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디지털매체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유아교사들과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안우리,전홍주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9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8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ttitud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ward use of digital media in teaching a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for 12 teachers at kindergartens and childcare institutions, who are in charge of children ages three to five. The interview results showed a divided attitude of the teachers toward use of digital media. Considering this, a conflicting coding method was used to effectively reveal complex and multi-layered views of the teacher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childhood teachers’ views on the use of digital media largely in three categories: the need for digital media, educational effect of digital media, and appropriateness of using digital media by children’s age. Early childhood teachers felt the need to use digital media for teaching and felt it can be educationally meaningful, but at the same time, they were aware that use of digital media could lead to unexpected situations, and that it might have limited educational effect since it only provides indirect experien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a different view on appropriateness of using digital media depending on the children’s age. This analysis is expected to stimulate discussions on various situations arising from use of digital media in teaching young children, and suggests a need for research on using digital media to support children’s development and creating an environment to use digital media for education in a suitable way.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수매체로써 디지털매체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만 3세~만 5세 학급 담임교사 1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자료 분석과정에서 디지털매체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이 양분화된 인식으로 나타나 대립코딩기법을 사용하여 복합적이고 다층적인 교사들의 관점이 드러날 수 있도록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디지털매체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은 ‘필요성’, ‘교육 효과’, ‘유아 연령별 적절성‘ 측면으로 범주화되어 나타났다. 유아교사들은 유아교육현장에서 디지털매체의 활용이 필요하며 교육적인 의미가 있다고 인식하기도 하지만 예기치 못한 변수가 발생할 수 있으며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경험은 직접경험이 아닌 간접경험이기에 한계가 있다고 인식하기도 하였다. 또한, 유아교사들은 유아의 연령에 따라 디지털매체의 적절성을 다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수매체로써 디지털매체를 활용함으로써 마주하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논의의 제공 및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디지털교수매체의 활용과 교육적으로 적합한 디지털매체 환경조성을 위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출판의 근대화와 종교출판 연구

        안우리(An, WooRi) 한국전자출판학회 2021 전자출판연구 Vol.17 No.1

        개화기 시기 서양의 근대문명의 유입은 주로 선교사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선교사들은 ‘교육’과 ‘의료’라는 문명의 이로운 무기를 매개로 기독교 선교에 매진했으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 속에 자연스럽게 근대화라는 거대한 시스템이 작동되기 시작했다. 문화적으로 보면 민족주의는 하나의 단위로 범주화된 ‘민족’ 구성원에게 통합 논리를 제공하는 이데올로기라고 할 수 있다. 민족구성원을 하나의 단위로 설정하는 과정은 이에 포함되지 않는 타자를 배제하면서 동시에 ‘민족’의 정체성을 찾는 것에서 이루어졌다. 이러한 정체성의 모색은 한말, 일제시대, 해방 이후를 통해 역사·지리·문학·어학·종교 등의 연구를 통해 이루어졌다. 그런데 이러한 연구영역은 서구로부터 수용된 근대적 방법론을 기반으로 이루어졌다. 즉 한국의 근대 문화의 형성 및 변화과정은 서구 혹은 중국과 일본을 통해 수용된 근대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이 중에서 종교와 출판이라는 카테고리 속에서 근대가 어떻게 성립되고 이들 종교와 출판의 역할은 무엇인지 살펴보겠다.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the influx of modern Western civilizations was mainly carried out by missionaries. Missionaries devoted themselves to Christian missions through the beneficial weapons of civilization, education and medical, and in this series of processes, a huge system of modernization naturally began to work. Culturally, nationalism is an ideology that provides integrated logic to members of the ethnic categorized as a unit. The process of setting up ethnic members as a unit took place by excluding other people who were not included in it and at the same time finding the identity of the ethnic . The search for this identity was conducted through research on history, geography, literature, language, and religion through the Hanmal, Japanese colonial era, and post-liberation period. However, these areas of study were based on modern methodologies accepted by the West.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modern culture formation and change in Korea was closely related to modern times accepted through the West or China and Japan. Among them, we will look at how modernity is established in the category of religion and publication, and the role of these religions and publications.

      • KCI등재후보

        치매환자 부양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반응, 신체건강 및 정신건강

        서경현(Kyung-Hyun Suh),안우리(Woo-Lee An) 대한스트레스학회 2009 스트레스硏究 Vol.17 No.2

        한국사회가 고령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연구자들은 치매환자 가족부양자의 부양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 반응이나 신체적ㆍ정신적 건강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와, 부양자의 스트레스 반응과 건강에 대한 부양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에 거주하는 치매환자의 가족부양자 192명(여: 142) 이었으며, 그들의 연령 평균은 52.35 (SD=12.41)세였다. 다양한 심리검사를 이용하여 치매환자 부양 스트레스, 자기 효능감, 스트레스 반응, 건강지각, 신체증상, 우울, 자아존중감, 주관안녕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치매환자 가족부양자의 부양 스트레스는 스트레스 반응이나 정신건강과 신체건강과 밀접하게 관계하고 있었다. 자기효능감은 건강지각이나 자아존중감과 관계하고 있었다. 위계적 회귀분석에서 부양 스트레스가 스트레스 반응 및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가 발견되었다. 자기효능감이 부양스트레스가 스트레스 반응, 신체증상 및 주관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완충작용을 하고 있었다. 스트레스반응이나 신체증상과 같은 부정적인 변인의 부양 스트레스에 따른 차이가 자기효능감 상위 집단에서 더 적었으며, 주관안녕과 같은 긍정적인 변인의 부양 스트레스에 따른 차이는 자기효능감 상위 집단에서만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현상학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치매환자 부양자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과 중재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With quickly becoming an ageing society in Korea, Researchers investigated how family dementia caregivers" stresses and self-efficacy are related to their stress responses and physical/mental health, and the interaction of caregiving stresses and self-efficacy on caregivers" stress responses and health. The participants were 192 family caregivers (142 females) of demented patients lived in Seoul, whose average of age were 52.35 (SD=12.41). The various psychological tests were used to measure caregivers" stresses, self-efficacy, stress responses, perceived health, physical symptoms, depression,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Results indicated that caregiving stresses were closely related to stress responses, physical and mental health. Caregivers" self-efficacy were positively related to perceived health and self-esteem.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moderate effects of self-efficacy on relationships between caregivers" stresses and stress responses or physical/mental health. These results indicated buffer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negative results in stress responses, physical symptoms, and subjective well-being of caregiving stresses with demented patients. For negative results of caregivers" stresses, such as stress responses or physical symptoms, differences by caregivers" stresses were less explicit in group with low self-efficacy, while difference of subjective well-being was only significant in group with high self-efficacy.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phenomenologically based on previous studies with focusing on the promotion and intervention of dementia caregivers" health and quality of life. (Korean J Str Res 2009;17:111∼12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