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불교 수행공동체의 변화

        안신정(Sin-Jung An)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8 불교와 사회 Vol.10 No.2

        불교수행의 원형은 2,600년 전 붓다에 의해 전해진 팔정도(八正道)이다. 팔정도는 최상의 행복을 위한 길로 계정혜 삼학으로 나누어진다. 계정혜 삼학은 대승의 6바라밀수행으로 이어지면서 보시와 지계는 정혜수행을 위한 바탕이 된다. 정혜수행은 중국 천태의 지관수행을 지나 고려 보조지눌의 정혜쌍수로 이어져, 조선의 서산휴정을 거쳐 현대까지 이어어고 있다. 불교수행공동체는 안거수행 형태로 상가를 이루며, 포살과 자자를 통해 공동생활의 맥을 이어오고 있다. 불교수행공동체는 다양한 단계의 수행자들로 구성되어 서로 가르치고 배우며 도의 길을 닦는 특징이 있다. 초기승가공동체는 칭송과 존경, 침묵과 경청, 친절과 호의의 경책, 열의와 기다림, 다양함을 존중, 겸손과 사무량심, 수용과 환대 등의 덕목이 실현되었다. 현대한국불교수행공동체는 화두참선수행을 하는 제방 선원공동체와 각 사찰에서 정진하는 공동체와 남방불교의 사마타 위빠사나 수행공동체, 큰 스승의 한국방문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명상수행공동체의 3종류로 정리해보았다. 화두참선 수행공동체는 동안거 하안거, 산철결제 기간에 공동체를 이루는 구조이며, 해마다 4천 명 정도씩 수행정진을 하고 있다. 남방수행전통을 따르는 사마타 위빠사나 수행공동체는 지도자 계파별로 온-오프라인을 겸해 수행센터에서 매월 집중수행공동체를 형성해 일상적인 개별수행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제3의 명상수행공동체는 큰 스승이 한국에 방문할 때마다 일시적인 안거로 공동체를 이루고 짧게는 2∼3일에서 길게는 10일 정도의 기간을 갖고 매년 1회 정도씩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불교수행공동체는 사찰 등의 고정된 공동체에서 스승과 수행법을 따라 유연하게 흐르는 경향을 보인다. The originality of Buddhist Practice comes from The 2,600 year old Noble Eightfold Path handed down by Buddha. It was divided to the three types of learning leading to the best happiness: Precept, Concentration, and Wisdom. And these three types of learning leading to 6 Paramita, offering Generosity and keeping Precepts had been the basis of balanced cultivation of meditation and wisdom. It led to Jigwan Practice of Chinese Cheontaejong, then to Jinul’s balanced cultivation of meditation and wisdom in Goryeo Dinasty, to Monk Seosan, and to now. The Buddhist Shangha composing community in the form of practicing retreats, it has been keeping the Buddhist context of common life through Confessional ceremonies and Pavarana, selfconfession at the end of summer retreat. As the Buddhist Shangha is composed of practitioners with diverse steps, they practice the Way with teaching and learning from each other. The early Shangha accom- plished its culture with many virtues; praise and respect, silence and listening, kindness and remonstration with good will, passion and waiting, respecting diversity, humility and the four immeasurable minds, acceptance and welcoming. In this thesis, I arranged the present Korean Buddhist Shangha as the three big streams; 1) shanghas practicing Koan in concentrated atmosphere and communities of the temple-based practice around the country, 2) the communities practicing Samatha and Vipassana of Southern Buddhism, 3) meditation practicing communities learning from a foreign venerable master. Shanghas practicing Koan are structured to form a practicing community in the period of 3 month long winter retreat and summer retreat, and around 4 thousand people are practicing together annually. The communities practicing Samatha and Vipassana of Southern Buddhism form harmoniously both online daily personal practice and monthly offline gathering practice. The third type meditation practicing communities form a temporal community when the foreign venerable master visits Korea; from 2∼3 days to 10 days annually. The present Korean Buddhist Shangha shows the tendency to flow flexibly from the fixed communities in the shape of temple to diverse communities based on different masters and practicing methods.

      • 신념처 명상의 체화를 위한 소매틱 움직임 고찰

        안신정(An SinJung) 한국표현예술치료학회 2018 표현예술치료 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불교의 신념처 명상이 소매틱 움직임의 관점들과 어떤 공통성을 가지는지, 명상을 체화하는 데 소매틱 구조와 움직임 방식들이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이론적 고찰이다. 몸과 움직임은 불교의 전통적인 수행법 중 신념처 수행의 대상에 속한다. 신념처 수행법은 몸을 통한 호흡, 자세 및 움직임을 통해 일어나는 모든 현상이 ‘나’라는 집착 대상을 허물기 위한 것이다. 자아가 있다는 생각과 습관에서, 만족과 불만족에서, 기쁨과 실망, 혐오들에서 벗어나 자유롭기 위한 목적을 지니기 때문이다. 신념처 수행의 네 가지 요소는 첫째, 호흡 관찰. 둘째, 네 가지 자세를 꿰뚫어 아는 통찰. 셋째, 몸의 움직임을 알아차리는 정지. 넷째, 이들을 가능하게 하는 마음챙김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각의 요소들은 다음과 같이 소매틱 관점의 움직임들과의 관련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신체 감각, 감정 및 인지적 상태를 주의 집중해서 관찰하는 것은 소매틱영역의 개념인 1자적 체험, 즉 내관內觀으로 자기인지를 강화시켜 신경가소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연결된다. 둘째, 몸의 자세를 통해 변화되는 신체와 정서 상태를 알아차리고 정신적으로 인식하는 정지는 소매틱 영역의 고유수용감각 및 내부감각을 활성화 및 횡격막 이완을 통한 자연스러운 호흡과 상호관련성이 있다. 셋째, 몸 움직임을 통해 드러나는 무의식을 의식화하여 통찰하는 방법들은 느리고 부드러운 움직임을 통해 결합조직을 이완하고, 손상된 조직을 재구조화 하는 소매틱적 관점을 연결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심부근육과 접촉은 감각운동기억상실과 묻어둔 깊은 감정들과도 접촉할 수 있음을 알아보았다. 넷째, 지금 여기 현존과 체화로의 의도적인 훈련으로서 마음챙김은 근육을 늘리는 수련을 통해 몸의 내 외부 공간을 확장하여 더 자유로울 수 있는 가능성을 실험하였다. 또한 마음챙김에 근거한 움직임과 예술적인 방법으로 몸의 내부공간에 쌓아 두었던 감정을 흘려보낼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러므로 신념처수행의 4요소와 소매틱적 관점은 움직임명상을 체화하는 구성요소로 긴밀하게 서로 연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object of this thesis is to consider theoretically what buddhist ‘Sinnyeomcheo’ meditation (i.e. mindfulness through discerning the body as it is) has in common with somatic movement in their perspectives and how somatic structure and movement methods are related to embodiment of meditation. Body (Soma) and movement are categorized into the targets of Sinnyeomcheo discipline of all the buddhist traditional disciplines. Sinnyeomcheo discipline is that all phenomena occurring from breathing, posture and movement through body are for getting out of obsessing over ‘me’ as an obsessed target. This is because it has the purpose of getting free from the idea on the presence of our ‘self’ and habituating to the idea, satisfying or dissatisfying with, being delighted or disappointed at or abhorring the idea. Sinnyeomcheo discipline consists of four components; 1) anupassanā, observation of breathing 2) paññā, insight into four postures 3) sampajaññā, awareness of body movement, 4) sati, mindfulness facilitating all the above elements from 1) to 3), and each component has relevance to somatic movements as follows; first, concentrating our attention on observing the status of body’s sense, emotion and awareness is connected to reinforcing ‘witness’ by introspection, i.e. first-person experience as a somatic concept and then increasing the neural plasticity. Second, sampajaññā, which means awareness of physical and emotional states changed by body postures and mental recognition of them, is correlated with activating somatic proprioception and interoception and natural breathing by relaxation of diaphragm. Third, ways to make the unconscious which is felt through body movements become conscious and to have an insight into it relax connective tissues by slow and smooth motions and connect to the somatic perspective in which damaged tissues are restructured. Also, contact with deep muscles makes the contact with sensory motor amnesia and deep hidden emotions possible. Fourth, mindfulness as an intentional training for here-and-now presence and its embodiment tested the possibility to get freer by expanding body’s inner and outer spaces through practice of elongating muscles. In addition, it has been observed that movements based on mindfulness and artistic methods can disembogue emotions which have been stored in body’s inner space. Therefore, it is realized that the four elements of Sinnyeomcheo discipline and the somatic perspective can be connected closely with each other as components to embody the movement meditation.

      • KCI우수등재

        서울시 가구주 연령대별 주거이동거리 변화 실증분석: 2005-2015년

        신정,영수,이승일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19 國土計劃 Vol.54 No.1

        지금까지 주거이동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주거이동의 요인이나 이동행태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뤄왔으나, 주거이동의 공간적인 패턴에 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주거이동의 공간적인 패턴은 인구와 주택수요가 필요한 도시정비 및 개발사업을 추진할 때 주택 공급의 수요권역을 설정하는 측면에서 중요한역할을 한다(홍성조·이윤서, 2015). 관련 연구에서는 주거이동의공간패턴을 대부분 시·군·구 단위에서 분석을 하였으나 주거이동의 공간패턴을 설명하기에는 한계를 보였다. 이에 최근 상대적으로 미시적인 단위인 읍·면·동 단위에서 분석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미시적인 규모에서주거이동의 공간패턴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김준수, 2016). 또한 최근 가구구조가 다양화됨에 따라 수요자 중심의 주택시장은 복잡하게 변하고 있다. 이에 정부나 민간에서는 주택의 유형을 다양화함으로써 수요자 맞춤형 주택을 공급하고자 한다. 이처럼 변화하는 가구유형에 맞춰 주택의 수요와 공급이 변하고 있으며, 주거이동의 행태 또한 변할 것이다(홍성조·이윤서, 2015). 따라서 미시적인 단위에서 가구특성을 고려한 주거이동의 공간패턴에 관한 연구는 필요하다(황종규, 2017). 이와 같은 배경으로 이 연구는 서울시에서 이동한 가구주를 대상으로 주거이동거리를 비교·분석하고, 주거이동거리에 영향을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특히 주거이동거리는 주택하위시장의 공간적 범위를 결정하는데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Yi and Kim, 2018).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서울시공간계획과 주택수요권역을 설정하는 주거정책의 기초자료가 될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Reduction of Sulfonylurea with the Initiation of Basal Insulin in Patients with Inadequately Controlled Type 2 Diabetes Mellitus Undergoing Long-Term Sulfonylurea-Based Treatment

        양여리,신정,양혜경,이승환,고승현,유배,윤건호,조재형 대한당뇨병학회 2016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40 No.6

        Background: There were a limited number of studies about β-cell function after insulin initiation in patients exposed to long durations of sulfonylurea treatment. In this study, we aimed to evaluate the recovery of β-cell function and the efficacy of concurrent sulfonylurea use after the start of long-acting insulin. Methods: In this randomized controlled study,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receiving sulfonylurea for at least 2 years with glycosylated hemoglobin (HbA1c) >7%,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sulfonylurea maintenance (SM) and sulfonylurea reduction (SR). Following a 75-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we administered long-acting basal insulin to the two groups. After a 6-month follow-up, we repeated the OGTT. Results: Among 69 enrolled patients, 57 completed the study and were analyzed: 31 in the SM and 26 in the SR group. At baselin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except for the longer duration of diabetes and lower triglycerides in the SR group. After 6 months, the HbA1c was similarly reduced in both groups, bu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insulin dose. In addition, insulin secretion during OGT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20% to 30% in both groups. A significant weight gain was observed in the SM group only. The insulinogenic index was mo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SR group. Conclusion: Long-acting basal insulin replacement could improve the glycemic status and restore β-cell function in the T2DM patients undergoing sulfonylurea-based treatment, irrespective of the sulfonylurea dose reduction. The dose reduction of the concurrent sulfonylurea might be beneficial with regard to weight grain.

      • KCI등재

        Comparison of the Efficacy of Glimepiride, Metformin, and Rosiglitazone Monotherapy in Korean Drug-Naïve Type 2 Diabetic Patients: The Practical Evidence of Antidiabetic Monotherapy Study

        윤건호,신정,권혁상,이승환,민경완,유배,유순집,규정,박성우,이관우,성연아,박태선,김민선,김용기,남문석,김혜순,박이병,박종숙,우정택,손호영 대한당뇨병학회 2011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35 No.1

        Background: Although many anti-diabetic drugs have been used to control hyperglycemia for decades, the efficacy of commonly-used oral glucose-lowering agents in Korean type 2 diabetic patients has yet to be clearly demonstrated. Methods: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glimepiride, metformin, and rosiglitazone as initial treatment for drug-naïve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in a 48-week,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study that included 349 Korean patients. Our primary goal was to determine the change in HbA1c levels from baseline to end point. Our secondary goal was to evaluate changes in fasting plasma glucose (FPG) levels, body weight, frequency of adverse events, and the proportion of participants achieving target HbA1c levels. Results: HbA1c levels decreased from 7.8% to 6.9% in the glimepiride group (P<0.001), from 7.9% to 7.0% in the metformin group (P<0.001), and from 7.8% to 7.0% (P<0.001) in the rosiglitazone group. Glimepiride and rosiglitazone significantly increased body weight and metformin reduced body weight during the study period. Symptomatic hypoglycemia was more frequent in the glimepiride group and diarrhea was more frequent in the metformin group. Conclusion: The efficacy of glimepiride, metformin, and rosiglitazone as antidiabetic monotherapies in drug-naïve Korean type 2 diabetic patients was similar in the three groups, with no statistical difference. This study is the firs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o evaluate the efficacy of commonly-used oral hypoglycemic agents in Korean type 2 diabetic patients. An additional subgroup analysis is recommended to obtain more detailed information.

      • KCI등재후보

        한국불교 위기와 미래지향적 대응*:사부대중 의식조사에 기초하여

        유승무,안신정(재마)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22 불교와 사회 Vol.14 No.2

        This manuscript is a small study for diagnosing the crisis of Korean Buddhism and preparing for future Buddhism, based on the Buddhist monks and nuns <Reference 1>, and a survey of the consciousness of male and female members of the household <Reference 2>. In particular, it seeks to respond to the future orientation of Korean Buddhism based on the data shown by the Buddhist tendencies of the MZ generation. The current crisis of Korean Buddhism is accompanied by secularization in the social system level and dereligion in the behavioral level, and it is expected that a tsunami of various forms including the super-aging of the Buddhist population is expected. In modern society, religion is located on the periphery as one of various social functioning systems, and is only a part of Korea's diversified religious market. Above all, the change in the Korean demographic structure toward the low birth rate/super-aging demographic structure has a major impact on the decline of the Buddhist population and the Buddhist crisis. This greatly affects the reproduction problem of Korean Buddhism, resulting in the collapse of the Sangha, resulting in the absence of Buddhist catechesis and training, resulting in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risis. In this crisis, the MZ generation, who will be responsible for future Buddhism, investigated changes and opportunities in the direction of their religious experiences and orientation. Here, realizing the purity of the Sangha is the most basic and important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Buddhism and should be given the highest priority. To this end, the most urgent task was to come up with a solution to the structural problems of the Korean Buddhist monks. Second, future Korean Buddhism aims to strengthen the practice of Bodhisattva, while innovating practices in line with the times and putting them into practical use in a beneficial direction for real life. Above all, the most urgent social role required for Korean Buddhism must be accompanied by a change in consciousness and attitude along with a generational change at the subjective level. it will come true If we take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m to strengthen the public nature, future Buddhism can be a hope. 본 원고는 불교의 비구, 비구니<자료 1>, 재가 남녀 신도들의 의식조사<자료 2>를 기초하여, 한국불교의 위기를 진단하고 미래 불교를 준비하기 위한 하나의 작은 연구이다. 특히 MZ 세대들의 불교적 성향으로 나타난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불교의 미래지향을 위한 대응을 모색한다. 현재 한국불교의 위기는 사회 체계적 차원의 세속화와 행위적 차원의 탈종교화가 동반하여 불교 인구의 초고령화를 위시한 다양한 모습의 쓰나미가 몰려올 것으로 예상한다. 현대사회에서 종교는 다양한 사회적 기능체계 중 하나로 변방에 위치하며, 한국의 다원화된 종교시장의 한 부분일 뿐이다. 무엇보다 저출산/초고령화의 인구구조를 향하는 한국 인구구조의 변화는 불교 인구의 감소와 불교 위기에 큰 영향을 끼친다. 이는 한국불교의 재생산(reproduction) 문제에도 크게 영향을 끼쳐, 승가의 붕괴와 이로 인한 불교 교리 교육과 수행의 부재를 양산, 질적 양적 위기를 가져온다. 이러한 위기에서 미래 불교를 책임질 MZ 세대의 신행 의식조사에서 그들의 종교적 경험과 지향하는 방향에서 변화와 기회를 고찰하고자 했다. 여기서 승가의 청정성을 구현하는 것이야말로 불교발전의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토대이며, 가장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불교 승가의 구조적 문제에 대한 종책 해법을 마련하는 일이 가장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둘째, 미래 한국불교는 보살도 실천을 강화하는 방향을 지향하면서 시대 변화에 맞게 관행을 혁신하고, 나아가 실생활에 유익한 방향으로 실용화하는 것이다. 무엇보다 한국불교에 요구되는 가장 시급한 사회적 역할은 주체적인 차원에서는 세대교체와 더불어 의식이나 태도의 변화가 수반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현대사회의 해결 불가능 영역으로 간주하는 공유지의 비극을 해결하는 참여 불교를 실현하는 것이다. 이는 불교가 가진 특성을 살려 공공성을 강화한다면 미래 불교는 희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