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밤필로프 단편 드라마에 나타나는 러시아 고전희극의 웃음과 전통

        안병용 ( Ahn Byong Yong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9 비교문화연구 Vol.57 No.-

        이 글은 웃음을 유발하는 희극의 여러 기법 중, 희극적 상황 전개에 자주 사용되는 우연과 오해를 자연법칙의 정지라는 전통적 희극 플롯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이 특징이 러시아희극사에서 어떻게 작품화되고 승계되는지를 밤필로프 단막극문학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논리에 대한 이성적 자연 법칙이 일시적으로 정지되는 희극에서 웃음을 유발하는 보편적 기법들로서 언어유희, 인물의 성격, 희극적 플롯구성 등의 방법이 사용된다. 희극적 플롯구성에서 전통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법은 우연과 상대의 혼동(오해)에서 빚어지는 희극적 상황과 사건 전개이다. 러시아 풍자문학은 그리보예도프, 오스트로프스키, 고골, 살틔코프-쉐드린 등의 19세기 작가들이 이룩한 고전적 특징(장르상 그로테스크한 희비극)에 기반을 두고 있다. 갈등은 희극과 비극이 수시로 경계를 넘나들 때, 그로테스크 형태의 희비극 장르에서 보다 선명하게 부각된다. 러시아 풍자희극은 우연과 오해라는 전통적인 희극 플롯기법에 그로테스크한 희비극을 부가하여 사회풍자를 이루고 있다. 1970년대 ‘새로운 드라마’ 경향을 선도하였던 밤필로프는 희극의 전통적 기법인 상황의 우연성과 오해에 기초하여 고골의 희비극적 그로테스크한 풍자를 계승함으로써 전통희극을 부활시킨다. 밤필로프의 작품 중 우연적 사건과 오해 상황의 백미라 할 작품은 《지방에서 일어난 일화Провициальные анекдоты》에 수록된 두 단막극 《정판공에게 생긴 일История с метранпажем》, 《천사와의 20분Двадцать минут с ангелом》이다. <지방에서 일어난 일화>는 어느 지방 소도시의 타이가Тайга 호텔에서 벌어지는 각기 다른 이야기를 묶었다. 우연적 사건과 오해, 소동을 소재로 하고 있는 두 이야기를 작가는 작품의 희극적 내용과 요소들에도 불구하고 ‘두 개의 비극적 장면(трагическое представление в двух частях)’이라고 장르를 규정하였다. 밤필로프의 무대장면과 단막극들을 분석한 결과 에피소드는 고골과 체호프가 즐겨 사용하는 희극성(우연성과 오해)을 소재로 믿기 어려운 황당한 사건을 다룬 코믹소동극이다. 밤필로프의 우연과 오해 플롯구성은 희비극적 특성과 그로테스크적 특성이 맞물리면서 19세기 러시아풍자문학의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This article identifies some common coincidences and misunderstandings that are often introduced in the comic evolution of situ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raditional comedy plot, where natural laws cease to be applied. It also examines key technical developments in the history of Russian comedy by analyzing Vampilov’s one-act play. The comedy, where the natural law of logic is temporary invalid, embraces such tools as puns, characters’ features, and comedical composition of the plot. The most commonly used technique in comedical composition of the plot is the development of comedy situations and events resulting from confusion (misunderstanding) or coincidences. Russian satirical literature is based on works (primarily, grotesque tragicomedy plays) by certain classical writers in the 19th century, such as Griboedov, Ostrovsky, Gogol, and Saltykov-Shchedrin. The main conflict in the 19th century is clarified in the grotesque tragicomedy, as comedy and tragedy often cross their lines. The Russian social satire adds grotesque tragicomedy to the traditional techniques of comedy plot, like coincidence and misunderstanding. Vampilov, who set the trend of the ‘new drama’ in the 1970s, revives traditional comedy by inheriting the tragicomedy grotesque satire of Gogol, based on the traditional techniques of coincidence and misunderstanding. One of Vampilov’s works, which can be said to be outstanding instances of coincidence and misunderstanding, is the < Provincial Anecdotes >, which contains two plays < An Incident with a Paginator >, and < 20 minutes with an Angel >. The < Provincial Anecdotes > combines different stories, which took place in the “Taiga” hotel in a small town. According to Vampilov, two stories, which are based on coincidences, misunderstandings, and farce, are defined as a genre of “two tragic scenes”, despite their comic elem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of stage scenes and a one-act play, Vampilov’s plays turned out to be pieces of farce comedy that embraced unimaginable episodes based on the comedy of coincidence and misunderstanding frequently used by Gogol and Chekhov. Vampilov’s composition of the plot based on coincidence and misunderstanding continues the tradition of the 19th century Russian literature style, with the combination of tragicomedy and grotesque specificity.

      • KCI등재

        뚜르게네프 산문시 “거지”와 윤동주의 “트루게네프의 언덕”

        안병용(Ahn Byong Yong)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06 슬라브학보 Vol.21 No.3

        This paper examines Korea's reception of Russian literature, its influence on Korean literature, and its resulting problems. It also engages in a comparative study between Russian and Korean literature. Russian literature has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 formation of the modern Korean literature. However, the history of Russian literature in Korea has been misrepresented or distorted due to political situations in Korea such as the Japanese colonialism, the anti-Soviet movement, and anti-Communism. In addition, there have been many retranslations, mis-translations, and broad translations of Russian literature. Accordingly, as an effort to provide clear evidence of improper re-translation existing in Russian literature in Korea, this paper engages in my direct translation of Turgenev's A Beggar, compares its translation to those of Uk Kim, Bin Na, Jintae Son in the 1910-1920s, and investigates the problems of retranslations, mis-translations, and broad translation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ntertextuality between A Beggar and Turgenev's Hill, this paper examined in an in-depth manner how Dongju Yoon accomplished literary and creative reproduction of Turgenev's work through the five transformations and reversals in its content and also created rather a lyrical world of poetics full of shyness. In short, even though Turgenev's A Beggar is an example of restrictive and optional reception of Russian literature in Korea, Dongju Yoon successfully overcame such limitations and reproduced Turgenev's Hill in his own creative and subjective ways.

      • KCI등재

        알렉산드르 밤삘로프 단편 드라마 특성 연구

        안병용(Ahn Byong Yong) 한국노어노문학회 2009 노어노문학 Vol.21 No.1

        본 논문은 작가의 초기 희곡 작품들, 즉 짧은 분량의 모노로그와 무대장면, 그리고 단막극들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삼아 밤삘로프 초기 희곡 작품들의 특성을 러시아 드라마 전통의 계승 발전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그것이 추후 장막극으로 진화해 나간 흔적을 살펴봄으로써 그의 단편 드라마 작품들이 밤삘로프의 연극세계에서 차지하는 의의를 밝히고 있다. 한 두 페이지에 불과한 짧은 분량의 ‘독백극(монолог)’과 ‘무대장면(сцена)’은 일견 작가의 습작노트처럼 보이기도 한다. 특히 ‘비극적 장면-모노로그’, ‘심리적 습작’, ‘비기사도 시대의 무대장면’ 등 거의 예외 없이 제시되는 작품의 부제들은 밤삘로프가 드라마 장르와 심리, 상황 설정, 은유, 비유 등에 관해 관심을 가지고 특정 주제에 대한 습작으로 이 작품들을 집필했다는 가정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동시에 매우 간결한 문체로 삶의 불가해성을 그려낸 그의 독백극과 무대장면들은 습작 정도로 취급되기에는 매우 비중 있는 메시지들을 담고 있다. 간략하게 설정된 엉뚱하고 우스꽝스러운 상황은 논리나 인과관계, 당위 보다는 우연에 의해 지배되는 부조리한 삶의 모습을 매우 인상적으로 그려내고 있으며, 이는 이 짧은 작품들이 이후 밤삘로프 장편작품들에 드러나는 주요한 주제의식의 기초이자 맹아와도 같은 역할을 담당함을 증명한다. 역시 유사한 주제의식을 보여주는 단막극들의 분위기와 주제는 보다 발전된 양상을 보여준다. 〈들로 난 창이 있는 집〉은 서정적 분위기의 정적이고 조용한 무드극이고, 〈지방에서 일어난 일화>의 두 에피소드는 우연을 소재로 한, 믿기 어려운 우습고 황당한 사건들을 다루고 있다. 〈들로 난 창이 있는 집〉은 체홉 장막극에서 보여지는 무행위의 서정성과 분위기 극적 전통을 띠고 있으며 〈지방에서 일어난 일화〉는 흥미진진한 사건과 흐름이 빠른 고골적 유머와 풍자(특히 고골 〈검찰관〉에서 보여지는 에피소드)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그리고 이어지는 밤삘로프 장편 드라마들은 그의 단편 드라마의 특징이었던 행위(사건)와 서정적 분위기를 한 작품 안에 동시에 아우르며 흥미롭게 변주해낸다. 그리고 삶의 불확실성과 아이러니를 냉철하게 인식하고 있었던 작가 밤삘로프는 이러한 현실을 헤쳐나갈 하나의 대안으로 인물들이 도덕적이고 인본주의적인 진솔한 모습을 회복하기를 희망했다.

      • KCI등재

        밤삘로프 희곡의 유희와 실존의 의미 연구

        안병용(Ahn Byong Yong) 한국노어노문학회 2007 노어노문학 Vol.19 No.3

        밤삘로프는 해빙기 이후 브레즈네프 시대의 정체된 시기에 소비에트 현대인의 삶과 초상을 다루고 있으며 그의 작품은 러시아 드라마의 새로운 물결을 개척해 나간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밤삘로프는 사건이나 상황을 유머와 재치로 비틀어 희화화 시키는 희극적 재능이 탁월하다. 밤삘로프 극에서 자주 다루어지는 우연성에 기초한 일화형식의 에피소드는 극의 재미와 긴장감을 높이면서 현실의 불합리성을 우회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밤삘로프 극의 주인공들이 착용한 보이지 않는 마스크(가면놀이)는 공통적으로 유희적 장난과 냉소로 삶을 대함으로써 기초 가치인 삶의 진실성, 소중함을 희화화의 대상으로 형질 변화시킨다. 어느 것과도 대체할 수 없고 되돌릴 수도 없는 소중한 삶의 공간이 마스크로 인하여 유희의 대상 공간으로, 그리고 놀이행위의 장소로 변질되고 이는 희극의 웃음을 유발하는 ‘희극적 거리두기’의 의미를 담는다. 고골과 체홉 전통을 이어받아 밤삘로프는 부싀긴과 질로프의 형상을 통해 현실-(가면)놀이-실험공간-가상현실(허구)-꿈-몽환극-다시 현실이라는 순환적 구조의 싸이클을 만든다. 밤삘로프의 극장성은 다분히 개연성 있는 현실을 실험적 상황으로 설정하고 극적 사건의 우연적 전개 기법으로 실존의 문제들을 구체화한다. 개연성 있는 사건과 상황의 우연적 전개, 삶의 공간이 놀이행위의 장소로 변환하는 유희적 놀이와 가면 모티프는 삶의 부조리를 더욱 뚜렷이 부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밤삘로프 드라마의 극 세계가 실존주의와 관련을 맺는 것은 무엇보다도 불합리한 현실의 불확실성 앞에서의 이루어지는 불안정한 내면과 그로부터 발생하는 불안한 행위의 측면이다. 그의 등장인물들은 시간이 정체된 우울한 분위기의 1960년대 소비에트 젊은이들의 상실의 세대를 대변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은 실존의 불안, 공포, 고독에도 불구하고 용기를 잃지 않고 자유-선택-책임-앙가쥬망의 실존주의적 틀 속에서 도덕적으로 거듭나려고 노력한다. 결말의 초자아의 도덕적 완성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자아형성은 아직은 그 과정상의, 진행중인 상태다. 그들의 형상은 불완결된 미완성의 상태이고 자아형성의 시작 단계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자면 밤삘로프의 극은 주인공들의 용기 있는 선택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진 결말에 대한 회의(인물의 변화에 대한 독자의 의구심)를 품게 함으로써 결말을 다의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 즉 열린결말(결말의 불완결성)을 지향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러시아 현대드라마의 한 경향

        안병용(Ahn Byong Yong)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7 슬라브학보 Vol.32 No.2

        Russian literature has been experienced the serious changes following to the 80ʹs perestroika and the end of USSR period. Since the 20th century, Russian modern drama tended to look into the traditional themes and works of the previous centuries. This changes of Russian literature was called the back to the past which focused on the ʺeternal themes of Russian literature.ʺ This article investigates two Russian modern plays, one is M. Gorkyʹs work of the 19th century, ʺThe Lower Depths(На дне)“ in terms of the traditional themes of Russian literature, and the other is I. Shprits’ “Na donishke(На донышке)” which has contributed to reinvention and expansion of such traditional themes. The author of this article investigates M. Gʹs work as the realistic theatre including diversity of traditional philosophical elements. The author also looks into the M. G‘s work as the similar work of Chekhov’s work dealing with traditional themes of Russian literatu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main actor or actress whose moving are extremely restricted in a play. In 1994, Igor Shprits wrote a remaking play, ʺNa donishkeʺ which is composed as a ʺplay in a play.ʺ The remaking play has been made based on Stanislavskyʹs realism, describing a play like as a real life, and a play without textual scriptures, so called an impromptu play. The synthetic style of such realism and an impromptu play is known as a new style of play, ʺplay in a play.ʺ This type of play became so interested because of the combination of a realism, emphasizing the humanʹs reason and critical point of a real life described as fun, emotional, intrinsic features of human beings. The works of M. G. show the tragic aspects of the object with the type of ʺplay in a playʺ and the tragic aspects of the subject itself, in the form of ʺremaking playʺ. I. Shprits‘s work of ʺNa donishkeʺ shows the bottom line of real lives and the tragedy of the subject which is based on the traditional realistic feature of modern playʹs comic parody. Many other modern Russian playwright write works dealing with such a heavy theme like as the bottom lines of reality (or the lifestyles of extremely poor situations). These authors tend to follow Vampilov‘s works showing the marginality and the absence of real houses as the main theme of their plays. It implies that there are internally slight change of Russian modern literature which will be the research agenda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푸슈킨 공동체로서의 러시아 : 푸슈킨의 신화화와 탈신화화

        안병용(Ahn Byong Yong),이현우(Lee Hyun Woo) 한국노어노문학회 2009 노어노문학 Vol.21 No.3

        이 논문은 ‘푸슈킨 신화’의 형성 과정과 그 변모과정에서의 중요한 계기와 주제들을 시학적 관점과 사회학적 관점이라는 확장된 시야에서 해명하고자 한다. 러시아에서 푸슈킨은 한 개인의 차원을 넘어서 ‘푸슈킨 현상’, 혹은 ‘푸슈킨 신화’로 이해된다. 그것은 그가 ‘역사적 실존’이자 ‘신화적 현존’이라는 이중적인 존재론적 지위를 갖기 때문이다. 이러한 푸슈킨의 신화화는 그의 탁월한 문학적 성취에 근거한 것이면서 동시에 러시아의 국가적 자기정체성 정립과 유지라는 요구에 빚지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오늘날의 ‘푸슈킨’은 여러 푸슈킨 기념제를 통해서 형성된 ‘푸슈킨 신화’와 분리불가능하며 더 나아가 ‘푸슈킨 신화’에 의해 생산된 ‘푸슈킨’이다. 때문에 ‘푸슈킨 신화에 대한 이해’는 ‘푸슈킨에 대한 이해’를 위한 선결조건이기도 하다. 따라서 푸슈킨과 그의 문학적 유산은 근ㆍ현대 러시아라는 특정한 국가적ㆍ역사적 맥락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논문에서는 푸슈킨 신화의 형성에서부터 모더니즘과 소비에트 시기의 푸슈킨 신화, 그리고 러시아 망명문단에서의 푸슈킨 신화를 거쳐서, 오늘날 포스트소비에트 시기의 탈신화화된 푸슈킨 형상에 이르기까지를 개관하였다. 푸슈킨과 그 문학이 어떤 필요성에 의해 사회적ㆍ문화적 신화가 되는 것은 가능한 일이다. 하지만, 그 신화가 ‘나의 푸슈킨!’ ‘우리의 푸슈킨!’이란 변주를 낳으며 지속되는 데에는 역사적 계기 못지않게 그만한 자질 또한 요구된다. 푸슈킨이 소비에트 러시아의 우상이면서 동시에 러시아 망명 공동체의 신화이기도 했던 것은 그의 문학의 이중성과 무관하지 않다. 푸슈킨 신화에 대한 역사적 분석은 푸슈킨의 이중성의 시학의 대한 재조명을 요구한다. This article is devoted to the examination of Pushkin Myth from its formation through some moments to today by the widened perspective including sociological and poetical views. As is well known, Pushkin is not only a proper name but ‘Pushkin phenomenon’ or ‘Pushkin myth’ in Russia. He is a mythical presence as well as a historical figure. And this double status of Pushkin has been possible by virtue of Russia's need to establish national identity. So today we can't tell real Pushkin from Pushkin myth. If we are to understand Pushkin, we should understand Pushkin myth first. Pushkin and his literary legacy should be located and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modern Russia. With such a view, we can sketch out some moments and periods which format and develope Pushkin myth. It is not enough say some external needs have made Pushkin myth. It could have sustained its life by the inner properties which made Pushkin both an idol of Soviet Russia and a symbol of Russian emigrant literature. So it is necessary for us to meet analysis of duality of Pushkin's poetics.

      • KCI등재
      • KCI등재

        문화,문학 : 유토피아 속의 안티유토피아: 1920년대 러시아 풍자희극의 딜레마 - V. 마야코프스키의 「빈대」와 「목욕탕」을 중심으로 -

        안병용 ( Byong Yong Ahn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4 비교문화연구 Vol.37 No.-

        In 1920s, Russian society was unstable and tremendous. After the 1917Revolution, Russian government had initiated "New Economic Policy" embedded in a partial market system in these times. Also, Russian culture had been exposed to a new trend of culture, for instance, Russian Modernism. In the field of Russian literature, satirical comedy became very popular. One of famous satirical comedy writers was V. Mayakovsky who was trying to express his ideal society which consisted of both tensions and harmonies between the old and the new periods. In this context, V. Mayakovsky was recognized as a poet with futurism who loved to write a comedy expressing social suburbanityand governmental bureaucracy. His two comedies, "Bug" and "Bath" were hisfamous comedies, dealing with Russian modernistic historics and theatricality in1920s. In this article, authors try to look into their artistic characteristics of 1920sRussian literature involving a new trend of social change, for instance, Grotesque and Tragicomic features. In the same context, this article focused on its inner dilemma of satirical comedy which had been existed in 1920s Russian literature.

      • KCI등재

        문화,문학 : 알렉산드르 밤필로프 희곡의 영상화 연구; 《9월의 휴가》를 중심으로

        안병용 ( Byong Yong Ahn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2 비교문화연구 Vol.29 No.-

        "Duck Hunting" is the most psychological play with unique structure written by Aleksandr Vampilov. The play describes protagonist hero`s furious behavior with psychological instability, therefore, this play tends to be recognized as serious and complicated one. After the death of Vampilov, "Duck Hunting" was reproduced as a film, titled as "Vacation in September." This study is designed to shed light on the play`s psychological-dramatic factors by focusing on the structure of narrative and spatial-temporal objet. Also, this study compared the screenshots of the play with their textual meanings, then concentrated on main character`s psychological features. By focusing on protagonist hero`s mind, this study tries to look into the features of the play and its meanings for modern period. The film`s plot is a kind of story telling structure based on main character`s memory. The short stories of main character represents that Jilov(main character`s name)`s losing his own life. The audience can acknowledge that Jilov`s life as a duck hunter who is cynical, ideological, lazy, and self-interest oriented person. This play provokes the audience to compare their life to Jilov`s one because such comparison helps the audience recognize their lives as surplus style of life with nihilism. Jilov as a character represents one of Soviet`s generation with the feeling of great loss in 196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