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 내 의료적 지원에 대한 어려움과 개선 과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학부모를 중심으로

        안상권,백수진,임용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4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7 No.1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challenges and improvements regarding in-school medical support. Metho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seven parents of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method. Results: The challenges of in-school medical support included three themes and nine sub-themes, and the improvements consisted of three themes and nine sub-themes. First, the three themes of challenges were as follows: (1) challenges of parents, (2) challenges of schools, and (3) challenges of hospitals. Next, the improvements were as follows: (1) improving awareness of medical support, (2) establishing a national medical support system, and (3) improving school nurse’s working conditions and work environmen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t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학교에서 의료적 지원을 받는 중도중복장애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의료적 지원 사업 도입과 운영 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을 살펴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과제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학교 내 의료적 지원 사업 도입을 위해 활동하거나, 현재 지원받고 있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학부모7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부모가 경험한 어려움은 3개의 주제와 9개의 하위주제, 개선 과제는 3개의 주제와 9개의 하위주제로구성되었다. 먼저, 어려움의 주제는 학교 내 의료적 지원에 관여하는 주체 별로, 즉 부모의 어려움, 학교의 어려움, 연계 병원의 어려움으로 구성되었다. 다음으로 이러한 어려움을 개선하고 의료적 지원 발전을 위한 개선 과제의 주제는 1) 의료적 지원에 대한 인식 개선, 2) 국가 차원의 의료 지원 체제 구축, 3) 간호사 처우 및 근무환경개선으로 구성되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학교 의료적 지원 사업과 관련하여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두 개의 슬롯을 이용한 단말기용 다중대역 내장형 안테나

        안상권,최선호,곽경섭 한국ITS학회 2014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3 No.1

        본 논문에서는 LTE 700, GSM 850, GSM 900, GSM 1800, GSM 1900, UMTS 대역에서 동작 가능한 안테나를 설계 제작하였다. 작은 크기의 안테나로 광대역 특성을 얻기 위해 다중대역 모노폴 안테나를 기반으로 커플링 구조를 사용하였고 두 개의 slot을 삽입하여 hexa-band 대역폭 특성을 구현하였다. 시뮬레이션에 의한 최적화된 파라미터를 가지고 제작하였고 제작된 안테나는 VSWR≤3:1에서 Low 주파수대역 410Hz 대역폭 (0.688-1.098GHz)과 High 주파수대역 643MHz 대역폭 (1.607-2.250GHz)이 측정되어 hexa-band(0.698-0.960GHz, 1.710-2.170GHz) 대역폭을 만족하고 높은 이득 (-0.52-4.68dBi) 및 전방향성 (Omni-directional) 방사 패턴을 얻었다.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fabrication, and measurement of a compact hexa-band coupling antenna for 4G mobile handset using a small element with two slots. In order to obtain sufficient bandwidth (LTE700, GSM850, GSM900, GSM1800, GSM1900, UMTS) with a Voltage Standing Wave Ratio (VSWR)≤3:1, two slots are inserted in the small element, and coupling patch is used. The measured result of the fabricated antenna provides 410MHz bandwidth form 0.688 to 1.098GHz and 643 MHz bandwidth form 1.607 to 2.250GHz (≤VSWR 3:1) with the gain ranging from -0.52 to 4.68 dBi. Also, a good radiation pattern is achieved within the hexa-band (0.698-0.960GHz and 1.710-2.170GHz) range.

      • KCI등재

        Cross Decoupler를 이용한 LTE 펨토셀용 4-port MIMO 안테나

        안상권,정계택,이화춘,곽경섭 한국ITS학회 2014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3 No.2

        본 논문에서는 LTE 700MHz(Band12, 13, 14, 17, 28, 44) 대역에서 동작 가능한 4개의 포트를 가진 펨토셀(Femtocell) MIMO 안테나를 설계 제작하였다.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를 기반으로 임피던스 매칭을 위하여 쇼트핀을 이용하였고, 한정된 크기에서 충분한 안테나 격리도를 얻기 위해 십자형 디커플러를 이용하였다. 시뮬레이션에 의한 최적화된 파라미터를 가지고 제작하였으며, 제작된 안테나는 VSWR≤2에서 105MHz(0.698~0.803) 대역폭을 만족하고 1.97dBi의 이득과 격리도는 13dB이상의 값을 얻었다. MIMO 안테나의 성능을 판단하는 주요 파라미터인 안테나간 상관계수는 0.2 이하의 결과를 얻었다.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fabrication, and measurement of a 4-port femtocell MIMO antenna for LTE 700MHz(Band12, 13, 14, 17, 28, 44) applications. Based on microstrip patch antenna, an impedance matching is achieved by short pin. In order to obtain sufficient bandwidth and isolation between antenna elements in a limited dimension, a cross decoupler is used. With a Voltage Standing Wave Ratio (VSWR)≤2, the measured result of the fabricated antenna provides 105MHz(0.698~0.803MHZ) bandwidth and shows the gain with 1.97dBi and isolation above 13dB. As one of the key parameters for MIMO performance evaluation, correlation coefficient of MIMO is achieved within 0.2.

      • KCI등재

        북한 장애아동 교육에 관한 북한이탈주민과 전문가의 경험과 인식

        안상권,홍정숙 한국특수아동학회 202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5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북한에서의 장애아동 교육에 관한 북한이탈주민과 전문가들의 경험과 인식 내용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북한 사회 장애아동 교육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북한에서 교사, 학생, 장애인 당사자 등의 삶을 살아온 북한이탈주민 10명과 북한에서 장애아동을 지원하는 해외활동가, 연구가, 정치인 등 전문가 6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연속적 비교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면담 분석 결과, 2개의 주제(장애아동 교육의 현실, 북한 장애아동 교육 발전을 위한 과제)와, 4개의 하위 주제(특수학교에서의 장애아동 교육, 일반학교에서의 장애아동 교육, 제도적 개선 방안, 장애인식 개선 방안)가 도출되었다. 북한의 장애아동 교육은 시각장애, 청각장애 특수학교를 중심으로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반학교에서의 장애아동 교육은 실제 그 운영이 매우 미비한 실정이었다. 그럼에도 일반학교에 다니는 지체장애, 지적장애(다운증후군 포함) 아동에 관한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북한 장애아동 교육 발전을 위한 과제는 ‘특수교육 기관 확대 및 특수교사 양성 체제 구축, 장애아동 교육권의 토대로 재활, 복지 지원 확대, 국가수준 특수교육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과 함께 장애인식 개선의 구체적인 방안들이 제시되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북한 장애아동 교육 관련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experts regarding the educ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North Korea. Based on this, the study seeks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North Korean society. Metho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North Korean defectors who have experienced life as teachers, students, 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North Korea, as well as 6 experts including overseas activists, researchers, and politicians involved in suppor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North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The analysis of interviews resulted in two main themes (Reality of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Challenges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North Korea) and four sub-themes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regular schools, Institutional improvement strategies, Strategies for improving awareness about disabilities).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North Korea is primarily limited to special schools for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s, and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regular schools is inadequate. However, cases of children with physical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cluding Down syndrome) attending regular schools were identified. Challenges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North Korea include the expansion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for trai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Additionally, suggestions were made for improving awareness about disabilities and enhancing rehabilitation and welfare support, as well as developing national-level special education curricula and materials. Conclusion: The study concludes with implications for policy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related to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North Korea.

      • 국내 공공망(Public Network)에서의 네트워크 공유 방안

        안상권,박평수,박상훈 한국통신학회 2016 정보와 통신 Vol.33 No.3

        통합공공용 주파수로 분배된LTE(Long Term Evolution) 718~728Mhz(상향) 및 773~783MHz(하향)에서 재난안전 통신망, 철도무선 통신망, 차세대 해상무선 통신망 등과 같은 LTE기반의 공공통신망(Public Network, 이하 공공망)이 상호공존하여 사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두 개 이상의 복수의 LTE 네트워크가 동일 주파수를 사용하여 서비스하는 경우 통신 커버리지가 겹치는 영역에서의 간섭은 불가피하다. 셀간 간섭에 의하여Mission Critical한 요구사항이 중요시되는 공공망에서의 품질 열화가 야기되며, 경우에 따라 심각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국내 공공망의 현황을 살펴보고 네트워크 공유방식에 대한 기술 및 표준화 동향, 그리고 해외의 사례를 알아보았다. 국내 통합공공용 주파수에서 동일 주파수를 사용하게 될 공공망 간의 간섭을 최소화 하여 네트워크를 구축 및 연계를 위해서 개별 공공망간의 네트워크를 공유하는 방안을 고려하였다. 국내 공공망의 효율적인 네트워크 연계를 위해서는 개별 공공망의 서비스 특성과 내부 환경을 반영 할 수 있는 연계 방식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 KCI등재

        북한 장애인의 삶과 특수교육에 대한 북한이탈학생들의 경험과 인식 연구

        안상권 ( Sangkwon An ),홍정숙 ( Jeongsuk Ho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학생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북한 장애인의 삶과 특수교육에 대한 경험과 인식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북한 장애인의 삶과 특수교육의 단면을 살펴보고, 특수교육 분야에서 통일을 준비하는 관점에서 방향성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면담을 통해 분석된 코드는 24개의 의미단위와 8 개의 하위범주, 4개의 상위범주로 분류되었다. 4개의 상위범주는 ``장애인의 실태``, ``장애 발생 원인``, ``장애인의 생활상과 지원정책``, ``북한의 특수교육``이었으며, 이 요인들이 가지는 의미를 제시하고 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 the present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who now live in South Korea, to investigate their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the life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special education in North Korea. Moreover, the study was aimed at examining the life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a few aspects of special education in North Korea and providing the baseline data that explore the future directions of special education from the vantage point of unification preparation. The codes that were analyzed through the interviews were classified into 24 meaning units, 8 subcategories and 4 categories. The four categories were the ‘current condition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causes of disabillties’, living conditions of and support policie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special education in North Korea’, and the present study proposed the significance of the categories and discussed their i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