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학 분야 연구데이터를 위한 연구논문의 의미구조 기반 메타데이터 연구

        안병군,고영만 한국비블리아학회 2022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metadata set based on the semantic structure of the humanities field research articles for research data that can associate research data and research articles. To understand the interest of Humanities researchers, keywords of research articles were categorized. By proceeding the keywords classification and analyzing based on the semantic structure of general research papers, additional elements to be added were identified for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ities field. Based on it, 17 metadata elements based on the semantic structure of research papers in the humanities field was determined. In order to evaluate whether the metadata is appropriate as a metadata for research data in the humanities field, a survey was conducted on researchers in the humanities field. As a result of the survey, 7 elements were judged to be suitable for use as metadata for research data in the field of humanities, and 10 other elements were identified as usable elements. Drawing on the survey results, the metadata based on the semantic structure of the humanities field research articles for research data was constructed. 본 연구의 목적은 인문학 분야 연구데이터와 연구논문을 연계할 수 있는 ‘인문학 분야 연구데이터를 위한 연구논문 의미구조 기반 메타데이터’를 개발하는 것이다. 인문학 분야 연구자의 관심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키워드 유형화를 진행하고 이를 일반적인 연구논문의 의미구조를 기준으로 분석함으로써 인문학 분야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추가될 요소를 확인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인문학 분야 연구논문의 의미구조 기반 메타데이터를 구성하였으며 해당 메타데이터가 인문학 분야 연구데이터의 메타데이터로서 적합한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인문학 분야 연구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인문학 분야 연구논문의 의미구조를 기반으로 도출된 17개의 메타데이터 요소 중 인문학 분야 연구데이터 메타데이터로 활용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된 요소는 7개이며, 그 외 10개 요소는 사용 가능한 요소로 확인되었다.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인문학 분야 연구데이터를 위한 연구논문 의미구조기반 메타데이터를 구성하였다.

      • KCI등재

        국내 기관 소속 연구자의 데이터 가용성 진술(Data Availability Statements) 현황 연구: PLOS ONE 학술지를 중심으로

        안병군,변제연 한국정보관리학회 2023 정보관리학회지 Vol.40 No.1

        본 연구는 국내 연구자가 저술한 논문의 데이터 가용성 진술(DAS)에 명시된 데이터 공유 메커니즘과 리포지터리를 조사함으로써 국내 연구자의 연구데이터 공유 현황과 특징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2014년부터 2022년까지 PLOS ONE에 게재된 국내기관 소속 연구자의 논문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우선 논문 내 DAS 존재 현황을 파악하고 선행연구를 활용하여 데이터 공유 메커니즘의 유형을 분석하였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데이터 공유 메커니즘별 변화 추이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상 논문의 99.6%에 DAS가 작성되어 있으며 데이터 공유 메커니즘의 유형별 언급 양상은 국제적인 양상과 유사하되,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선호되는 유형이 변화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후 데이터 공유 메커니즘 중 리포지터리에 주목하여 DAS에 언급된 리포지터리의 횟수와 비율을 파악하고 다수 언급된 5개 리포지터리의 이용 변화 추이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리포지터리와 함께 언급된 데이터 접근점의 제시 방식과 유형, 유효성 등도 함께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빈번하게 언급되는 상위 5개 리포지터리가 전체 리포지터리 언급의 60%를 차지하며 데이터 코드를 다루는 리포지터리의 이용이 증가하는 현황이 확인되었고, 리포지터리와 함께 제시된 데이터의 접근점은 대부분 유효하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도서관자동화시스템 개선을 위한 현황 및 인식 연구

        안병군,정영임,황혜경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4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5 No.1

        본 연구는 도서관자동화시스템에 대한 현황 분석을 기반으로 향후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에서는 KESLI와 KCUE 컨소시엄에 참여하는 기관의 담당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함으로써 도서관자동화시스템의 현황과 만족도, 오픈소스 기반 도서관자동화시스템의 현황과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도서관에서 사용하는 자동화시스템은 대부분 2000년대 혹은 2010년대에 외주도입 방식으로 개발되었으며, 도서관자동화시스템 전반에 대해서 50% 이상의 응답자가 만족 의견을 보였다. 전반적인 만족도는 개별 기능 만족도와 고객지원 서비스 만족도, 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관리 만족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현재 도서관자동화시스템은 대부분 오픈소스 혹은 클라우드를 활용하지 않고 있었으나 향후 활용 의사가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3년 이내에 도입하겠다는 답변도 40% 이상을 차지했다. 본 연구는 향후 오픈소스기반 도서관자동화시스템 구축을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library automation systems and explore future directions for improvement. The study was conducted by surveying librarians at institutions participating in the KESLI and KCUE consortia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satisfaction with library automation systems, and the current status and awareness of open source-based library automation systems. The study found that most automation systems currently in use in libraries were developed through outsourcing in the 2000s or 2010s, and that more than 50% of respon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overall library automation system. Overall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influenced by satisfaction with the functionality, customer support services and construction and operational management of the system. Most current library automation systems are not based on open source software or cloud services, but the intention to use them in the future is high, with more than 40% of respondents saying they would use them within three years.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n important foundation for building an open source-based library automation system in the future.

      • KCI등재

        PLoS ONE 학술지 게재 국내 기관 소속 연구자 논문의 계량적 분석

        심원식,안병군,박성은,김현수 한국정보관리학회 2020 정보관리학회지 Vol.37 No.2

        This research provides a quantitative analysis on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PLoS ONE, a multidisciplinary open access journal, by authors affiliated with Korean institutions. Korean authors published more than 6,500 research ariticles in the mega journal between 2006 and 2019. Korea is ranked the top 11th place in terms of article publishing in the journal. Most articles by Korean authors are concentrated in the biomedical fields. In recent years, the overall production of PLoS ONE has decreased as authors migrated to competing mega journals such as Scientific Reports and BMJ Open. The change might have been affected in part by the delay in the review period and the dropping impact factor score. The open access share of the Korean PLoS ONE authors of more than 10 articles hovers around 30%. However, there is a significant variation among researchers reaching up to 50% discrepancies. Among altmetrics provided by PLoS ONE, the saves a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views and the citations. On the contrary, the shares show low correlation with other use metrics. A follow up, survey questionnarie based research involving researchers who have published in PLoS ONE is planned in order to investigate author motivation and experience in the review process. 본 연구는 대표적인 오픈액세스 학술지 중에서 범학문적인 성격을 가진 PLoS ONE에 게재된 국내 기관 소속 연구자들의 출판 활동에 대한 계량적인 분석을 제시하고 있다. 대표적인 메가학술지인 PLoS ONE에 국내 연구자들은 2006년부터 2019년의 기간 동안 약 6,500여 개의 연구논문을 게재하였고 이는 국가 기준으로는 전세계 11위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국내 기관 소속 저자들의 PLoS ONE 논문은 대부분 의생명 공학에 집중되어 있다. 최근에는 PLoS ONE에 대한 논문 게재가 감소하고 Scientific Reports, BMJ Open 등과 같은 경쟁 메가학술지로의 이동이 감지된다. 이러한 변화는 논문심사 기간의 지연, 영향력 지수 감소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PLoS ONE에 10건 이상의 논문을 게재한 국내 교신저자의 전반적인 연구 업적을 보면 오픈액세스 출판 비중이 약 30% 수준으로 나타나 오픈액세스에 대한 수용이 상당한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연구자별로 최대 50% 이상의 편차가 있는 것으로 조사된다. PLoS ONE에서 제공하는 이용지표 중에서 저장수는 열람수, 인용수와의 상관계수가 높은 것으로 나오는 반면 공유수는 열람수, 인용수 그리고 저장수와 상관계수가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국내 연구자들의 오픈액세스 출판에 대한 구체적인 데이터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논문을 게재한 연구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형식의 후속연구를 통해 오픈액세스 출판 배경, 심사과정 등에 대한 구체적인 데이터를 수집, 분석할 예정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