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PACK과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한 초등교사의 수학 수업에서 인공지능 사용 의도 이해

        손태권 ( Son Taekwon ),구종서 ( Goo Jongseo ),안도연 ( Ahn Doyeon ) 한국수학교육학회 2023 初等 數學敎育 Vol.26 No.3

        본 연구는 AI를 수학 수업에 사용하려는 초등학교 교사의 의도에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살펴보고 수학 수업에서 AI가 효과적으로 사용되기 위해 선행되어야할 요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사용하여 초등학교 교사의 TPACK과 TAM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의 TPACK은 인지된 사용 용이성과 유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인지된 사용 용이성과 인지된 유용성은 수학 수업에서 AI 활용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인지된 사용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태도는 수학 수업에서의 AI 사용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수학 수업에서 AI에 대한 TPACK 역량이 높다고 인식할수록 수학 수업에서 AI를 사용하기가 더 쉽고 AI가 학생의 수학 학습 향상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도구로 인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수학 수업에서 AI가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유용하다고 인식할수록 AI 사용 의도가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 교사들이 수학 수업에서 AI의 활용하려면 TPACK에 관한 지식 교육이 선행되어야하며, 수학 수업에서 AI 사용의 이점과 편리성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use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mathematics lessons and to identify the essential prerequisites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AI in mathematics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we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TPACK(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the TAM(Technology Acceptance Model)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TPACK regarding the use of AI in mathematics instruction had a direct and significant impact on their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of AI. In other words, when teachers possessed a higher level of TPACK competency in utilizing AI in mathematics classes, they found it easier to incorporate AI technology and recognized it as a valuable tool to enhance students' mathematics learning experience. In additio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directly influenced the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wards the integration of AI in mathematics education. When teachers perceived AI as easy to use in their mathematics lessons, they were more likely to recognize its usefulness and develop a positive attitude towards its application in the classroom.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attitude towards AI integration in mathematics classes had a direct impact on the inten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use AI in their mathematics instruction. As teachers perceived AI as easy to use, valuable, and developed a positive attitude towards its incorporation, their intention to utilize AI in mathematics education increased. In conclusion, this study shed light on the factors influenc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tentions to use AI in mathematics classes. It revealed that teachers' TPACK plays a crucial role in facilitating the integration of AI in mathematics education. Additionally, the study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enhancing teachers' awareness of the advantages and convenience of using AI in mathematics instruction to foster positive attitudes and intentions towards its implementation. By understanding these factors, educational stakeholders can develop strategies to effectively promote the utilization of AI in mathematics education, ultimately enhancing students' learning outco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