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연구개발 투자 증가와 기업성장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안수근(SooGeun Ahn),윤지환(Jeewhan Yoon),김영준(YoungJun Kim) 한국경영학회 2017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08

        본 논문은 선행연구를 통해 높은 성장을 경험한 이후에는 낮은 성장을 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밝혀진 ⑴ 중소기업의 연도별 성장률 분석을 통해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기업성장과정(패턴)의 특성을 비교하고 ⑵ R&D 투자가 증가한 중소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높은 성장을 할 가능성이 있는가에 대하여 대기업과 비교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의 연도별 기업성장률은 음(-)의 autocorrelation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OLS 분석과 분위회귀분석의 성장률 상위분위에서 중소기업의 연도별 기업성장률에 유의한 음(-)의 autocorrelation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기업의 연도별 기업성장률은 분위회귀분석의 성장률 분위 QR_75 이하에서 유의한 양(+)의 autocorrelation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서,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다소 erratic하고, ‘start-and-stop’한 성장과정을 겪는 반면, 대기업은 중소기업에 비해 비교적 부드러운 성장과정을 거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기업의 R&D 투자 증가가 연도별 기업성장률의 autocorrelation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 중소기업과 대기업 모두, R&D 투자가 증가하지 않은 기업들의 연도별 기업성장률은 성장률 상위분위에서 음(-)의 autocorrelation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R&D 투자가 증가한 기업들은 성장률 상위분위에서 R&D 투자가 증가하지 않은 기업들 대비 양(+)의 autocorrelation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R&D 투자가 증가한 대기업은 중소기업보다 R&D 투자 증가가 기업성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소기업과 대기업 모두 성공적인 R&D 투자 증가를 통해 높고 지속적인 성장을 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Using an augmented version of Gibrat’s law, we theorized the persistence of firm growth when firms increase their R&D investment. Based on 17 years of data from 1,361 firms(SMEs 616; large firms 745) in South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dynamic interaction between past growth rate and R&D investment on the current growth rate in order to examine whether increasing R&D investment can help firms grow persistently. This study findings suggested that high-growth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are likely to show declining growth after their high growth, and this is supporting the previous studies. However, we also found high-growth SMEs that increased their R&D investment could outperform their counterparts that do not in the following year. Therefor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persistence of firm growth as follows: (1) we found that SMEs can grow continuously by successful outcomes from increasing R&D investment, although SMEs are prone to have difficulty in persistent growth; (2) we empirically showed that R&D investment could help firms grow persistently, while previous studies focused only on autocorrelation in annual growth rates; and (3) policy makers should develop the way of increasing R&D investment when they target HGFs and SMEs to achieve sustainable economic growth.

      • 기술집약적 기업의 연구개발활동과 기업성장에 관한 연구

        안수근(SooGeun Ahn),김영준(YoungJun Kim) 한국경영학회 2016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8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기술집약적 기업인 벤처기업 및 연구개발 규모 상위 5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연구개발활동과 기업성장 간의 상호작용을 17년(1999~2014)에 걸쳐 분석하였다. 연구분석을 위한 데이터는 ‘연구개발활동(T1)~기업성장(T2)~연구개발 성장(T3)’의 3년을 1개의 주기로 구성하여 총 15개의 주기에 걸쳐 OLS와 Quantile regression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연구개발활동이 기업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성장분포 하위기업에서는 연구개발활동이 매출 성장과 기업가치 성장에 음(-)의 영향을 주지만, 중상위 기업으로 갈수록 매출 성장과 기업가치 성장에 양(+)의 영향을 주면서 영향력이 증가하였다. 둘째, 기업성장이 R&D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기업의 매출성장과 기업가치 성장은 차년도 R&D 성장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벤처기업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벤처기업의 연구개발활동과 매출성장 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벤처기업의 연구개발활동과 기업가치 성장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을 발견하지 못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본 연구를 통해 연구개발활동은 고성장 기업의 성장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기업은 성장 이후에도 R&D 투자를 확대하는, 이른바 고성장기업에서의 ‘연구개발활동(T1)~기업성장(T2)~연구개발 성장(T3)’에 이르는 선순환적인 상호작용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벤처기업의 연구개발활동과 기업가치 성장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벤처기업의 연구개발활동이 기업가치에 적절하게 반영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실증적 분석을 통해 고성장기업에서의 연구개발활동과 기업성장 간의 선순환적인 상호작용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특히 정책입안자들에 대해서는 벤처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주식시장의 연구개발 재원조달 기능을 인지하고 관련 제도를 더욱 발전시켜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D activities and firm growth over the years. In addition to OLS, we used quantile regressions in order to further strengthen the robustness of the study result. Through a longitudinal study examining the relationship across firm R&D activities at T1, firm growth at T2, and R&D growth at T3,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s of R&D activities and firm growth. In this longitudinal study, we first foun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R&D activities and firm growth in sales and stock market value in the following year and this relationship was higher for high-growth firms than low-growth firms. Second, we can see the firm growth in sales and stock market value impact on positively R&D growth in the following year. But, we found the R&D activities of venture companies do not significantly impact on stock market value growth in contrast to general companies. In conclusion, the R&D activities influenced the firm growth of high-growth firms more positively, and high-growth firms invested more on R&D in the following year.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R&D activities and firm growth literatures by examining the virtuous cycle between the R&D activities and firm growth. This study also implicate that policy makers should consider the function of the stock market’s funding for the R&D activities.

      • KCI등재

        고성장기업의 연구개발활동과 인적자본에 의한 생산성 향상에 관한 연구

        안수근 ( Soogeun Ahn ),윤지환 ( Jeewhan Yoon ),김영준 ( Youngjun Kim ) 한국생산성학회 2020 生産性論集 Vol.34 No.1

        According to the endogenous growth theory by Romcer(Romer, 1986, 1990), the stock of knowledge by research and development(R&D) and human capital has an increasing marginal productivity and growth rate can be increasing over time, in contrast to the models where capital exhibits diminishing marginal productivity. In line with this, this paper examined the effect of R&D investment and human capital on firm growth, focusing on the sustainable growth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and large firms. In this study, we first found the human capital influenced positively on the sales growth of high-growth SMEs and high-growth large firms. In particular, we found the human capital of high-growth SMEs more influenced on firm growth than that of high-growth large firms. Second, we also found the human capital influenced on the sales growth of high-growth SMEs and high-growth large firms that exceed the average of R&D intensity more positively than their counterparts that do not. In particular, we found the human capital of high-growth large firms that exceed the average of R&D intensity more influenced on firm growth than that of high-growth SMEs that exceed the average of R&D inten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a important implication. Firms could expect learning effect of human capital from the R&D activities and that could help the firms grow continuously in both high-growth SMEs and high-growth large firms. One of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s the time lag between R&D activities(innovation) and their commercial success. However, it is expected that R&D activities(innovation) will indeed pay off on average in the long-term(Coad & Rao, 2008). In line with this, many previous studies include one-year time lag between innovation activities(R&D) and firm growth(e.g., Coad & Rao, 2008; Coad et al., 2016; García-Manjón & Romero-Merino, 2012). In particular, Coad et al.(2016) performed additional test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D and firm growth with longer time lag, and found the results are generally similar to the results of one-year time lag. We also analyzed longitudinal data and multiple industry to overcome this limitation, as previously suggested and tested(e.g., Davidsson & Wiklund 2006; García-Manjón & Romero-Merino, 2012; Liu et al. 1999; Weinzimmer et al. 1998; Yang & Huang 20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