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기배력 기구를 가진 전기기계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의 개발

        안상권(Sangkwon Ahn),한인환(Inhwan Han) 한국자동차공학회 2004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Within the framework of Brake-by-Wire (BBW) technology, this paper presents two novel models of electro-mechanical disk brake calipers with self-servo mechanism which provides self-servo effect of boosting a friction force generated between the brake pad and the rotor disk surface. The first one is a caliper with separated pressure plate and the second is the caliper with a hydraulic chamber. The models have been developed utilizing the patent analysis results of previous invents of electro-mechanical brake (EMB) calipers. In addition, the simple and novel types of self-servo mechanism are added to both calipers. The feasibility of the developed models has been validated through the dynamic simulation analysis using ADAHS.

      • KCI등재

        북한 장애인의 삶과 특수교육에 대한 북한이탈학생들의 경험과 인식 연구

        안상권 ( Sangkwon An ),홍정숙 ( Jeongsuk Ho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학생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북한 장애인의 삶과 특수교육에 대한 경험과 인식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북한 장애인의 삶과 특수교육의 단면을 살펴보고, 특수교육 분야에서 통일을 준비하는 관점에서 방향성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면담을 통해 분석된 코드는 24개의 의미단위와 8 개의 하위범주, 4개의 상위범주로 분류되었다. 4개의 상위범주는 ``장애인의 실태``, ``장애 발생 원인``, ``장애인의 생활상과 지원정책``, ``북한의 특수교육``이었으며, 이 요인들이 가지는 의미를 제시하고 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 the present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who now live in South Korea, to investigate their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the life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special education in North Korea. Moreover, the study was aimed at examining the life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a few aspects of special education in North Korea and providing the baseline data that explore the future directions of special education from the vantage point of unification preparation. The codes that were analyzed through the interviews were classified into 24 meaning units, 8 subcategories and 4 categories. The four categories were the ‘current condition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causes of disabillties’, living conditions of and support policie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special education in North Korea’, and the present study proposed the significance of the categories and discussed their implications

      • KCI등재

        장애학 관점을 통한 장애부모참여에 대한 고찰

        안상권 ( Sangkwon An ),임미향 ( Mihyang Im ),강종구 ( Jong Gu Ka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2

        본 연구는 장애학 관점을 통해 장애부모들이 자녀들의 권리 옹호에 어떻게 참여하여 왔으며 참여 결과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검토를 통하여 장애부모참여와 관련된 다양한 자료들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장애부모참여는 장애학생들의 교육권 확보와 권리 신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장애아동의 권리에 있어 전문가뿐만 아니라 가족들의 의견도 많이 반영되기 시작했음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장애부모참여는 학령기 자녀들에 주로 한정되어 왔으며 부모 중심의 외형적인 성장에 치우친 경향이 있다. 따라서 장애부모참여는 장애인들의 학령기뿐만 아니라 성인기와 관련해서도 활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외형적 성장뿐만 아니라 질적인 발전이 함께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disabled children’s parents advocated and participated for their children’s rights from the viewpoint of disability studies and what are the results of these participatio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ollected and analyzed various documents related to disabled parents’ particip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disabled parents’ participa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acquisition of educational rights and the improvement of rights. They also showed that the righ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tarted to included family as well as professionals. However, disabled children’s parents’ participation has restricted to school-age children, and their participation has tended to stay external growth based on parents. Therefore, disabled children’s parents’ participation needs to actively do in disabled adults as well as school-age children, and disabled children’s parents’ participation needs to do qualitative development as well as external growth.

      • KCI등재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사의 교권침해 관련 경험과 인식

        홍정숙,구본재,김동원,안상권,우선주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 Vol.20 No.3

        연구목적: 이 연구는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사의 교권침해 관련 경험과 인식 내용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특수학교 교권침해 예방 및 교권 존중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최근 3년간 특수학교에 근무하고, 직·간접적인 교권침해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17명에게 개별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 전사 자료를 지속적 비교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3개의 범주, 7개의 주제와 36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3개의 범주는 ‘교권침해 주체와 유형’, ‘교권침해의 원인, 예방, 대처’, ‘교권침해 개선 방안’이었다. 이에 따른 7개의 주제는 ‘학생의 교권침해’, ‘학부모의 교권침해’, ‘교직원의 교권침해’, ‘교권침해 원인’, ‘교권침해 예방 노력과 대처 방식’, ‘학교문화 개선’, ‘제도 및 정책 개선’ 으로 분류되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특수학교 교사의 교권침해 예방 및 교권 존중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oth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infringemen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rights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to make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to prevent an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17 teachers with teaching experience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over the past three years who had experienced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during that time. Results: Three categories were identified: 1) types of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2) causes, prevention, and responses-regarding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and 3) improvement tasks. Seven themes were identified: students’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parents’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school managers’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causes of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efforts to prevent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and response to such an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improvement of school culture, and improvement of related system and policies. Conclusion: Implications for preventing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were suggested to respect teachers’ authority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