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파커 J. 파머 철학에 비추어 본 시민교육에서 마음의 중요성

        안수진 한국교육철학학회 2022 교육철학연구 Vol.44 No.2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at the source of citizenship to be formed in civic education is, according to Parker J. Palmer, in the human mind. This paper also seeks to clarify the role and importance of the mind in civic education. According to Palmer, citizenship must meet the following two requirements: First, citizenship should be a concept that simultaneously reveals private human individuality and humanity’s public universality. Second, citizenship should be a concept that represents a constantly changing entity, not a fixed entity, as it is the basis for mediating the mutually subjective relationships between citizens and communities by recognizing that the mind is inherently dynamic. According to Palmer, the ultimate goal of civic education is to develop the human mind as a source of citizenship. Also, the pursuit of the development of the mind is accomplished throughout subject education, so civic education is not something that should be in charge of in any specific subject, but ultimately pursued through all subjects. Accordingly, this perspective recognizes that subject education has value as civic education as it ultimately contributes to the cultivation of citizenship. 본 논문의 목적은 파커 J. 파머의 철학에 비추어 시민교육에서 형성하고자 하는 시민성의 원천이 인간의 마음에 있음을 파악하고, 시민교육에서 마음이 수행하는 역할과 그 중요성을 밝히는 데에 있다. 시민성에 관한 파머의 관점에 따르면, 시민성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요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첫째, 시민성은 인간의 개별성과 인류의 보편성, 즉 인간의 사적 측면과 공적 측면을 동시에 드러내어 주는 개념이어야 한다. 둘째, 시민성은 시민과공동체 사이의 상호주관적인 관계를 매개하는 토대라는 점에서,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실체를 나타내는 개념이어야 한다. 첫 번째 요건과 관련하여, 파머가 제시하는 시민성의 원천으로서의 마음은 인간의 사적인 개별성과 인류의 공적인 보편성을 모두 드러내어 줄 수 있다. 두 번째 요건과 관련하여, 마음은 본래적으로 역동성을 지닌다는 점에서 시민과 공동체 사이의 상호작용을 나타내어 줄 수 있는 개념이다. 이와 같은 파머의 논의에 따르면, 시민교육은 시민성의 원천인 인간의 마음을 발달시키는 일을 궁극적으로 추구해야 한다. 또한 마음의 발달을 추구하는 일은 교과교육 전반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시민교육은 어느 특정 교과에서 담당해야 할 일이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모든 교과를 통해서 추구되어야 하는 일임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교과교육이 본질적 목적인 마음의 발달을 충실히 구현한다면, 교과교육은 그 자체로 시민성 함양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시민교육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Kano 모델과 QFD를 활용한 수소 차단밸브의 감성품질 핵심요인에 관한 연구

        안수진,김채수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6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세계적으로 대기오염 물질 배출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내연기관 자동차를 친환경자동차로 전환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정부의 수소에너지 활성화 정책에 따라 충전인프라 구축, 충전설비핵심부품의 국산화 개발 지원으로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소 충전소에 설치되는 차단밸브의 사용자 니즈를 인터뷰를 통해 조사하고, 감성품질과 관련된 니즈 9가지를 파악하였다. QFD를 기반으로 고객 니즈와 관련된 설계요인 19가지를 도출하였고, Kano 모델에 따라 긍정적 질문과 부정적 질문을 동시에 설문하여 매력적품질, 일원적 품질, 당연적 품질 요인을 규명하였다. Kano 분석 및 Timko 고객만족계수를 활용한 결과 매력적 품질요인 9가지를 확정하였고, 이를 마케팅 차원에서 국산 차단밸브의 차별화 전략으로 설정하였다.

      • KCI등재

        유기질과 무기질 복합체를 이용한 체내흡수형 인공골재료에 관한 연구 -세포배양에 의한 생체적합성 평가-

        안수진,김요숙,이춘기,서활,Ahn, Sue-Jin,Kim, Yo-Sook,Lee, Choon-Ki,Suh, Hwal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5 의공학회지 Vol.16 No.3

        체내 매입후 경시적으로 분해되면서 재생골조직에 의해 치환되는 인공골복합체를 제조하고 복합체가 세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복합체시편을 세포배양액에 넣고 1주일동안 $37^{\circ}C$에서 배양한 다음, 사람자궁경부암유래 HeLa S3세포와 쥐피하 L929세포를 복합체가 용해된 세포배양액에서 5일간 배양하여 세포성장율을 비교하여 세포특성을 조사하였다. 한편 HeLa S3세포를 배양중인 배양액에 ${Na_2}^{51}CrO_4$를 첨가하여 HeLa S3세포에 $^{51}Cr$를 표식한 다음, 용해된 $^{51}Cr$의 양을 $\gamma$-coun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세포성장정도의 측정에서는 HeLa S3 세포 및 L929 세포 모두가 특이한 세포독성을 발견할 수 없었으며, 복합체가 용해된 세포배양액내의 표식된 HeLa S3 세포로 부터 용해된 $^{51}Cr$량을 측정한 결과, 세포활성을 저해하지 않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A composite material was produced as an artificial bone substitute which is gradually degrAded and replaced by the regenerated natural bones after implantation. To detect the effect of the material on the cell's activity, the composite specimens were placed in MEMs and incubated at $37^{\circ}C$ for one week. Human uterus cervical cancer origin HeLa 3 cells and mouse subcutaneous origin L929 cells were cul- tured in the specimen dissolved MEMs for 5 days to investigate cytotoxicity via cell growth rates. ${Na_2}^{51}CrO_4$ solution was added to the media, to label the HeLa 53 cells, and the released amount of $^{51}Cr$ was measured by a $\gamma$-counter. On the cell growth investigation, no significant cytotoxic phenomena were revealed in both HeLa S3 and L929 cell cultures. On the released 51CR from the incubated HeLa 53 cells, no significant cell degeneration was observed from the composite embedded MEMs.

      • KCI등재

        동시대 트라우마 미술에서 징후로서 지표

        안수진 현대미술학회 2022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26 No.1

        This paper discusses the mechanism of index in contemporary art which concerns memory and trauma. As the unconscious trace of the event that cannot be accepted by consciousness, trauma has been compared to index, especially to photography since it simultaneously indicates the past presence and the current absence of subject. Based on the concept of empty shifter Rosalind Krauss discovered, Lisa Saltzman emphasizes the emptiness of index. For Saltzman, contemporary art of trauma establishes the absence of referent using the empty index. However, this interpretation disregards the nature of index and restricts the capability of image to silence as Margaret Iversen points out. In this paper, I suggest Georges Didi-Huberman’s concept of index as imprint, symptom and the tear-image to reconsider the indexicality of contemporary art of trauma. Index as symptom can provide a chance of agitation between the unrepresentability of traumatic real and the representation. 본고는 트라우마와 트라우마를 남긴 사건, 그리고 그에 관한 기억을 다루는 동시대 미술에서 지표가 작동하는 방식을 고찰한다. 트라우마는 의식이 수용할 수 없는 충격의 무의식적인 ‘흔적’으로 퍼스적 의미의 지표, 특히 사진과 유비된다. 이 유비에서 중요한 사진의 지표성은 사진이 지시 대상과 시공간적 거리를 둔 존재 기호로서 지시 대상이 과거에 현전하였다는 사실과 지금 여기에는 부재한다는 사실을 동시에 지시한다는 것이다. 미술 이론가 리사 살츠만(Lisa Saltzman)은 로잘린드 크라우스(Rosalind Krauss)의 텅 빈 전환사 개념에 착안하여 동시대 트라우마 미술이 ‘텅 빈 지표’(empty index)를 이용한다고 해석한다. 텅 빈 지표는 지시 대상의 부재를 천명함으로써 지시 대상의 현전을 증명하는 지표의 특권적 지위를 무효화한다. 그러나 트라우마와 그를 남긴 사건의 재현 불가능성을 수호하기 위해 ‘텅 빔’만을 강조하는 살츠만의 해석은 텅 빈 지표가 ‘지표’로서 가진 성질을 간과하고 이미지의 임무를 침묵으로 제한한다는 한계를 가진다. 본고는 마가렛 아이버슨(Margaret Iversen)을 따라 이 한계를 지적하고 조르주 디디 위베르만(Georges Didi-Huberman)의 관점을 바탕으로 동시대 트라우마 미술에서 지표가 촉발하는 상상 가능성(imaginability)을 주장한다. 디디 위베르만은 미술사에서 지표가 언어적인 관념으로 축약되고 사진 매체의 특권적인 속성으로 여겨진다는 사실을 지적하며 자국, 징후, 찢긴 이미지로서 지표가 가진 독특한 물성과 시간성을 다시 주목한다. 그에 따르면 이미지의 지표적인 차원은 도상적이고 상징적인 세부와 충돌하며 트라우마와 그를 남긴 사건의 실재를 둘러싼 기존의 앎을 문제시하고 이미지를 보는 이에게 새로운 상상을 윤리로 부과한다. 본고는 크리스티앙 볼탕스키(Christian Boltanski)의 작품을 사례로 지표가 트라우마적 실재의 재현 불가능성과 재현 가능성 사이에 불안과 동요의 계기를 심는 구체적인 방식을 고찰한다.

      • KCI등재

        The Reconceptualization of International Teaching Assistants in Applied Linguistics: A Transdisciplinary Approach

        안수진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1 No.1

        International teaching assistants (ITAs) work in complex social contexts, since they are English learners from various cultural backgrounds interacting with undergraduates in the American university classroom setting. In this context, ITAs can be examined within the transdisciplinary framework, a new theoretical approach in applied linguistics.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ITAs can be reconceptualized from the perceived view of four American undergraduates based on their classroom experiences with ITAs. In particular, the participants are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who will possibly teach linguistically and culturally diverse children in the future. The interviews of four participants were examined using a thematic analysis. The findings showed that, through communication with ITAs, the American undergraduates learned how to communicate with people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Also, the American undergraduates learned about the importance of sharing different cultural experiences in the classroom. Finally, interaction with ITAs revealed that the American undergraduates had the chance to think about their own cultural identities such as ethnic identity and foreign language learner identity. Implications address the reconceptualization of our understanding about ITAs with the new perspective and includ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So as a Multifunctional Discourse Marker Used by Korean Speakers in English Conversation

        안수진 언어과학회 2015 언어과학연구 Vol.0 No.75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Korean speakers' use of so in their English conversation differs from native speakers' use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and discourse functions of so. The data were obtained from audio-recorded oral samples from 70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required first-year Academic Spoken English clas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discourse marker so in the present data was underused by the Korean speakers compared to native speakers. Secondly, Korean speakers employ so with a different discourse marker functions than the native speakers do in their English conversation. The possible explanations were offered in the discussion s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