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막스 베버의 종교사회학에 나타난 기독교의 이해 : 비교종교학의 관점에서

        안신 培材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14 사회과학연구 Vol.36 No.1

        막스 베버(Max Weber, 1864-1920)는 ‘합리화’의 과정에 있는 서구사회에서 종교가 자본주의체제를 일으키는 정신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음을 밝혔다. 절대정신을 강조하는 헤겔의 관념론과, 자본과 노동의 하부구조가 종교와 사상의 상부구조를 결정짓는다고 본 마르크스의 유물론과는 다른 제 3의 길을 선택한 셈이다. 그는 당시 자본주의가 발전한 영국, 미국, 네덜란드에서는 칼빈주의가 사회구조에 깊은 영향을 주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중세시대의 수도원 금욕주의는 칼빈주의의 예정론 아래에서 세속적 금욕주의로 발달하고 자본주의의 정신에 영향을 주었다는 ‘선택적 친화론’을 펼쳤다. 사람은 자신이 신으로부터 영원한 생명을 얻었다는 사실, 즉 구원받았음을 증명하기 위하여 주어진 직업에 소명의식을 갖고 최선을 다하고 금욕적인 생활을 유지하며 자본을 축적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는 중국과 인도의 종교들과 유대교에서는 이러한 자본주의 정신이 발전하지 않았음을 증명하려고 하였다. 종교와 사회의 상호영향에 대한 균형 잡힌 그의 시각은 여전히 유효하다. This article is to examine how Max Weber(1864-1920) understanded various traditions of Christianity in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Karl Marx emphasized the influence of capital upon thought, but Weber regarded religion as the independent cause of the spirit of capitalism. He criticized Marx's materialism and attempted to prove that religions in China, India, and Judaism couldn't contribute to the rise of capitalism because of the lack of their rationalization. In Max Weber's sociology of religion, Catholicism seeks for the asceticism of traditionalism, but Calvinism challenges its believers to realize inner worldly asceticism. According to Calvinistic predestination, God has chosen some to eternal life and others to everlasting punishment. Therefore, people try to show the sign of salvation by working hard and saving money. He argued that the Protestant ethic helped people to have the spirit of capitalism. In conclusion, Weber is still the good model of religious scholar balancing between religion and society without value judgment, understanding the depth and meaning of social systems.

      • 영화를 활용한 종교교육의 가능성 연구 - 아미쉬 영화를 중심으로

        안신 培材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2020 人文論叢 Vol.37 No.-

        본 논문은 영화에 나타난 아미쉬의 세계관을 분석함으로써 종교교 육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한다. 21세기에 제작된 미국영화 <데블의 운동장>(The Devil's Playground, 2002)과 <아미쉬 그레이 스>(Amish Grace, 2010)의 내용을 분석하고 비교하여 아미쉬공동체가 지닌 종교적 이미지의 변화와 세계관의 특징과 한계를 검토한다. 왜 아미쉬들은 집총행위나 폭력행사를 거부하는 것일까? 왜 과학의 시대에도 전통의상의 착용만을 고집하며 전기사용을 거부하고 마차를 타고 다니는 것일까? 기독교문화가 지배적인 미국사회에서 개신교 소종교파로서 아미쉬는 영상에 어떻게 표현되고 있을까? 이러한 질문들에 대한 가용한 답변을 종교교육의 차원에서 탐색하기 위하여, 먼저 아미쉬의 세계관을 공감적이며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미국의 아미쉬 영화에 나타나는 이미지의 다양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비교할 것이다. 끝으로, 아미쉬 영화가 종교교육의 차원에서 갖는 함의와 중요성에 대하여 검토할 것이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various images of Amish community in the films, from the perspective of phenomenology of religion. Examining the 21st century films, Devil's Playground(2002) and Amish Grace(2010), we will understand the change of images about the Amish. Concerning the following questions, "why do the Amish reject using weapons and violence?" "Why do they wear traditional clothes and use buggies?" and "How do the American people describe the Amish in the films", we will analyze the Amish images and suggest the possible contributions of Amish values to the religious education.

      • KCI등재

        윤치호의 선교사상과 에딘버러선교대회 –한국적 선교신학의 가능성

        안신 한국선교신학회 2010 선교신학 Vol.24 No.-

        This paper is to deal with Yun Chi-ho's thought of mission by analyzing his diaries, a biography, and Edinburgh reports. A Korean theologian of mission. Yun contributed to the agenda of World Missionary Conference 1910. Emphasizing the uniqueness of Christianity and the freedom of religion and mission, he asked Western missionaries to respect the cultures and minds of Korean Christians. This trends resulted from his encounters with other religions in Chicago, 1893. In Edinburgh, Yun put the principle of Christ over the first principle in the distribution of mission fund by claiming the cooperation and dialogue between missionaries and native leaders in Korean mission field. He also criticized a sudden conversion, suggesting the gradual transformation of individuals and communities in terms of morality, economics, politics, and religion. Yun's early experience of racial discrimination and missionaries' arrogance in the USA made him interpret Christianity from a Korean point of view. He pointed out the dangers of other religions, secular philosophies and uneducated Christians. Instead of the public role of government, he remained a Christian educator and mission strategist. I. 서론1910년 에딘버러선교대회(이하 에딘버러대회)의 개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준비위원회는 많은 어려움에 봉착하였다. 가톨릭은 처음부터 부재를 선언하였고, 영국국교회(성공회)의 참여는 마지막까지 불확실하였다. 물론 국교회 내에 교회연합운동에 우호적인 성직자들도 있었지만, 반대로 개신교와의 연합활동을 꺼리는 성직자들도 상당히 있었다. 표면적으로 모트(John R. Mott, 1865-1955)가 대회에 대한 전체적인 그림을 그렸지만, 실제적으로 대회의 일을 추진한 인물은 바로 올담(Joseph Oldham)이었다. 세계 각지에서 활동하고 있는 1,355명의 선교사가 모인 자리였지만 정교회와 가톨릭의 선교사들과 교회지도자들은 찾아볼 수 없었다. 이 점에서 교회일치운동의 상징으로 기억되고 있는 에딘버러대회는 ‘개신교 중심의 선교대회’였다. 이러한 평가는 에딘버러대회의 교회사적 가치를 평가절하하려는 것이 아니라, 바로 이 논문에서 다루려는 주제, 당시 한국교회의 참여와 기여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내리기 위한 상황적 맥락을 분명히 하기 위함이다. 윤치호(1865-1945)는 국운이 기울어가는 조선을 떠나 왜 미국을 거쳐 영국을 향해야 했을까? 예일대학교 문서보관서에 있는 모트파일에서 처음 필자는 윤치호에 관한 자료를 발견하였다. 윤치호의 약력과 한국 관련 친필서신들 가운데, 모트가 1910년 2월 1일에 윤치호에게 보낸 편지의 사본이 남아 있다. 저는 당신이 이번 6월에 에딘버러에서 개최되는 세계선교대회에 꼭 참석하실 것이라 믿습니다. 당신은 당신의 중요하고도 사랑스러운 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매우 저명하신 분입니다. 한국에서 하나님이 하시는 놀라운 사역의 관점에서 당신이 에딘버러에 꼭 참석하길 바랍니다. 위의 서신은 짧지만 윤치호와 한국에 대하여 중요한 사실을 담고 있다. 한국에서 기독교 선교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었다는 점, 그 놀라운 변화를 대표할 만한 인물로 윤치호가 세계교회의 인정을 받고 있었다는 점, 그리고 당시 한국은 외교적 권리를 상실하여 한일합방을 목전에 두고 있었지만 세계 교회는 아직까지 한국의 독립성을 어느 정도 인정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본 논문은 한국 기독교의 평신도 지도자 윤치호(1865-1945)의 선교사상을 에딘버러대회와 관련하여 재조명하려고 한다. 그리고 주된 분석의 자료는 에딘버러대회의 보고서와 그의 영문일기와 전기가 될 것이며, 공감적 이해와 구조적 직관을 시도하여 현상학적 방법과 신학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 KCI등재후보

        세계시민사회 실현을 위한 종교 간 대화와 협력: 국제인권의 종교적 비전과 사회복지실천에 관한 연구

        안신 한국평화종교학회 2018 평화와 종교 Vol.0 No.6

        In the 21st century Korean society, non-religious people are rapidly increasing. Recently Inter-Korean Summit is open and the new category and orientation of interreligious dialogue and cooperation is needed. This article deals with new directions of building a global civil society by arguing the religious visions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and the necessity of social welfare practices. Inter-Korean summits and dialogues between religious and non-religious people can be regarded as inter-religious dialogues. Instead of focusing on abstract philosophical discourses on human rights, we should recover the meaning and value of life and overcome social crises on the base of human rights which world religions teach us. In order to fulfill the goals, it examines various models of inter-religious dialogue from traditional conversion oriented model to mutual transformation model. Therefore, in supporting religious minority including North Korean defectors, the balanced approach between human rights and social welfare practices is necessary. The author analyzes subjects of social welfare practices related to human rights and examines religious visions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and global ethics. In conclusion, the restoration of balance between human rights and social welfare will make us build a global civil society based on religious peace. 무종교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21세기 한국사회는 남북 간 대화의 길이 열리면서, 종교 간 대화와 협력에 대한 새로운 범주와 방향 설정이 필요한 기로에 서 있다. 본 논문은 인권담론의 종교적 비전과 사회복지실천의 필요성을 주장함으로써 세계시민사회 실현을 위한 종교 간 대화와 협력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남북 간의 대화와 무종교인과 종교인 간의 대화를 광의의 종교 간 대화로 간주한다. 그리고 추상적이며 철학적 인권개념에 함몰되는 대신에, 세계종교의 인권 개념을 토대로 구체적인 삶과 가치의 회복을 실천 지향적으로 극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종교 간 대화에 대한 이론적 다양성을 소개하고, 개종을 전제로 한 전통적인 모형에서 상호 변혁의 모형으로의 전환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탈북자를 포함한 종교적 소수자의 인권문제뿐만 아니라 복지차원에서의 적극적인 지지가 필요함을 주장했다. 인권과 관련된 사회복지실천의 주제들을 분석하고 세계종교들의 인권에 대한 비전과 윤리를 검토하였다. 따라서 세계시민사회를 실현하기 위하여 종교의 평화적 가치에 대한 인권과 복지의 균형 잡힌 치열한 탐색과 분석이 필요하다.

      • KCI등재

        무슬림 여성과 대화의 선교 —종교현상학적 이해를 중심으로

        안신,허우성 한국선교신학회 2009 선교신학 Vol.22 No.-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Islamic view on women by analyzing the Qur'an and deali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uhammad's wives. Early Islamic tradition emphasized the equality between women and men. And Muhammad’s wives played important roles of educating Muslims the Islamic theology and practice without the prejudice of gender. However, this early position has been changed by Hadith traditions and history of Islam. The issues of veiling, polygamy, and gender-separation are culturally conditioned. From womanist's point of view, they can be regarded as tools of protecting women and making them visible before non-Muslims. Though they can be the symbols of male domination and oppression over women, some feminist Muslims argue that cultural differences resulted from traditions not from the nature of Islam, which they regard as the religion of equality and peace. For example, the female circumcision, which are popular in North Africa, is not required by the teachings of the Qur'an. Reconstructing the model of Jeon Jae Ok, the first Korean woman missionary of Pakistan, the author proposes the seven stages of the new mission for Muslim women: ① naming, ② interpolation, ③ bracketing, ④ clarification, ⑤ understanding, ⑥ correction, and ⑦ witness. These stages can happen simultaneously not in sequence. In conclusion, the mission of God is much larger than the missions of churches in terms of depth and mystery. If God is the subject of mission, both Christians and Muslims should cooperate each other to become good partners on the way of religious pilgrim toward the world of peace and reconciliation under the reign of God.

      • KCI등재

        좌옹 윤치호의 종교경험과 종교론 : 종교현상학적 해석

        안신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07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7 No.-

        This essay examines Yun Chi-ho's religious experience and viewpoint by analyzing his writings in the 1920s and 1930s. In order to understand Yun as a homo religiosus (a religious person), a religious-phenomenology approach is applied in three aspects. First, previous researches on Yun have been biographical, insiders', or outsiders' approaches. ① The biographical approach makes him an apolitical figure or a hero. ② The insiders' approach, especially of Christian scholars, concentrates on Yun's positive contribution to Korean Christianity by defending his collaboration with Japanese colonialists. They mainly describe him as ‘a martyr', or ‘a victim'. ③ The outsiders' approach regards Yun as a political, social, or psychological figure. Therefore, we need a religious-phenomenological approach to understand Yun as a homo religiosus. Second, Yun's religious experiences have been analyzed in chronological order since his conversion to Christianity. His religious views under the influence of Confucian education changed from an exclusive position to an inclusive or pluralistic one. Encountering Eastern and Western civilizations in Korea, China, the United States, France, Yun paid more attention to practical and pragmatic ‘commitment' than to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dogma.' As a lay theologian and Christian educator, he argues for gradual transformation instead of sudden conversion. Third, distinguishing religion from reason, Yun argues that a living faith should be based on common sense.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ethnicity, he holds that religion cannot change the nature of ethnicity but the tradition of ethnicity. For example, before Christianity was introduced into Korea, the virtue of love had already existed in the nature of Korean people. In conclusion, Yun's religious viewpoint represents the interpretive creativity of Korean Christians, instead of their uncritical acceptance of the Western form of Christianity. We need both the thick study of Korean Christianity in the context of Korean religious history and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mission and conversion as religious phenomena. 본 논문은 좌옹 윤치호의 1920․30년대 저술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종교경험과 종교관을 검토한다. ‘종교인’ 윤치호를 이해하기 위하여 종교현상학적 해석을 다음 세 가지 측면에서 적용해 보았다. 먼저, 좌옹에 관한 선행연구는 주로 전기적, 내부자적, 외부자적 입장의 특징을 언급한다. ① 전기적 연구는 좌옹을 ‘비정치화’하거나 ‘영웅화’하는 입장에서 쓰여 졌고, ② 내부자적 연구는 주로 기독교학자들이 중심이 되어 좌옹의 생애 중 한국기독교에 미친 긍정적 기여를 부각시키고 친일협력 부분은 ‘순교자’ 혹은 ‘희생자’ 등으로 설명하려는 태도를 보인다. ③ 외부자적 접근은 정치적, 심리적, 사회적 인물로서 좌옹의 세계관을 조명해 왔다. ④ 따라서 ‘신앙인’ 혹은 ‘종교인’으로서 좌옹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윤치호의 종교경험 중 중심적 사례를 연대기적으로 정리하였다. 유교 교육을 받은 좌옹은 기독교로의 회심을 한 후, ‘배타적’, ‘포괄적’, ‘다원적’ 특징으로 차차 변해갔다. 한국․중국․미국․프랑스 등 다양한 동서양 문명과 조우하면서, 철학적 신학적 ‘교리’보다는 실천적 실용적 ‘헌신'을 중시했고, 평신도 신학자이며 기독교 교육자로서 급진적인 ‘개종’보다는 점진적인 ‘변혁’을 주장하였다. 셋째, 윤치호는 종교를 이성과 구분하면서도, ‘살아있는 신앙’이 되기 위해서는 상식에 어긋나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또한 종교는 민족성과 긴밀한 관계를 맺으며, 민족의 습성은 변화시키지만 천성은 바꿀 수 없다고 보았다. 예를 들어, 기독교가 수용되기 이전에 이미 한국인들의 본성 안에는 ‘사랑의 도’가 있었다고 생각했다. 결론적으로, 좌옹의 종교관은 한국 기독교인들이 서양의 기독교를 맹목적으로 수용한 것이 아니라, 창조적으로 해석하고 변용했음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일 것이다. 앞으로 ① 한국 종교사의 맥락을 심층적으로 고려한 한국 기독교사 연구와 함께, ② 종교현상으로서 선교와 개종에 대한 종교현상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영화에 나타난 화신(化身)에 관한 비교연구:영화 <아바타>(2009)와 <젊음 없는 젊음>(2007)을 중심으로

        안신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1 종교와 문화 Vol.0 No.20

        This paper deals with the ideas of incarnation in films, focusing on two films: <Avatar>(2009) and <Youth without Youth>(2007). In modern society, films give religious meanings to the modern people. Therefore, the author regard films as modern religions. The incarnation is a major theme crossing boundaries of world religions. In Hinduism, Vishnu regularly descends into the world as avatars when the morality of people becomes seriously deteriorated. Christianity and Islam have different ideas of incarnation of Jesus Christ. Christians believe that Jesus is the son of God, but Muslims claim that Jesus is the prophet of God. Carmeron's <Avatar> is full of religious ideas. The Navi, the native of the Pandora, communicate with environments, ancestors, and Goddess by connecting their hairs with the nervous system of the Pandora. The big trees are sacred places where the Navi live together. In the Navi community, female figures have religious leaderships of guiding their members. On the contrary, the people of the Earth hire soldiers to attack the Navi in order to mine the previous mineral of the Pandora. Jake mediates two groups of the Navi and humans. In spite of his initial failure, he succeeds to become a mythical hero by taming Last Shadow. He brings peace to the Pandora again. Coppola's <Youth without Youth> uses religious symbols in order to seek for the religious meanings of human consciousness and language. Professor Dominic Matei becomes young when he was shocked by lightning. The dialogue with unconsciousness makes him study the origin of language again. He decides to leave the first lover, Raura, a figure of Goddess, to save her life. After coming home, he faces the death with strong courage and new hope for next life. Since the films are the new religions of the modern, students of religious studies should understand their religious meanings and make them understandable to the world in the 21st century.

      • KCI등재

        외상성 지방색전증후군의 지도화

        안신,이재호,김원 대한응급의학회 2009 대한응급의학회지 Vol.20 No.5

        Purpose: Fat embolism syndrome (FES) is rare, but can be a critical complication in trauma victims. Diagnostic criteria were made by Gurd and subsequently revised by Gurd and Wilson. Despite numerous attempts to improve the criteria, a suitable justification remains absent. This study was designed to understand the course of FES, and attempt its mapping.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by reviewing the medical records. Twenty-five patients whose diagnoses are compatible with FES were gathered from 1997 to 2009. Their demographic data, mechanism of injury, numbers of diagnostic criteria fulfilled, days when the symptoms and signs occurred, patterns and severity of injuries, and treatment results were gathere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12.0, Chi-square,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The major criteria, including petechiae, respiratory and neurologic symptoms, occurred most commonly on the 1st and 2nd days after injury. The minor criteria, including tachycardia, fever, anemia, thrombocytopenia and oliguria, occurred frequently during the 1st and 2nd days, but with more variable ranges.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injury severity and the onset times of the major criteria. Conclusion: Mapping of FES was performed. All the major criteria in FES occurred between days 0 to 3 after injury. The minor criteria, although nonspecific, showed more variable distributions for the day of onset. Health care providers must understand the course of illness, especially the onset times of each criterion, in order to make timely diagnosis and disease prediction.

      • KCI등재

        종교현상학의 창조적 다양성과 비판적 변형 - 김종서의 신종교와 종교사회학 연구를중심으로

        안신 한국현상학회 2018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79 No.-

        This article deals with a genealogy of phenomenology of religion in South Korea, by analyzing Chongsuh Kim’s phenomenological works on new religions and sociology of religion. Kim’s works, Understanding New Religions in the Modern Society (1994) and Sociology of Religion (2005), show the examples of creative diversity and critical transformation in phenomenology of religion. In the first Korean work on new religious movements, he contributed to keep the balanced view on the issues of theory/practice, the West/the East, and insider/outsider. He applied Eliade’s idea of religious re-valorization and Ellwood’s phenomenological approach into the study of Korean new religions. For Kim, history of religions or religious studies helps modern people to live the lives of homo religiosus by offering them ontological soteriology. It reminds them of religious meanings. Therefore, his study on new religions finds the formation and expansion of the sacred in modern society by creating his typology of religions. Overcoming theological confessionalism and sociological reductionism, Kim constructs sociology of religion for the study of new religions on the base of phenomenology of religion. 본 논문은 한국 종교현상학의 계보를 살펴보고, 그 대표학자들 중 김종서의 『현대 신종교의 이해』(1994)과 『종교사회학』(2005)을 중심으로 그의 현상학적 종교연구방법론이 지닌 특징을 종교현상학의 ‘창조적 다양성과 비판적변형’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현대 신종교의 이해』는 이론과 실제, 서양과 동양, 내부자와 외부자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며 집필된 국내 최초의 신종교 이론서로서 그 의의가 크다. 김종서는 엘리아데의 방법론을 수용하면서 ‘종교적 재평가’ 를 한국종교연구에 적용한다. 그에게 종교학은 존재론적 구원론을 현대인에게제공하며 ‘종교적 인간’으로 살아가는 삶이 가능하게 만든다. 성스러움의 원형들이 인류와 지닌 관계를 상기시킴으로써 진정한 의미에서 세계를 존재하도록 돕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김종서의 신종교연구는 유형론을 통하여 현대사회에서성스러움의 형성과 확산을 확인한다. 그는 신학적 고백론과 사회과학적 환원론을 극복하며, 종교현상학에 기초한 종교사회학을 구축하였고 신종교연구에 적용하였다.

      • 과학과 종교의 무신론 논쟁에 관한 연구 : 사후세계관을 중심으로

        안신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16 自然科學論文集 Vol.27 No.1

        This article deals with the analysis of discourse on atheism in science and religion and shows philosophical meanings of dialogue between atheism and theism. Concerning the problem of immortality in the life after death, there are two main streams: dualism and monism. Homeric theory and Platonic theory of immortality lead us to the deep understanding of Bertrand Russell's scientific atheism. The constructive dialogue between Richard Dawkins' militant atheism and John Hick's pluralistic theism is needed. 본 논문은 과학과 종교의 갈등과 대립의 구체적 사례로서 사후세계에 대한 무신론과 유신론의 담론을 분석하여 그 철학적 의미를 드러낸 글이다. 영과 육에 대한 이원론과 일원론을 중심으로, 호메로스와 플라톤의 불멸론을 다루었고, 특히 기독교의 교리적 비합리성을 비판하는 버트런드 러셀의 무신론적 세계관을 분석하였다. 리처드 도킨스로 대표되는 과격한 무신론과 존 힉으로 대표되는 다원주의적 유신론 사이에 건설적 대화의 노력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