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FT-NIR 스펙트럼을 이용한 농약 제품의 동일성 판별 연구

        안윤정,한욱,박은성,김효경,손종곤,이윤정 한국농약과학회 2021 한국농약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11

        농약관리법 제2조에서 ‘품목’이란 개별 유효성분의 비율과 제제 형태가 같은 농약의 종류를 의미한다. 매년 농약 등록이 증가함에 따라 동일 품목에서 다양한 제품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현재까지 등록 시 제출한 시료의 FT-NIR DB는 3,404건 구축하였으며, DB를 활용하여 동일 제품의 등록 DB와 유통 DB, 동일 품목 내 제품의 스펙트럼간 유사성을 확인하였다. 단일 유효성분이며 제품이 많은 품목 중 살충제 에마멕틴벤조에이트유제2.15%, 아바멕틴유제1.8%,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액상수화제21.7%, 제초제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액제18% 4품목을 선정하였으며 유통 판매 중인 제품을 구입하여 스펙트럼을 비교하였다. 동일 제품의 등록 DB와 유통 DB의 유사성은 97.99∼99.99%가 나타났으며 동일 품목 내 제조처방이 같은 제품의 유사성은 97.06∼99.99%, 동일품목 내 제조처방이 다른 제품의 유사성은 88.66∼99.99%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FT-NIR을 활용하여 등록된 제품과 유통되는 제품간의 동일성 판별에 활용하여 등록 농약과 유통 농약의 차이를 신속하게 진단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제조처방이 다른 제품(부자재가 다를 경우)의 부자재를 분석하여 추후 정량분석 도구로서 FT-NIR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검토 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의 행동함정과 미래시간전망이 진로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안윤정,오현주,김미경 한국진로교육학회 2011 진로교육연구 Vol.24 No.3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behavioral traps and future time perspective of adolescents on their career decision making competenc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578 middle-school students and 303 high-school students who lived in Seoul.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verify the model of this study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future time perspectiv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variables such as gender, grade did not show any effect on behavioral traps,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areer decision making competency. By the result of analysis, there was proportional correlation betwee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areer decision making competency and there was inverse proportion between behavioral traps and future time perspective, career decision making competency. The mediating effect of future time perspective between behavioral traps and career decision making competency was verified. In other words, the behavioral traps had direct effect on their career decision making competency and future time perspectiv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traps and career decision making competency. So the career counselling program is needed for adolescents in order to be able to overcome reverse cognitive function such as behavioral traps and have long future time perspective. 본 연구는 청소년의 행동함정과 미래시간전망이 진로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거주하는 중학생 578명과 고등학생 303명을 대상으로 행동함정, 미래시간전망, 진로의사결정능력 등의 검사결과를 토대로 각 변인들의 성별과 학년 평균 차이검증과 상관분석, 선형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구조방정식 모델을 사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고, 행동함정이 진로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미래시간전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성별, 학년에 따른 행동함정, 미래시간전망, 진로의사결정능력은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행동함정, 미래시간전망 및 진로의사결정능력 상관관계 분석결과 미래시간전망과 진로의사결정능력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행동함정과 미래시간전망 및 진로의사결정능력은 모두 유의한 부적상관으로 나타났다. 행동함정과 진로의사결정과의 관계에서 미래시간전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청소년의 행동함정과 진로의사결정능력에 대한 미래시간전망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게 검증되었다. 즉, 행동함정은 진로의사결정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한편 미래시간전망을 매개로 하여 진로의사결정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나 관련 교육기관에서는 청소년들에게 일상적인 생활에서 행동함정에 빠지기 쉬운 역기능적 인지를 제거하고 진학위주의 단기적인 시간전망보다는 미래의 직업까지 생각할 수 있는 장기적인 시간개념을 기반으로 진로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진로상담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KCI등재

        직업상담사의 직업선택과정에서 ‘계획된 우연’의 역할

        안윤정,오현주 한국진로교육학회 2012 진로교육연구 Vol.25 No.4

        This study explores the role of ‘planned happencetance’ in the process of choosing vocational counselor by qualitative research. This was intended to overcome the limit of traditional career counselling theories which have placed emphasis on rational choice and look into the context through the happenstance learning theory. Because vocational counselor has not shown the vision and information, the role of happencetance might be huge. Fifteen vocational counselors who entered the field in the beginning were performed through in-depth interview. ‘Planned happenstance’ affected their career in choosing the job and the patterns were unexpected information collection, accidental training through media and significant others, unexpected condition and personal change. In the process of changing planned happencetance to chance, many kinds of skills such as curiosity, persistence, flexibility, optimism, risk-taking were found. Some participants interpreted the planned happenstance as positive or negative aspect.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empirically shows the important role of planned happencetance in choosing the new job. 본 연구는 직업상담사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계획된 우연’의 역할을 질적 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합리적이고 이성적 선택을 강조하는 진로상담이론의 한계를 극복하고 다양한 진로결정과정에서의 요인을 우연 학습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의 직업상담사 제도가 도입되면서 직업에 대한 정보와 비전 등이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계획된 우연’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상담사라는 자격증이 신설되고 비슷한 직무가 생성되는 초기에 진입했던 직업상담사 15명을 심층면담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우연적 사건으로 직업상담사를 선택하였고 그 요인은 사람과 매체를 통한 우연한 정보수집, 계획하지 않았던 교육, 예상치 못한 환경과 개인상황 변화 등으로 분석되었다. 그 과정에서 우연을 기회로 활용하는 데 유용한 기술인 낙관성, 유연성, 호기심, 위험감수, 인내심 등이 직업선택과정에서 나타났다. 또한, 우연을 긍정적으로 혹은 부정적으로 의미화하는 맥락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진로선택과정에서 ‘계획된 우연’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탐색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참여형 CSR에서의 참여노력과 의인화가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인화 된 수혜 대상의 표정과 네이밍에 따른 소비자 인식의 차이를 중심으로

        안윤정,이지은 한국광고학회 2022 광고학연구 Vol.33 No.5

        기업들은 사회적 책임 활동(CSR)에 소비자들을 참여시켜 소비자들의 긍정적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참여형 CSR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기업들의 높아진 관심과는 달리 참여형 CSR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부족한 편이었다. 특히, 선행 연구들은 참여노력의 적합한 수준과 소비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명확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참여형 CSR에서 제시되는 의인화된 수혜 대상의 표정이 소 비자들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참여노력의 역할을 살펴보았으며(실험 1), 나아가 참여 형 CSR에서 소비자들의 부정적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네이밍의 역할에 대해 조사하였다(실험 2). 실험 1의 결과, 소비자들은 참여노력이 높을수록 슬픈 표정의 수혜 대상을 희생자로 인식(긍정적 인식)하여 CSR에 대한 참여의도가 높아진 반면, 행복한 표정의 수혜 대상에 대해서는 마케팅 도 구로 인식(부정적 인식)하기 때문에 참여의도가 낮아졌다. 또한 네이밍의 영향력을 살펴본 실험 2의 결과, 피험자들이 의인화된 수혜 대상의 이름을 직접 명명할 경우 그들의 참여의도는 수혜 대상의 표정과 관계없이 참여노력이 높을수록 긍정적이었다. 즉, 네이밍이 수혜 대상에 대한 소 비자 인식을 마케팅 도구에서 희생자로 전환시킨 것임을 밝혀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 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미를 논의하고 향후 연구 방안을 제시하였다. Recently, companies' interest in participatory CSR, which can elicit positive responses from consumers through their participation, is increasing. However, unlike the growing interest of companies, academic interest in participatory CSR was insufficient. In particular, prior research does not provide clear results on the appropriate level of participation effort and its effect on consumer perception.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of participatory effort focusing on the effect of the anthropomorphic messenger's expression presented in participatory CSR on consumers' perceptions (Study 1), and furthermore, investigated the role of naming as a way to positively change consumers' negative perceptions in participatory CSR (Study 2). As a result of Study 1, when the messenger's expression is sad (happy), consumers perceive the messenger as a victim (a marketing agent), so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SR was more positive (more negative) as the participation effort increased. As a result of Study 2 examining the influence of naming, when the participants directly named the anthropomorphic messenger,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was positive as the participation effort increased regardless of the messenger's expression. In other words, the naming shifted the consumer's perception of the messenger from a marketing agent to a victim. Final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대학만족이 대학생의 개인작인신념에 미치는 영향

        안윤정,오현주,김미경 한국진로교육학회 2011 진로교육연구 Vol.24 No.4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how university satisfaction affect undergraduate students’ personal agency beliefs. For the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485 undergraduate students in Seoul.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chool satisfaction and personal agency beliefs including capability beliefs and context belief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university level. Major satisfaction, satisfaction of social recognition, relationship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and personal agency belief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rade. Major satisfaction, satisfaction of social recognition, school satisfaction and personal agency beliefs including capability beliefs and context belief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major. The university satisfaction including all sub-factors such as major satisfaction, satisfaction of social recognition, relationship between professors, school satisfaction has an impact on personal agency beliefs including capability beliefs and context beliefs. Therefore, when undergraduate students should make career decision, in order to encourage personal agency beliefs which are related to motivational factors, the consequence of university satisfaction was verifi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many kinds of supporting systems to encourage the university satisfaction 본 연구는 대학만족이 대학생의 개인작인신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대학생 485명을 대상으로 대학만족과 개인작인신념에 대한 측정도구를 기준으로 설문조사하여 빈도분석,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 선형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학교수준에 따라 대학만족이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으며 개인작인신념의 능력신념과 맥락신념에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대학생의 학년에 따라 대학만족의 하위요인 중에서 학과 및 전공만족, 교수-학생 관계만족, 사회적 인식만족 등에서 차이가 검증되었으며, 개인작인신념의 능력신념, 맥락신념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증명되었다. 전공에 따라 학과 및 전공만족, 사회적 인식만족, 학교만족 등에서, 개인작인신념의 능력신념과 맥락신념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학과 및 전공만족, 교수-학생 관계만족, 사회적 인식만족, 학교만족 등의 대학만족이 개인작인신념의 능력신념과 맥락신념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발달단계에서 중요한 과업인 진로선택과 결정의 중요한 동기적요소인 개인작인신념을 높이기 위한 대학만족의 중요성이 확인되었으며 각 대학에서는 대학만족을 높이려는 다양한 지원과 노력이 요청된다.

      • KCI등재

        청소년의 우울 및 가족기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안윤정,현진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5 학교사회복지 Vol.0 No.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depression and family functions perceived by adolescents on school adjustment by their gender and develop recommendations to improve school adjustment for adolesc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72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area and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l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chool adjustment than female students. Second, femal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depression than male studen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mily functions perceived by them.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hool adjustment by their level of depression and family functions. Fourth, family cohesion and depression significantly influenced school adjustment in male students and family adaptability, family cohesion and school records significantly influenced school adjustment in female students.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지각하는 우울 및 가족기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대구․경북지역 중학생 4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학교적응수준은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청소년의 우울수준은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가족기능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우울 및 가족기능의 수준에 따라 학교적응수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남학생의 경우, 우울과 가족응집성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여학생의 경우 우울과 가족적응성, 가족응집성, 성적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동기와 변화인식이 역량에 미치는 영향

        안윤정,문윤경 한국진로교육학회 2014 진로교육연구 Vol.27 No.3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effect of career motivation and change perception on undergraduate students’ competency. For the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599 students of D university in Seoul.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sex, career resilience, IT utiliza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nd according to their major, career identity, career insight and personal relations, IT utiliza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ll factors of career motivation and competency except change percep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grade. Secondly,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mong all sub factors of career motivation, competency and change perception and in particular, a highly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areer resilience and personal relations, career insight and problem solving. Thirdly, career identity and career resilience had an impact on communication and globalization and career insight and career resilience had an impact on personal relations and IT utilization. Also, all sub factors of career motivation had an impact on self development and problem solving. Fourthly, a part mediating effecting of change perception was found on between career resilience and personal relations, career insight, career resilience of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development, personal relations, problem solving of competency. Therefore, the importance of career motivation and change perception were identified in order to develop undergraduate students' competency and it is necessary to build career counselling and programs to support them.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동기와 변화인식이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D대학생 599명을 대상으로 진로동기, 변화인식, 역량에 대한 측정도구를 통해 설문조사하여 빈도분석, t-검증,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 진로동기의 진로탄력성과 역량의 정보기술활용에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전공계열에 따른 차이는 진로동기의 진로정체감, 진로통찰력, 역량의 대인관계, 정보기술활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차이는 변화인식을 제외한 역량의 모든 하위요인과 진로동기의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진로동기, 변화인식, 역량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특히 진로탄력성과 의사소통, 진로통찰력과 문제해결 간에 높은 상관을 보였다. 셋째, 대학생의 진로동기가 역량에 미치는 영향은 진로정체감, 진로탄력성이 의사소통에, 진로정체감과 진로탄력성이 국제화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진로통찰력과 진로탄력성이 대인관계와 정보기술활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진로동기의 모든 하위요인이 역량의 자기개발과 문제해결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냈으며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특히 진로탄력성은 역량의 모든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친 결과, 진로동기 중에서 가장 영향력이 높은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넷째, 진로동기와 역량의 관계에 있어 변화인식의 매개효과 검증의 결과, 변화인식은 진로동기 중 진로탄력성과 의사소통과의 관계를, 진로동기의 진로통찰력과 진로탄력성은 역량의 자기개발, 대인관계, 문제해결과의 관계를 부분매개함이 증명되었다. 대학생의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 진로동기와 변화인식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진로상담과 프로그램 등의 개입과 지원이 요청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