living in residential institutions, group homes or foster homes by using cluster sampling methods. The results of growth-curve longitudinal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piecewise growth function was most adequate to explain changes in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Second, levels of school adjustment had decreased through the higher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rebounded back in middle school. Third, positive and negative attitudes of peer group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itial status and slope of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further suggestions to increase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An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