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NU WASHINGTON 측광계의 표준화와 WASHINGTON 측광계의 일반적 특성

        안성민,이시우,An, Seong-Min,Lee, Si-U 한국천문학회 1992 天文學論叢 Vol.7 No.1

        서울대 천문학과(SNU)의 Washington 측광계를 사용하여 관측한 자료와 ADC (Astronomical Data Center)의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SNU Washington 측광계를 표준화 시켰다. SNU Washington 측광계중에서 C필터에 나타나는 적색광 누출은 V필터와의 결합을 통해 보정했으며, 그 최대값은 K0형에서 약 $0^{m}.14$까지 이른다. ADC의 자료분석 결과 G. K형 별들에 대해 중원소 측광지수와 중원소함량과 서로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고. 주계열성의 경우 온도 측광지수와 온도와는 좋은 관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M-T_2$)과 ($M-T_1$) 평면상에서는 중원소함량과 광도계급에 무관한 좋은 온도관계를 나타냄을 알았다. 그리고 이 측광계의 장점으로 나타난 CN지수와 CN 특이성과는 특별한 관계를 찾기가 어려웠고, 이 측광계만으로는 상도계급의 구분을 다른 측광계 만큼 분명하게 결정짓기가 어려웠다. 그러나 표면중력과이 측광계의 색지수와의 관계를 본 결과 초거성, 거성, 주계열성을 비교적 잘 구분해 낼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방사성동위원소 사용시설(내/외) 화장실의 외부선량률

        조용귀(Yong Gwi Cho),안성민(Seong Min An)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6 방사선기술과학 Vol.39 No.2

        방사성동위원소 사용시설 내/외 화장실 표면 방사선량률과 공간 방사선량률을 측정하여 화장실을 이용하는 환자 이외 방사선작업종사자 및 환자보호자 등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방사선 방어 연구에 대한 기초 자료로 제시 하고자 한다. 2014년 5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인천광역시 소재 종합병원 방사성동위원소 사용시설 내/외 화장실 4곳의 공간 방사선량률과 작업 전/후 표면 방사선량률을 각각 측정하였다. 의료기관별 방사성동위원소 사용시설 내 화장실 이용 실태조사 결과 환자뿐만 아니라 환자 보호자, 일부 방사선 작업종사자까지 다양하게 이용하고 있었다. 화장실 내 공간 방사선량률 측정 결과 핵의학적 검사 중 감마촬영실을 이용하는 화장실의 누적 공간선량률은 8.86 mSv/hr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방사성옥소 치료실 화장실은 7.31 mSv/hr, PET촬영실 화장실 2.29 mSv/hr, 외래 진료과 화장실 0.26 mSv/hr 으로 각각 측정되었다. 방사성동위원소 작업 전/후 화장실 내 표면 방사선량률을 측정한 결과 대부분 환자 배설물이 직접 닫는 변기 앞에서 표면 방사선량률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화장실 내 중앙, 입구 순으로 측정되었다. 개봉선원은 물리적 반감기가 짧고 에너지가 낮아 비교적 안전하여 방사선 관리구역에서 안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저에너지 이며 짧은 반감기의 방사선원이라 하더라도 환자에게 투여되면 그 이후 환자는 움직이는 방사선원이 되며 환자가 이용하는 장소는 배설물에 의한 방사선 오염 장소가 된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유효선량을 최소화하고 불필요한 피폭선량을 줄이기 위해 방사성동위원소 투여 후 충분한 수분 섭취를 독려하여 생물학적 반감기를 낮추고, 물리적 반감기가 허용 선량이하로 될 때까지 주변인은 환자로부터 가급적 멀리 떨어져 생활하도록 권고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therefore aimed at measuring the surface dose rate and the spatial dose rate in and outside the radionuclide facility in order to ensure safety of the patients, radiation workers and family care-givers in their use of such equipment and to provide a basic framework for further research on radiation protection. The study was conducted at 4 restrooms in and outside the radionuclide facility of a general hospital in Incheon between May 1 and July 31, 2014. During the study period, the spatial contamination dose rate and the surface contamination dose rate before and after radiation use were measured at the 4 places− thyroid therapy room, PET center, gamma camera room, and outpatient department. According to the restroom use survey by hospitals, restrooms in the radionuclide facility were used not only by patients but also by family care-givers and some of radiation workers. The highest cumulative spatial radiation dose rate was 8.86 mSv/hr at camera room restroom, followed by 7.31 mSv/hr at radioactive iodine therapy room restroom, 2.29 mSv/hr at PET center restroom, and 0.26 mSv/hr at outpatient department restroom, respectively. The surface radiation dose rate measured before and after radiation use was the highest at toilets, which are in direct contact with patient's excretion, followed by the center and the entrance of restrooms. Unsealed radioactive sources used in nuclear medicine are relatively safe due to short half lives and low energy. A patient who received those radioactive sources, however, may become a mobile radioactive source and contaminate areas the patient contacts−camera room, sedation room, and restroom−through secretion and excretion. Therefore, patients administered radionuclides should be advised to drink sufficient amounts of water to efficiently minimize radiation exposure to others by reducing the biological half-life, and members of the public−family care-givers, pregnant women, and children−be as far away from the patients until the dose remains below the permitted dose limit.

      • 제8회 전시회소감

        안성민 안동대학 안동사연구회 1989 安東史硏究 Vol.3 No.1

        이 행사는 매년 정기적으로 열리는 행사로서 안동시립도서관 전시실에서 88년11월10일부터 13일까지 열렸던 행사이다. 안동사 연구회 회원들이 그동안 안동지방과 인접지역의 유물과 유적을 조사해서 문화재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보호를 위해서 전시회를 개최했던 것이다. 매월2회씩의 답사로 탁본, 실측, 촬영등을 통해 미흡한 자료지만 전시를 했다. 전시회를 가진 횟수는 오래되지 않았지만 우리 회원들에게는 실로 큰 행사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자료가 탁본에만 편중되어야 한다는데는 실로 유감이지만 자료를 수집하고 현지답사를 통해 일년동안 준비해 왔다는 것에 보람을 느낀다.

      • 정신지체 아동의 연령별 손 기능 비교 : 7,8,9세를 중심으로

        안성민,송병호 檀國大學校 特殊敎育硏究所 2006 特殊敎育要求 兒童硏究 Vol.17 No.-

        이 연구에서는 정신지체 아동과 일반 아동의 연령별 손 기능이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고, 정신지체 아동의 연령간 손 기능이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대상은 정신지체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24명의 아동과 일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24명의 아동이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지체 아동과 일반 아동을 연령별로 비교하여 대근육 손 기능 검사 측정 결과 7세, 8세, 9세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정신지체 아동과 일반 아동을 연령별로 비교하여 소근육 손 기능검사 측정 결과 7세, 8세, 9세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셋째, 정신지체 아동의 연령간 대근육 손 기능 검사 측정 결과 7세와 8세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정신지체 아동의 연령간 소근육 손 기능 검사 측정 결과 7세와 8세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8세와 9세 정신지체 아동 간에는 유사한 손 기능을 보인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볼 때, 교육의 현장에서 간과하기 쉬운 정신지체 아동의 손 기능 증진을 위해서 연령별로 교육적 중재가 달라져야 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hand function between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nd without mental retardation age 7, 8, 9.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 students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r mental retardation and 24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Eight children of age 7 and eight children of age 8 and eight children of age 9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gross motor function abil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nd without mental retardation in age 7, 8, and 9. Second, the fine motor hand function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in each age group. Third, comparing gross motor function between the age for the group with mental retard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ge 7 and 8. Fourth, for the fine motor hand func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ge 7 and 8. In conclusion, there are differences of development for the hand function between ages. Thru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special education intervention at the age between 8 and 9 is important for the improvement of gross motor hand function and fine motor f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