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인화된 브랜드 역할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해석과 노스탤지어를 중심으로

        안윤정,이지은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9 No.3

        Brand anthropomorphism is a marketing strategy that enables companies to differentiate their brands and form long-term relationship with consumers. Previous research have shown positive influences of brand anthropomorphism on consumer response, and they have also studied anthropomorphized brand role as servant and partner brand.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anthropomorphized brands positively influence the interaction with consumers and formation of social relations. These influences may vary depending on various variables such as materialism and social connectedness. However, previous research did not examine that perceptions of social relations could be influenced by personal preferences of consumers. Also, they did not examine factors that can increase consumers’ preference for partner brands by forming long-term relationships with consumers. In this study, self-construal and nostalgia are presented as two key variables. Study 1 revealed that the advertisement attitude toward the anthropomorphized brand rol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type of self-construal. Specifically, independent self-construal participant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servant brand than partner brand. On the other h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participants ha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partner brand than servant brand. Study 2 further examined the role of nostalgia.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self-construal became nonsignificant when the nostalgia was primed. That is, consumers’ attitude toward the partner brand was more positive compared to servant brand regardless of the type of self-construal. Finally, implications for developing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using brand anthropomorphism and nostalgia were suggested. 브랜드 의인화는 기업들이 자사의 브랜드를 경쟁자의 브랜드와 차별화시키고 소비자들과 장기적인 유대관계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이다. 선행연구들은 소비자들의 반응에 대한 브랜드 의인화의 긍정적인 영향력에 대해 밝히고 의인화된 브랜드 역할을 서번트와 파트너 브랜드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하지만 의인화된 브랜드가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소비자들의 개인적 성향의 역할을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특정 역할의 브랜드에 대한 선호를 높이는 방안에 대해서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아해석과 노스탤지어를 핵심변수로 제시하였다. 실험 1의 결과, 자아해석에 따라 의인화된 브랜드 역할에 대한 광고태도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독립적 자아해석의 피험자들은 파트너 브랜드에 비해 서번트 브랜드에 대한 광고태도가 더 긍정적인 반면, 상호의존적 자아해석의 피험자들은 서번트 브랜드에 비해 파트너 브랜드에 대한 광고태도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2는 추가로 노스탤지어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노스탤지어가 예열될 경우 소비자들은 관계에 대해 더 생각하고 소속감과 유대감을 느끼기 때문에 자아해석과 관계없이 서번트 브랜드에 비해 파트너 브랜드에 더 긍정적인 반응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이 브랜드 의인화 전략과 노스탤지어를 활용해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개인작인신념에 따른 개인목표와 변화인식 분석

        안윤정,김미경 한국진로교육학회 2012 진로교육연구 Vol.25 No.2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personal goals and change perception by undergraduate students'personal agency beliefs. For the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484 undergraduate students in Metropolitan area.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Physical wellbeing of personal goals and future orientation, pattern making of change percep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ex. Personal agency beliefs, physical wellbeing of personal goals and continual change of change percep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rade. About 70% of respondents has ‘vulnerable pattern’ which is related to moderate capability beliefs and neutral context beliefs. Many students may trigger symptoms of anxiety and worry and contribute to a cautious approach to goal seeking and goal setting and be at risk under conditions of stress. The effect of personal agency belief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sonal goals and change perception except pattern making. It is meant that the higher personal agency beliefs are, the higher orientation to the personal goals and change perception are. Personal goal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ange perception and specially the explanation concerning future orientation and continual change was persuasive(30%). Therefore, in order to confirm the context in the course of school to work, the importance of change perception was identified and it is necessary to have counselling programs to promote personal agency beliefs and personal goals which are related to change perception.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개인작인신념에 따른 개인목표와 변화인식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수도권 소재 대학생 484명을 대상으로 개인작인신념, 개인목표, 변화인식 측정도구를 통해 설문조사하여빈도분석,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 선형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라 개인목표의 신체적 안녕감과 변화인식의 미래지향과 방향결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으며, 학년에 따라 개인작인신념, 개인목표의 신체적 안녕감, 변화인식의 변화지속성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개인작인신념유형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개인목표의 긍정적 자기평가, 지적 창의성, 이해, 즐거움, 행복 등과 변화인식의 미래지향, 방향결정, 변화지속성 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대학생의 약 70%가 보통의 능력신념과 중립적 맥락신념인 ‘상처받기 쉬운 유형’으로 드러났다. 다수의 대학생이 목표 찾기와 목표설정에 걱정과 불안을 느끼고 스트레스적인 상황 안에서 동기가 상실될 위험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개인작인신념이개인목표, 변화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변화인식의 방향결정 요인을 제외하고는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개인작인신념이 높을수록 목표의식과 변화인식이 높아짐이 증명되었다. 개인목표는 변화인식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변화인식의 하위요인 중에 미래지향, 변화지속성은 30%이상의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학교에서 직장으로 이행하는데 있어 성공적 적응을 위해 중요한 변화인식을 높이기위한 동기적 요인인 개인작인신념과 개인목표의 중요성이 확인되었으며 이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진로상담과 프로그램이 요청된다.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역경경험과 사회적 역량과의 관계: 우울의 매개효과와 지역사회 지지원의 조절된 매개효과

        안윤정,김민아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4 학교사회복지 Vol.0 No.65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역경 경험과 사회적 역량과의 관계에서 개인적 요인인 우울의 매개요인과 환경적 요인인 지역사회 지지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역량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개입전략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에서 수행한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 2기(1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청소년 2,246명이었으며, SPSS 26.0, Process macro v.4.2 for SPS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청소년의 차별, 집단따돌림 경험이 많을수록 사회적 역량이 낮았으며, 그 관계에서 우울은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둘째, 지역사회 지지원은 다문화 청소년의 역경 경험이 우울을 매개로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근거로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역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차별, 집단따돌림 피해 예방과 피해 후 적극적인 대처를 위한 개인적 차원의 개입과 더불어 지역사회 지지원을 확보하고 지지체계를 구축을 위한 지역사회 차원에서의 개입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에 다문화 청소년의 차별과 집단따돌림 피해 예방을 위해서는 학교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중심의 다문화 차별인식개선 및 다문화 감수성 증진 교육이 요구되며, 신뢰할 수 있는 지지원을 확보하고 지지망을 확장하기 위한 지역사회 연계프로그램이 운영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whether depression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adverse experiences and social competenc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o examine whether Social Support Sources had moderated mediating effects. For the Study, ‘Multicultural Youth Panel Survey (MAPS)(2nd stage of data)’ was analyzed using data for the 1st year of 2019.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2,246 multicultural youth surveyed. The study model was designed based on PROCESS v.3.5 for SPSS by Haye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pression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verse experiences scores and social competenc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such that adverse experiences scores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and depression and social competence were negatively correlated. Second, social support resources moderated the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between adverse experiences scores and social compet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emphasized the need for intervention at the community level to secure community support and establish a support system.

      • KCI등재후보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일본문학교육의 방법연구

        안윤정,이정희 대한일어일문학회 2016 일어일문학 Vol.70 No.-

        There used to be many classes that simply convey information in education field, but recently deviating from this, storytelling approach that fun and vivid story can be understood naturally begins to receive attention. This study intends to graft storytelling approach which can reinforce creativity onto Japanese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give a teaching model with storytelling approach using classical literature 「Tsurezuregusa」including a variety of contents. This study gives storytelling approach raising education effects of learner"s creative activity with three paragraphs among various paragraphs, and intends to help understand a culture naturally in paragraphs with literature teaching. Teaching model using 7 paragraph triggers learner"s curiosity, forms expectation of class with the origin story and improves interest by leading a story of monster, imaginary character. Teaching model using 92 paragraph lightens the burden about directly encountering Japanese literature by showing Japanese drama 1 Litre of Tears(2005). At this time, students infer contents of drama, connect them and have the curiosity about what kind of contents being learned. Teaching model using 110 paragraph raised student"s curiosity and interest by starting with history story. Effects have not been examined yet because we didn"t proceed teaching with this teaching model, but by proceeding class joyfully and easily with the story, not by proceeding just to convey knowledge directly in Japanese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lessons of classical literature will be delivered to students naturally. We want to go forward with the task that has effects and problems after applying this teaching model to education field.

      • KCI등재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 대책 특성 및 개선 방향

        안윤정,강영은,박창석,김호걸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6 환경영향평가 Vol.25 No.4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establishing a reg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y as the climate change impact in the region and local scale increases. This study focused on the analysis of 32 regions on its characteristics of local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s. First, statistic program R was used for conducting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frequency and budgets of adaptation plan. Further, we analyzed damage frequency from newspapers regarding climate change impacts in eight categories which were caused by extreme weather events on 2,565 cases for 24 years. Lastly, the characteristics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was compared with damage frequency patterns for evaluating the adequacy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on each cluster. Four different clusters were created by cluster analysis. Most clusters clearly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 on certain sectors. There was a high frequency of damage in ‘disaster’ and ‘health’ sectors.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and budget also invested a lot on those sectors. However, when comparing the relative rate among regional government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ypes of damage and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We assumed that the difference could come from that each region established their adaptation plans based on not only the frequency of damage, but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expert opinions as well. The result of study could contribute to policy making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 및 위험은 지역적, 국지적 차원에서 더욱 확장되므로 기후변화에 따른 지역적 영향 및 특성을 반영한 기후변화 적응대책 마련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초지자체 적응대책의 분야별 사업 수 및 예산의 특성을 분석하고 피해사례와 비교·검토하여 기후변화 적응대책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기초지자체 적응대책 특성 분석을 위해 군집분석을 통하여 지자체 적응대책의 유형별 특성을 파악 했다. 적응대책의 계획이 실제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 내용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 검토하기 위하여 과거 24년 동안 지자체별 관측 영향 결과(신문기사 2,565건)와 비교·분석을 수행했다. 군집분석 수행 결과 군집은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전국 피해 유형으로 재난재해, 건강 부분에서 공통적으로 피해 빈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적응계획 또한 재난재해, 건강, 농업, 물 관리순서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하지만 피해 사례 반영의 비중과 단기 및 장기 미래에 대한 고려 수준에 따라서 각 군집별로 피해빈도와 적응계획의 특성에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기초지자체 특성및 지역별 실질적 피해에 기반 한 적응대책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