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외이사 특성과 소수주주보호가 기업설명회에 미치는 영향

        안미강,위준복,고대영 한국산업경영학회 2010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0 No.2

        외환위기 이후 국내 기업의 경영투명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지배구조개선 노력들이 이루어져 왔다. 지배구조는 이사회와 같은 내부통제수단을 설치하거나 소액주주들의 권리를 보호하는 제도를 시행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개선된 지배구조는 경영자와 투자자 간의 정보불균형을 줄임으로써 기업의 투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부투자자들은 경영견제를 위해 기업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한다. 따라서 지배구조가 좋은 기업일수록 투자자들의 정보공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공시활동이 활발할 것으로 보인다. 기존의 지배구조 관련연구에서는 지배구조가 좋은 기업일수록 경영자의 재량적 행동에 대한 통제가 더 잘 이루어진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경영통제 효율성을 보수주의 측정치나 재량적 발생액 측정에만 한정하고 있어 실질적인 정보불균형 감소가 이루어졌는지 입증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연구에서 사용한 방법과 달리 지배구조 개선정책의 효과를 자발적 공시활동을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주권상장법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지배구조대용변수는 이사회 특성과 소수주주보호제도를 대용변수로 활용하였다. 자발적 공시는 기업설명회 개최횟수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감사위원회의 설치유무, 감사위원회 독립성, 이사회의 독립성, 활동성, 재무전문성은 기업설명회 개최횟수와 유의한 양(+)의 상관계수를 나타냈으며, 집중투표제와 서면투표제가 시행되는 기업일수록 기업설명회를 유의하게 더 많이 개최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차이분석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났으며, 토빗분석에서는 감사위원회 설치유무, 감사위원회 독립성, 이사회의 독립성, 집중투표제 실시여부가 기업설명회 개최횟수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끼쳤다. 추가적으로 기업설명회 개최기업만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역시 토빗분석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지배구조와 공시제도 개선이후 이와 관련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왔으나, 지배구조와 공시활동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지배구조가 기업의 공시정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 또한 지배구조가 좋을수록 자발적 공시활동인 기업설명회가 더 자주 개최된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지배구조와 공시관련 제도개선에 시사점을 갖을 것으로 보인다. In the aftermath of the Asian financial crisis in late 1990s, Korea tried to improve accounting transparency by revamping corporate governance and protecting the small investor. These can mitigate information asymmetry problems. So we believe that the enhancement of both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s and small investor protection will lead to hold investor relations. Because IR is a vehicle to communicate inside information to outsiders. The sample consists of non-banking firms(1822 firm-years) with December fiscal year listed in Korean Stock Exchange over 2003-2006. We use the frequency of investor relations as a proxy for the voluntary disclosure. Also we use the characteristics of outside director and whether or not to use cumulative voting and written ballot as a proxy for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firms with effective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s tend to hold IR frequently. In other words, the existence of the audit committee, the independence of an audit committee and the ratio of outside directors have a positive coefficient with IR frequency. Second, we found that cumulative voting and written ballot lead to hold IR.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financial disclosure literature by studying investor relations in Korea. Also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an effective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s is a method to improve frequency of financial disclosure.

      • KCI등재

        경영자의 이익예측 편의가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안미강,위준복,고대영 한국회계정보학회 2009 회계정보연구 Vol.27 No.3

        Owing to the needs of the transparent business informations, companies should present important informations through electronic data disclosure system. Among the presented informations, manager's forecast of future performances plays a great role to the investors' decision making. But reliability of the forecast information is a precondition of satisfactory role. We study the reliability of the manager's forecast information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reliability of the informations and the earnings management. The study wants to know whether the managers manage reported earnings upward when the real performance is below the forecast number. So we hypothesize whether managers make income-increasing(decreasing) accounting decisions when earnings otherwise be below (above) manager's forecasts. To examine hypothesis, we calculate forecast bias and estimate discretionary accruals with the Jones' model, the Kothari(ROA)'s model, and the CFO model. The test sample consists of 155 firm-year observations from the listed companies in Korea Stock Exchange(KSE) during 2003 through 2006. The study defines the forecast bias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managed earnings and the manager's earning forecasts. The study finds out that the firms of great forecast bias tend to manage reported earnings. In other words, the bigger forecast bias the firms have, the bigger discretionary accruals the firms manage. We also find evidences that firms whose managers overestimate earning forecasts comparative to the cash flow of operations use bigger discretionary accruals. There have been numerous studies concerning accounting transparency. Nevertheless, little study has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oluntary disclosure and the earnings management in Korea. But this study provides evidences that managers use discretionary accruals to enhance the quality and credibility of the manager's earning forecasts. Owing to these points, this study may contribute the policy makers to improving the quality of financial disclosures. 기업들에게 경영투명성을 강조함에 따라 시행된 공정공시제도는 2002년부터 기업들의 경영상 중요사항들을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공시자료 중 기업이 제공하는 미래성과에 대한 예측치는 투자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의사결정도구로 이용되어 질 수 있다. 하지만, 예측치가 기업의 투자자들에게 유용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제공되어지는 정보가 신뢰성을 담보하여야만 한다. 신뢰성이 없는 예측치가 제공되어 질 경우 투자자들은 해당기업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할 것이며 이는 곧 기업가치의 하락으로 이어져 경영자의 성과평가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영자가 예측정보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예측치에 미달하는 성과를 회피하기 위한 방법으로 재량적 발생액을 이용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경영자가 공시한 당기순이익 예측치에서 실제치를 차감하여 예측편의를 산출하였고 재량적 발생액은 수정Jones모형, Kothari(ROA)모형, 현금흐름(CFO)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연구기간은 공정공시제도 시행 다음연도인 2003년부터 2006년까지이며 분석에 사용된 표본기업은 155개이다. 분석결과, 순이익의 예측치가 실제치보다 클 경우(과대예측) 재량적 발생액의 평균값이 높았다. 회귀분석결과에서는 조정전이익(pre-managed earnings)보다 예측치가 클수록 재량적 발생액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경영자가 재량적 발생액을 이용하여 예측정보의 신뢰성을 높이려 한다는 증거를 제시한다. 경영자의 예측정보는 외부이해관계자에게 정보비대칭을 완화해주는 중요한 수단임과 동시에 신뢰성을 내포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주로 공시여부에 대해서만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으며 제공되어지는 정보의 질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영자가 정보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재량적 발생액을 사용하는지 살펴봄으로써 예측정보의 제공여부 뿐만 아니라 정보의 질에 대해서도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사외이사 특성과 소수주주보호가 기업설명회에 미치는 영향

        안미강,위준복,고대영 한국회계정보학회 2010 회계정보연구 Vol.28 No.3

        Since the financial crisis in the late 1990s, Korea has tried to improve accounting transparency by revamping corporate governance and protecting the small investors. The above mentioned trials would contribute in mitigating information asymmetry problems among the interested parties. As is widely known, Investor Relations(IR) is one of the effective vehicles to communicate inside informations to the outside partie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enhancement of both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s and small investor protection systems leads to holding IR. The sample consisted of 1814 firm-years of the listed companies in Korean Stock Exchange during 2003-2006. The study used frequencies of the IR as proxies for the voluntary disclosure. And the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s were measured by the characteristics of outside directors and the permission of the cumulative voting system and the written ballot syste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aid that firms having effective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s tend to hold IR more frequently. The existence of the audit committee and the composition ratio of outside directors have positive relations with IR frequencies. And the cumulative voting system and the written ballot system also have positive relations with the IR frequencies. The results of the paper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betterment of the financial disclosure system by studying Investor Relations in Korea. Also the study provides evidences that effective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s are good ways improving frequencies of financial disclosure. 외환위기 이후 국내 기업의 경영투명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지배구조개선 노력들이 이루어져왔다. 지배구조는 이사회와 같은 내부통제수단을 설치하거나 소수주주들의 권리를 보호하는 제도를 시행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개선된 지배구조는 경영자와 투자자 간의 정보불균형을 줄임으로써 기업의 투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부투자자들은 경영견제를 위해 기업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한다. 따라서 지배구조가 좋은 기업일수록 투자자들의 정보공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공시활동이 활발할 것으로 보인다. 기존의 지배구조 관련연구에서는 지배구조가 좋은 기업일수록 경영자의 재량적 행동에 대한 통제가 더 잘 이루어진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경영통제 효율성을 보수주의 측정치나 재량적 발생액 측정에만 한정하고 있어 실질적인 정보불균형 감소가 이루어졌는지 입증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연구에서 사용한 방법과 달리 지배구조 개선정책의 효과를 자발적 공시활동을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주권상장법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지배구조대용변수는 이사회 특성과 소수주주보호제도를 대용변수로 활용하였다. 자발적 공시는 기업설명회 개최횟수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감사위원회의 설치유무, 감사위원회 독립성, 이사회의 독립성, 활동성, 재무전문성은 기업설명회 개최횟수와 유의한 양(+)의 상관계수를 나타냈으며, 집중투표제와 서면투표제가 시행되는 기업일수록 기업설명회를 유의하게 더 많이 개최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평균차이분석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났으며, 토빗분석에서는 감사위원회 설치유무, 감사위원회 독립성, 이사회의 독립성, 집중투표제 실시여부가 기업설명회 개최횟수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끼쳤다. 추가적으로 기업설명회 개최기업만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지배구조변수와 설명회 개최횟수 간의 내생성을 고려하여 2SLS분석을 실시한 결과 역시 토빗분석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지배구조와 공시제도 개선이후 이와 관련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왔으나, 지배구조와 공시활동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지배구조가 기업의 공시정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 또한 지배구조가 좋을수록 자발적 공시활동인 기업설명회가 더 자주 개최된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지배구조와 공시관련 제도개선에 시사점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경영전략과 혁신성과가 투자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안미강,이기세 한국회계학회 2020 회계저널 Vol.29 No.3

        Acceptance of new technologies and expenditure on asset acquisition are the basis for innovation activities and continuous growth, providing opportunities for firm’s monopoly and innovation. However, because the effects of firm's innovative activities don’t appear immediately and uncertainty exist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firm's investment tendency and efficiency in the innovative activities. In this study, the management's investment strategy was measured by the type of management strategy and the decision to select a high growth firm announced by the STEPI's(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s) was verified as a proxy for its innovative performance and its impact on investment efficiency. The study uses a total sample of 5,650 firm-year observation listed on KOSDAQ from 2011 to 2018.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management strategy and high growth firms on investment tendency and efficiency among sample firms. As a result, the more firms that management strategies that are close to the prospector type or the better the innovation performance as high growth firms,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be to invest. However, the analysis of investment efficiency showed that investment efficiency increased when selected as a high growth firms. In addition, the analysis of only firms that do not have high growth showed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strategy scores and investment efficiency, but the analysis of high growth selected firms showed that higher management strategy scores increased investment efficiency.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efficient over-investments are made when high growth firms take active strategic behavior. 4차 산업혁명은 새로운 기술의 수용과 함께 자산 취득 등의 투자지출을 요구하게 되었고, 이러한 지출은 혁신활동 및 지속적인 성장의 바탕이 되어 해당 기업의 독점성 또는 혁신의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나 기업의 혁신활동 투자는 그 효과가 즉각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불확실성이 존재하여 관련 지출에 신중함이 필요하므로 투자에 대한 기업의 성향과 혁신활동의 투자효율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영자의 투자전략을 경영전략 유형으로 측정하고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발표하는 고성장기업 선정 여부를 혁신성과의 대용치로 하여 투자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분석대상은 2011년부터 2018년까지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이며, 표본기업을 대상으로 경영전략과 고성장기업 선정 여부가 투자성향 및 투자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업의 경영전략점수와 고성장기업 여부가 투자성향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주어 선도형에 가까운 전략을 행하는 기업일수록 또는 고성장 선정기업으로 혁신성과가 우수할수록 과잉투자성향을 보였다. 그러나 투자효율성을 종속변수로 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경영전략점수가 높을수록 투자효율성은 감소하였지만 고성장 선정기업의 투자효율성은 그렇지 않는 기업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성장이 아닌 기업만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경영전략 점수와 투자효율성은 음(-)의 관계를 나타냈지만 고성장 선정기업에 대한 분석에서는 경영전략점수가 높을수록 오히려 투자효율성이 증가함을 보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고성장기업으로 선정되어 혁신활동의 성과가 우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업집단에서 선도형에 가까운 적극적인 전략행태를 취할 경우 효율적인 과잉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 개별기업의 해외진출과 경영자의 회계의사결정

        안미강,고대영,양동재 한국경영교육학회 2012 한국경영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2 No.6

        최근 주권상장기업의 대부분이 해외매출을 하고 있을 정도로 기업은 다국적화되어 가고 있으며, 해외직접투자 증가로 기업의 국제적 다각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기업의 해외진출은 환위험이나 대리인비용 발생 등의 부정적인 영향 뿐만 아니라 기업성과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긍정적인 측면도 함께 가진다. 따라서 한국기업만을 대상으로 하여 기업의 국제화가 경영자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외매출액비중과 해외자산비중으로 측정한 기업의 해외진출정도가 기업의 재량적 회계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늘어나고 있는 기업의 국제화가 회계성과측정치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연구분석기간은 2001년부터 2009년까지이며, 이 기간동안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주권상장기업 중 비금융업에 속하는 12월말 결산법인을 연구대상기업으로 하였다. 주요설명변수는 총매출액 대비 해외매출액과 총자산 대비 해외자산비중으로 측정하였으며, 종속변수인 이익조정의 대용치는 수정Jones모형으로 추정된 재량적 발생액을 사용하였다. 상관분석과 차이분석, 그리고 재량적 발생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업특성변수를 추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모든 분석에서 일관되게 수출비중과 해외자산비중 변수는 재량적 발생액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침으로써 해외매출이 많은 기업이거나 해외자산이 많은 기업일수록 이익의 상쇄효과를 가지며, 재량적 의사결정의 어려움으로 인해 이익조정이 줄어들 것이라는 본 연구의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수출비중이나 해외자산이 많은 기업집단만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앞의 분석결과와 비슷하게 나타났는데, 수출비중이 많은 기업집단의 분석에서 수출비중이 재량적 발생액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해외자산이 많은 기업집단에서도 해외자산비중이 증가할수록 재량적 발생액이 줄어듬을 확인할 수 있었다.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에서 많이 논해지지 않았던 기업의 국제화가 재량적 경영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지금까지 선행연구결과에서는 본사와 해외지사 간의 거래비용과 환경복잡성 등으로 인해 기업전체의 효익이 감소하는 부정적인 측면이 강조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해외매출액이나 해외자산비중이 큰 기업일수록 이익조정유인이 감소한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한 것은 오히려 기업의 국제화가 경영자의 재량적 의사결정을 억제하여 이익의 질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패션기업의 ESG 경영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안미강,류은정 한국경영교육학회 2024 경영교육연구 Vol.39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패션기업의 ESG 경영이 재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ESG 세부분야별 평가와 기업특성 간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패션기업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ESG 경영 체제 구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 표본대상 기간(2012~2022)에 상장된 패션기업 전체에 대해 ESG 평가대상여부와 ESG통합등급 및 E, S, G 각 세부분야별 점수를 측정하여 t-test,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패션기업의 ESG 경영과 재무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ESG 평가대상 여부는 재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평가대상이 된 패션기업만을 분석한결과에서 ESG 통합등급과 지배구조의 평가인 G등급이 재무성과의 대용치인 영업이익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상장기간과 기업크기를 기준으로 집단을 분류한 추가분석에서도 일관된 결과를 보여 패션기업은 ESG 통합평가와 지배구조 요소가 경영성과에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시사점] 최근 ESG 경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 연구가 급증하고 있지만 패션기업의 ESG 경영성과를 실제적으로 검증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패션기업의 ESG 경영에 대한 계량적인 평가측정치를 활용하여 재무성과에 대한 영향을 분석한 본 연구는 패션기업의 ESG경영의 전략적 효과를 구체적으로 검증하였다는점에서 의의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ESG management of fashion companies affects financial performance. [Methodology] For specific verification, differe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measuring whether fashion companies listed on Korean Securities Exchange were subject to ESG evaluation, ESG integrated rating, and scores for each detailed item of E, S, and G during the sample period. [Finding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SG management and financial performance of fashion companies, whether or not they were subject to ESG evalu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financial performance. However, in the results of analyzing only the fashion companies that were evaluated, the ESG integrated rating and the G ra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operating profit ratio, which is a proxy for financial performance. These results showed consistent results in additional analyzes that classified groups based on listing period and company size, confirming that ESG integrated evaluation and governance elements are important factors in management performance for fashion companies. [Implica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the performance of ESG management of fashion companies using specific and objective meas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