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MBSR(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의 개발과 불교의 영향

        안양규(Yang Gyu A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1 佛敎學報 Vol.0 No.58

        1979년 카밧진에 의해 개발된 MBSR (Mindfulness-Based Stres Reduction) 프로그램은 미국 내에서 병원을 포함한 200개가 넘는 건강관련센터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다른 국가에서도 널리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MBSR의 탄생에는 다양한 측면에서 다양한 요인이 제시될 수 있다. 본고에선 MBSR의 개발을 불교적인 시각에서 찾아보고자 하였다. 어떠한 불교가 MBSR의 개발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대학시절부터 카밧진은 선불교에만 매료된 것이 아니라, 남방불교 전통의 비파사나 명상도 수행하였다. 미국에서 비파사나를 체계적으로 가르치는 Insight Meditation Society에서 비파사나 명상 지도자와 교류하면서 명상 수행을 깊이 하였다. 불교 명상을 의학적인 프로그램에 도입할 수 있었던 것은 Insight Meditation Society에서 비파사나 명상을 수행한 것이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다. MBSR이 대승불교의 선 수행과 초기불교의 비파사나 수행, 그리고 Krishnamurti의 명상관이 결합되어 있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그 중에서도 MBSR의 중심에는 비파사나가 놓여 있는 것을 살펴보았다. MBSR의 보디스캔, 정좌 주시 명상, 하타요가 주시 명상과 같은 공식 명상과 걷기 주시명상, 호흡 주시명상, 건포도 먹기 주시명상과 같은 비공식 명상은 모두 비파사나 수행의 근거가 되는 불교 경전(Satipatthana Sutta)에 근거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I discuss Buddhist influences on formation of MBSR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focusing on Kabat-Zinn`s personal encounters with Buddhism. In addition, I try to find out Buddhist elements in MBSR. The essence of MBSR was derived from Kabat-Zinn`` own practices with Buddhist schools in the States. He is the individual most responsible for introducing mindfulness into mainstream medicine. While studying molecular biology at MIT, he maintained his curiosity for interdisciplinary or inter-thought style approaches regarding the nature of consciousness, and the nature of human beings. In Cambridge, Massachusetts during the mid-1960s he attended numerous lectures in the intellectual center during the course of his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ies; one was a talk on Zen Buddhism by Phillip Kapleau. He was fascinated by the Zen notion of paying attention to inner experience by quieting the mind, through first-person experience. Later, Kabat-Zinn practiced Zen Buddhism as a student of Zen Master Seung Sahn and was a founding member of the Cambridge Zen Center. He also received much more Theravada influences. From 1974, he began sitting intensive retreats with Joseph Goldstein and Jack Kornfield, who were to form the Insight Meditation Society. Kabat-Zinn describes his fundamental practice as a mix of Zen and vipassana elements… My basic practice has always been grounded in mindfulness of the breath, body, and mind, opening to what Krishnamurti called ``choiceless awareness`` and the Zen people call ``shikantaza``. He qualifies this by explaining that what is basically true is that MBSR is mostly vipassana practice (in the Theravada sense as taught by people like Joseph Goldstein and Jack Kornfield with a Zen attitude It is, therefore, the Theravada-IMS(Insight Meditation Society) teachers who seem to particularly inform Kabat-Zinn`s approach to mindfulness meditation, and his desire to innovate and support new forms for Dharma in the West. The Satipatthana Sutta provides one of the clearest means to understanding the practice of mindfulness in Theravada Buddhism, which holds the sutta in high esteem. The term satipatthana chiefly refers to the process of observing body, feelings, mind, and dhammas. The practices in MBSR are based upon The Satipatthana Sutta. The practices in MBSR fall into two main categories. i) Formal practice comprises three distinct exercises: the ``body scan``, ``sitting meditation``, hatha yoga. ii) Informal practice involves mindfully carrying out various everyday activities (e.g., walking, standing, and eating) with the aim being to cultivate a continuity of awareness in all activities in daily life.

      • KCI등재

        불교 교학에서 본 MBSR(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명상에 기반을 둔 스트레스 완화)의 치유 원리

        안양규(Yang Gyu A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2 佛敎學報 Vol.0 No.62

        MBSR 프로그램 (명상에 기반을 둔 스트레스 완화(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의 심신치유의 효과의 이론적 배경을 다루면서 카밧진(Kabat-Zinn)의 이론적인 기반을 살펴보았다. 카밧진은 건강과 질병에 관련하여 새로운 시각 즉 행동의학(behavior medicine)을 그 방법론적인 이론 토대로 먼저 제시하고 있으며, MBSR의 치유기제로 제시한 전체성(wholeness)과 연결성(connectedness)을 논의하고 있다. 본고에선 전체성과 연결성을 MBSR의 치유의 이론적 배경 기제로 보고 아울러전체성과 연결성을 불교의 핵심 교리인 무아(無我)와 연기(緣起)의 가르침과 연관지어 살펴보았다. 기계론적인 심신이원론과 대조적으로 행동의학은 마음이 육체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전제한다. MBSR의 개발과 그 성공은 바로 이러한 심신상호 작용, 특히 스트레스라는 마음의 상태가 질병을 가져오므로 스트레스를 줄여 치유를 이룰 수 있다는 전제에 있는 것이다. 스트레스 제어에 효과적인 방식으로 불교 명상이 활용된다. 전체성과 연결성의 관점에서 우리 자신과 우리의 문제를 보게 된다는 것은 지금까지 자시자신을 분리된 별개의 고립된 존재로 보았던 것에서 벗어난다는 것이다. 이런 세계관의 변화는 세상에서 좀 더 큰 균형감각과 내적 안정으로 행동할수 있는 능력을 동반한다. MBSR은 참여자들로 하여금 자신 내부에 존재하는 전체성과 상호연계성의 기본 구조를 발견하게 한다. 자아라는 생각은 타자(他者)를 이미전제하고 있는 분리의식이다. 자아의 분리의식을 더욱 굳건히 할수록 다른 사람들과 단절되어 고립은 더욱 깊어지게 된다. 이러한 그릇된 자아관념을 부정한 것이 무아의 가르침이다. 자타불이(自他不二)를 설하는 무아는 카밧진이 말하는 전체성과 상통한다. 연기란 모든 것은 원인과 조건이 있어서 생겨나고 원인과 조건이 없어지면 소멸한다는 것이다. 즉 모든 존재는 전적으로 서로 관계 속에서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모든 존재의 상관성을 주장하는 연기는 존 카밧진이 말하는 연결성과 맥이 맞아들어가고 있는 것이다. MBSR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is based upon Behavioral medicine, which can no longer think about health as being solely a characteristic of the body or the mind because body and mind are interconnected. Jon Kabat-Zinn, founder of MBSR proposes two main philosophical principles for healing mechanism of MBSR: wholeness and interconnectedness. I compare Kabat-Zinn`s wholeness with the Buddha`s non-self(anatta); Kabat-Zinn`s interconnectedness with the Buddha`s dependent origination. They are all in agreement to reject idea of self as separate being; to promote the idea of mutual connection and compassion. Whole implies integration and interconnectedness of all parts of system or organism. While every living organism is whole in itself, it is also embedded in a larger wholeness. However, a human being experiences himself, his thoughts and feelings as something separated from the rest. This delusion is a kind of prison for us, restricting us to our personal desires. Our task must free ourselves from this prison by widening our circle of compassion to embrace all living creatures and the whole nature in universe. In Buddhism, the term anatta (Pali) refers to the notion of non-self or the illusion of self. The Buddha teaches that all things perceived by the senses (including the mental sense) are not really I or mine, and for this reason one should not cling to them. Realization of anatta leads to compassion for others. If there is no self, and one realises this, they would treat others as themselves. Kabat-Zinn reminds that mind and body are interconnected by showing psychoneuroimmunology, placebo effect, and hypnosis, etc... What people believe about their bodies and their illnesses may be important for healing. Everybody`s original experiences of life were, even biologically, experiences of connectedness and each of us came into the world through the body of another being. We were once part of our mother, connected to her body, contained within it. The quality of the connections within us and between us and the outside world determines our capacity for self-regulation and healing. Dependant origination means one cannot exist without the other. There is no independent existence such as I. Buddhism does not reject a convenient designation named I, but rejects the belief in a real, independent and permanent entity. In Buddhist psychology, the mind and body are not separate entities. Heal and calm the mind, and the body is healed and calmed; the reverse applies also. Only meditation can explore and stabilize the mind, and, by default, simultaneously, the body.

      • KCI등재

        자기-자비(self-compassion)에서 본 MBCT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알아차림 명상에 기초한 인지치료)의 치유기제

        안양규(Yang Gyu A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4 佛敎學報 Vol.0 No.69

        본고에선 MBCT에서 알아차림의 어떠한 기능이 우울증 재발 방지라는 효과를 가져 오는 것일까를 불교의 자비 사상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우울증 환자는 자기 자신을 매우 부정적으로 그리고 비판적으로 본다. 자기 존중감이 결여되어 있고, 자기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신념이 자리를 잡고 있다. 자기 자신에게 관대하지 못하고 비판적인 자기-비하가 우울의 중심에 놓여 있다. 우리는 여기서 우울과 같은 정서장애의 치료에 자기-비하를 대치할 수 있는 자기-자비(self-compassion)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우울증의 재발은 반추에 의해 촉발된다고 MBCT는 보고 있다. 반추는 부정적인 생각을 반복하는 행위이다. 우울증의 원인으로 여겨지는 반추의 핵심 내용으로 수치심과 열등감이 제안되고 있다. 본질적으로 자비는 사랑과 관용의 태도로, 모든 중생이 행복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자기-자비는 불교의 자비를 자기 자신에게 적용한 것이다. 자신에 대한 비난이나 부정적인 시각을 대치할 수 있는 것이 자기-자비이다. 자기-자비는 MBCT의 알아차림 명상에 내재해 있다. 자기-자비는 알아차림 명상과 마찬가지로 불교에서 핵심적인 요소이며 불교의 중요한 개념인 ‘자비’에서 유래한다. 자기-자비의 주요 특징은 자기비판이 없다는 것이다. 자기비판은 우울의 주요 요인으로 파악되고 있다. 자기-자비의 증가와 더불어 반추가 줄어들고 반추의 감소는 곧 우울 증상의 완화로 이어진다. 자기-자비는 부정적인 감정을 긍정적인 감정으로 폭력적으로 대치하는 것이 아니라 부정적인 감정을 수용하게 한다.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MBCT) is developed to aid in preventing the relapse of depression. It utilizes traditional Cognitive Therapy (CT) methods and adds in Buddhist mindfulness meditation, which focuses on becoming aware of all incoming thoughts and feelings and accepting them, but not attaching or reacting to them. The goal of MBCT is to interrupt these automatic processes and teach the participants to focus less on reacting to incoming stimuli, and instead accepting and observing them without judgment. Depressive disorders are characterized by dysfunctionally negative views of oneself, one`s life experience and the world in general. Depressed patients often view themselves as deficient, helpless, and/or unlovable, and they tend to attribute their unpleasant experiences to their presumed physical, mental, and/or moral deficits. They tend to feel excessively guilty, believing that they are worthless, blameworthy, and rejected by self and others. Self-criticism tends to lower one`s opinion of oneself, and can lead to depression. We can infer the element of self-compassion against self-criticism in the practice of mindfulness in MBCT. We can conclude that self-compassion is one of the possible working mechanisms in MBCT. Self-compassion is about fully accepting oneself while in pain. It is the ability to join one`s feelings of suffering with a sense of loving-kindness. Self-compassion is based on the Buddhist idea of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Compassionate loving-kindness for all living beings starts from oneself with self-compassion, which negates self-criticism, a major cause of depress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종교적 신념에 대한 엘리스(Ellis)의 비판과 붓다의 가르침

        안양규 ( Yang Gyu An ) 인도철학회 2011 印度哲學 Vol.0 No.31

        20세기 후반 가장 위대한 심리지료가들 중의 한 명으로 꼽히는 알버트 엘리스(Albert Ellis)는 종교는 비합리적이어서 정신건강에 해로움을 가져온다고 역설하였다. 엘리스는 REBT(Rational Emotive Behaviour Therapy, 인지 정서 행동치료)를 개발하면서 인간의 비합리적인 사고가 정신장애 및 질병을 가져온다고 주장하였다. REBT상담의 목표는 비합리적 생각을 합리적 생각으로 변화시켜서 합리적 생각이 행동양식에 영향을 미치도록 하는 것이다. 종교적 신념은 비합리적인 사고로 정신건강에 장애를 야기한다고 엘리스는 보고 있다. 엘리스가 문제로 삼고 있는 종교는 유일신을 믿는 종교들, 그 중에서도 기독교이다. 엘리스는 기독교의 신념이 비합리적이며. 이러한 신앙행위가 정서 장애를 야기한다고 비판하고 있다. 이러한 비판이 붓다의 가르침에도 적용되는 지 살피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오히려 그가 제시하는 건강한 사람의 9가지 자질은 불교에서 충분히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e early 1960`s, atheist psychologist Albert Ellis hypothesizes that religion is irrational and leads to mental illness. Ellis` view of mental health created great interest in studying these questions, and as a consequence, religion and mental health has become one of the most heavily researched topics in the history of psychology. In 1962, Ellis published The Case Against Religion in which he argued: “If religion is defined as man`s dependence of a power above and beyond the human, then as a psychotherapist, I find it to be exceptionally pernicious. For the psychotherapist is normally dedicated to helping human beings in general, and his patients in particular, to achieve certain goals of mental health, and virtually all these goals are antithetical to a truly religious viewpoint.” In his later days he significantly toned down and re-evaluated his opposition to religion. While Ellis maintained his atheistic stance, proposing that thoughtful, probabilistic atheism is likely the most emotionally healthy approach to life, he acknowledged and agreed with survey evidence suggesting that belief in a loving God is also psychologically healthy. Based on this later approach to religion, he co-authored a book describing principles for integrating religious material and beliefs with REBT (Rational Emotive Behaviour Therapy) during treatment of religious clients. He asserts that the psychotherapist tries to help his patients to be minimally anxious and hostile; and to this end, he tries to help them to acquire the following kind of personality traits: self-interest, self-direction, tolerance, acceptance of uncertainty, flexibility, scientific thinking, commitment, the willingness to take risks, self-acceptance. These nine personality traits are against the religion of God such as Christianity while the nine healthy traits are all found in the teachings of the Buddha.. In my view, Albert Ellis has a good reason to criticize God-oriented religion in terms of mental health, but his criticism is not valid in the teachings of the Buddha who put a great emphasis on reason rather than faith.

      • 무아(無我) 가르침의 진의

        안양규(An Yang gyu)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 2009 불교문화연구 Vol.10 No.1

        적어도 표현상, 무아는 다른 종교나 철학 사조와는 전혀 다른 모습을 띄고 있다. 대개의 종교는 육체의 죽음을 초월하는 상주불변의 실체를 상정하여, 그것이 사후에도 지속된다고 믿는다. 불교의 무아설은 영원불변의 실체를 부정하기 때문에 다른 종교나 철학과는 구별되어 진다. 그런 만큼 불교 내외에서 무아설은 많은 논란을 야기시켜 왔다. 본고는 무아 교설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불교의 궁극적 이상인 열반과 관련하여 파악되어져야만 한다고 전제하고 있다. 범부가 당면하고 있는 고통은 아견에서 기인한다. 다른 존재와는 개별의 자아가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아견은 나와 남을 분리시키고 각종 문제들을 일으킨다. 나와 전혀 다른 자아가 있다는 분별의식은 남과의 비교를 통해, 아만과 열등감을 초래한다. 아견에 뿌리를 둔 욕망은 살아서는 항상 경쟁과 갈등의 세계에서 머물게 하고 사후에는 항상 되기를 바란다.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신체 어딘가에 상주한다고 여기는 상일주재의 자아관념은 무상한 오온에 대한 집착에서 생긴 상상물에 불과한 것으로, 고통의 근원이 된다. 이러한 그릇된 자아관념, 즉 아견을 부정한 것이 무아설이다. The early Buddhist texts are not so clear as to whether the existence of a self is rejected or not by the Buddha. Much has been written about this issue, without a clear and unambiguous solution in sight so far. I arrives at the conclusions that the early texts neither accept nor reject the self. Whether or not the Buddha accepted the existence of a self, it is certain that he did not preach knowledge of the self a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path to liberation. According to theory of a person, matter, feeling , ideation, the habitual tendencies, and consciousness are the five constituents (skandha) of a person. Together they constitute the person s body and mind. The Buddha teaches that with regard to none of these one can say This is mine, this am I, this is my self . It is stated that one is not identical with any of these constituents. Self and suffering are synonymous and caused by clinging to the five aggregates. To question of how a view of the world that includes a sense of self arises, the answer describes those who in addition to having no regard for the Path: • regard any or all of the aggregates as possessing self, • or regard self as possessing any or all of the aggregates, • or regard any or all of the aggregates as being in self, • or regard self being in any or all of the aggregates. This answer guides us closer to the origins of suffering, pointing out the specifics of the ways in which we associate self with the aggregates. When there is no self, there is no suffering. That is what the Buddha means by the teaching of non-se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