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탈식민주의이론으로 바라보는 사역과 직제 ― 저항, 모방, 그리고 사도적 계승(Apostolic Succession)에 대한 비판적 고찰

        안덕원 ( Ahn Deok-weon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7 神學과 宣敎 Vol.51 No.-

        초대교회에서의 사도들은 예수 그리스도와의 관계성 속에서 위임된 권위를 가졌고 조직화 이전 교회의 정신적, 영적 지도자로 사역했다. 그들이 가졌던 권위의 근거는 예수 그리스도의 삶이었으며 그것은 저항과 영적 차별성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사도적 계승은 교회정치제도의 세속화와 함께 감독에 의한 계승으로 나아갔고 점차 계급화되어 군주적 감독제로, 더 나아가 교황제도로 발전해 간다. 탈식민주의에서 사용하는 모방 혹은 흉내(mimicry)의 개념은 이러한 변화의 과정, 즉 하나님나라 운동에서 조직화된 기관으로의 교회의 이행과정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틀이 된다. 애초 저항과 대안의 공동체였던 교회가 사회정치적 환경에 따라 세속적 권력을 모방하게 된 것이고 이는 사도적 계승의 본래적 정신과 의미를 왜곡했다. 이러한 현상은 바실리카(Basilica)와 고딕(Gothic)으로 대변되는 기독교건축양식과 예배와 성찬의 신비화를 통해 그 증거를 찾을 수 있다. 즉 위계와 질서가 교회생활 전반에서 구체적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렇듯 탈식민주의적 연구를 통해 교회직제의 변화과정을 추적하며 세속적인 권력에 대한 모방과 왜곡, 절대화와 사유화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교회는 회개, 반전, 화해, 그리고 평등을 소망하고 삶속에서 구체적으로 구현했던 본래적 의미에서의 사역과 직제의 모습을 회복해야 할 것이다. In early Christianity, apostles were those who succeeded the ministry of Jesus and were the spiritual foundation for the community of faith at that time. The origin of their authority was established not through power, but their status as witnesses of Jesus. This was expressed through their unique life style which demonstrated their resistance against worldly powers. However, secularization of the church strengthened the power of the bishops who were regarded as the apostolic successors. This also resulted in the monarchical episcopate and furthermore, the pope system in the Middle Ages. The writer uses terms such as mimicry as a means of explaining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church ministry and order from early Christianity to the early Middle Ages. The original meaning of ministry was distorted and the church shifted from charismatic movement to institution. In the area of church architecture, Christianity adopted Basilica and Gothic styles to express power and dignity of the church. The church also made Mass, especially Holy communion as highly mystical to emphasize the distinctiveness of priests. Hierarchical ethos was widely prevailed in the church. Through the study of Post-colonialism, one can easily find mimicry of worldly values and distortion of the true meaning of ministry and order in the church. The church needs to recover not the form, but the spirit of the ministry and Apostolic succession which advocated resistance, reconciliation, peace, justice, and equality through the ministry and order.

      • KCI등재

        앨런 페이튼(Alan Paton, 1903–1988)의 삶에 나타난 평화의 영성

        안덕원(Deok?Weon Ahn) 한국기독교학회 2016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99 No.-

        이 논문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정치인이자 작가였던 앨런 페이튼의 삶에서 드러나는 평화의 영성을 담고 있다. 그는 평생 독실한 성공회 성도로 살았고 그의 사회활동과 수많은 작품들은 기독교적 신앙과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특별히 그의 묵상을 담은 『주님의 평화의 도구』는 조화로운 기독교 신앙을 보여준다. 첫 번째로 페이튼은 자신을 하나님의 은혜 가운데 용서받은 죄인으로 묘사하며 하나님과의 개인적인 관계를 강조하는데 이러한 기독교적 정체성은 그의 영성의 토대이다. 두 번째로, 그는 기도와 묵상을 통한 개인적인 경건을 이웃과의 관계속에서 사랑과 용서를 실천함으로써 구체적으로 실현했다. 세 번째로, 그는 영성을 사회적 차원으로 확대하여 하나님의 평화의 도구로서 그가 처한 인종차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왕성한 문학적, 정치적 활동을 했다. 네 번째로 다른 영성가들과 비교할 때 페이튼은 기독교적 세계관을 삶속에서 구체적으로 추구하고 실천한 하나의 좋은 사례이다. 물론 그의 삶과 방법론을 수동적이고 지나치게 온건하며 가진 자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고 평가할 수도 있으나 비폭력적인 실천형의 영성을 이웃과의 관계속에서, 사회에의 참여를 통해 구현하고자 애쓴 지식인으로서 유의미한 역사적 공헌을 한 것은 분명하다. 그런 측면에서 개인적인 믿음과 사회참여 사이의 바람직한 관계를 찾는 한국의 사회와 교회에도 기독교 영성의 한 가지 전형(典型)으로서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페이튼은 평화의 영성을 개인적인 신앙생활, 이웃과의 관계, 그리고 사회에서 사랑과 정의로 추구했던 실천형 영성가였다. This research articulates Alan Paton’s spirituality of peace through his life as a writer and politician of the Republic of South Africa. As a general background, Paton lived as a devoted Christian in his lifetime as an Anglican lay person. He wrote many novels and poems which are deeply rooted in Christian faith. His book, Instrument of Thy Peace, clearly demonstrates his lifestyle as a genuine and humble Christian. Firstly, he defines himself as a terrible sinner who is forgiven by God and used as an instrument of God’s peace. This self–awareness is the basis for his Christian spirituality. Secondly, Paton’s personal piety passes the boundary of prayer and meditation. In his view, Christian love should be realized in society at large. Thirdly, Paton’s sincere prayer and meditation lead and mold him to the realization of himself as an instrument of God’s peace in his own context, Apartheid. Paton devoted himself as a social activist and politician to solve Apartheid in South Africa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Fourthly, Alan Paton is compared to other Christian spiritual figures to clarify his own characteristics as a Christian leader. Paton’s methodology for peace–making could be regarded as passive in terms of social participation. However his contribution is obvious when one considers his peace making activities and a balanced perspective on personal and social ethics. His spiritual and social practice can be a resource for a positive challenging force for Korean Christianity as well. Paton can be regarded as a well–balanced Christian who practices Christian spirituality and leadership with love and humility. His religious belief was the basis for the active participation in politics. His spirituality could be powerful resources for emulation for those who seek a balance between personal faith and social participation.

      • KCI등재

        기독교 예배의 본질과 속성의 측면에서 새롭게 바라보는 개인예배 (Personal Devotion)와 공동예배 (Public Worship)의 의미와 관계

        안덕원 ( Ahn Deok-weon )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20 영산신학저널 Vol.0 No.54

        기독교의 소중한 유산인 주일 공동예배에 대한 학계의 연구는 그 의미와 역할에 집중되어 있다. 본고는 개인의 영성을 고양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해되어 온 개인예배 혹은 개인적 헌신행위를 공동예배와의 관계 속에서 다루고 개인예배와 공동예배의 공통분모를 찾으며 둘 사이의 협력 관계를 모색하는 시도다. 우선 개인예배와 공동예배의 상관성을 찾기 위해 예배의 본질과 속성을 검토하여 적용하고 분석한다. 예배는 삼위일체 하나님과의 인격적 만남이며 그 만남은 삶에서의 실천을 지향한다. 예배는 공동체가 함께하는 공적인 행위이며, 파스카 신비(Paschal mystery)를 구현한다. 시공의 한계를 초월하는 과거가 되살아나는 기억과 미래를 미리 맛보는 재현의 현장이다. 예배는 본질적인 요소를 공유하되 사회문화적 환경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갖는다. 이러한 원칙으로 개인예배와 공동예배를 비교 분석하면, 개인예배와 공동예배는 이분법적 경직성을 극복하고 상호 보완적, 협조적 관계를 가져야 함이 선명해진다. 공동예배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개인예배와 가정예배의 사례들도 존중받아야 하고, 공동예배에서 공적 요소가 더욱 분명하게 살아나야 한다. 개인예배와 공동예배는 교회의 소중한 자산들로서 창조적인 긴장과 능동적인 협업, 그리고 선순환의 관계를 지향해야 한다. The Sunday public worship is a precious legacy of Christianity, and academic research has heavily focused on the meaning and role of the service. This is an attempt to deal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devotion and public worship. Personal devotion or individual worship has been historically understood only as a means to enhance individual spirituality. In this research, the writer seeks to fin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devotion and public worship and explore the creative tens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In order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devotion and public worship, the author concentrat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fundamental elements of worship. Worship is a personal encounter with the Trinitarian God, and the encounter aims to practice in life. Worship is a public act that embodies Paschal mystery and transcends the limits of time and space. Worship is the moment of anamnesis, an active kind of memory, and prolepsis, a foretaste of the future. Worship shares essential elements but is applied in various ways depending upon the socio-cultural context. When comparing and analyzing personal devotion and public worship with these principles, it becomes clear that personal devotion and public worship should have both complementary and cooperative relationships by breaking away from any dichotomous rigidity. Personal devotion and private services should be respected as forms of worship which share the elements of public worship, and the communal characteristics should be more encouraged in public worship. Personal devotion and public worship are valuable assets of the church and have an inseparable relationship of creative and active collaboration.

      • KCI등재

        예배학자 제임스 화이트(James F. White, 1932-2004)의 학문적 방법론과 공헌에 대한 소고

        안덕원(Deok-Weon Ahn) 한국기독교학회 2016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2 No.-

        이 논문은 20세기 개신교 예배학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제임스 화이트 박사의 예전적 방법론과 예배학 전반에 걸친 그의 공헌을 새롭게 소개하고 분석하는 글이다. 첫 번째 장에서는 화이트의 인생을 정리하고 그의 학업과 저서, 그리고 학문적 배경을 소개한다. 두 번째 장부터 네 번째 장까지 그의 예배학과 관련된 사상과 학문적 방법론, 그리고 공헌을 다룬다. 두 번째 장에서는 화이트가 하나의 절대적인 전통이 아닌 여러 가지 전통들을 존중하고 균형있게 다루었음을 밝힌다. 그는 낭만적 복고주의자가 아니며 조화로운 예전의 연구를 강조했다. 세 번째 장에서는 감리교인이라는 화이트 자신의 정체성에 얼마나 자부심을 가지고 충실했는지를 살펴본다. 그는 고유하고 확실한 자기의 세계를 바탕으로 포용력 있게 에큐메니컬한 대화에임했다. 네 번째 장에서는 화이트가 교회와 사회를 염두에 둔 실천신학자임을 규명하고, 그가 예전의 개혁뿐만 아니라 사회참여를 통해 예배와 정의의 만남을 독려했음을 조명한다. 결론적으로 화이트 박사의 예배학을 대하는 편견 없는 접근 방식과 다른 전통들에 대한 환대, 그리고 폭넓은 연구의 자세와 내용은 후대에 기준을 제시할 만한 의미 있는 것이었다.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liturgical methodology and distinctive contributions of Dr. James F. White(1932-2004), who is highly regarded as a liturgical historian and advocate of Protestant worship. The first part focuses on his life and achievements as a liturgist, teacher, and professor. The writer provides brief biographical information based on his theological journey. In the second chapter, the writer of this article deals with White’s definition of “tradition.” He did not set an absolute criterion for what constitutes a tradition. Rather, he was open to the practices and faith of diverse traditions with his inclusiveness toward other traditions. Thirdly, White has greatly contributed to the revision of worship in the United Methodist Church. His identity as a Methodist is a starting point for a broad ecumenical dialogue. His open-minded attitude toward many communities is a great asset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Protestant worship. Fourthly, White connects his academic works not only with a personal spiritual formation, but also with active participation in parish ministry and community service. Liturgy and justice are faithfully joined together in his worshipping life. The writer hopes that this project would provide an accurate and objective understanding of Dr. James White, who demonstrated a hospitable and inclusive attitude toward different traditions and enthusiastically worked for the revival of Protestant worship.

      • KCI등재
      • KCI등재

        Lex Orandi from Lex Credendi

        Deok-Weon Ahn(안덕원)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3 신학논단 Vol.72 No.-

        본 논고는 한국개신교회의 추도예배의 기원과 발전, 그리고 의의에 대한 신학적, 역사적, 예전적 연구이다. 한국개신교의 추도예배는 예전 신학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는 기도의 법(Lex Orandi)과 믿음의 법(Lex Credendi)을 근간으로 하여 살펴보면 세계교회사에서도 매우 드물게 발견할 수 있는 매우 성공적인 토착화의 모범임을 알 수 있다. 추도예배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한국감리교의 최초의 선교사인 아펜젤러가 발행했던 ?죠션 그리스도인 회보?(1897)에 등장한다. 이 기록에 따르면 정동감리교회의 성도였던 이무영이 자신의 모친의 기일을 맞이하여 가족들과 함께 기도하고 말씀을 읽었다. 조상제사에 대한 박해의 기억을 가진 한국교회의 상황으로 인하여 추도예배는 오랜 세월이 흘러 1934년에 이르러서야 한국 감리교의 예배서에 공식적으로 도입되었고 1935년에는 감리교회의『교리와 장정』에도 등장하게 되었다. 성결교회와 구세군은 1950년대, 장로교회의 경우 1970년대에 추도예배를 공식적으로 그들의 예배서에 포함시켰다. 이후 추도예배는 다양한 종교배경을 가진 이들에 대한 배려를 위해 추모대상에 대한 기도의 종류가 늘어나고 교단에 따라 설교문과 찬송가를 추천하는 방향으로 발전했다. 한국개신교회의 추도예배는 선교사들이나 성직자들의 도움 없이 자주적으로 한국인의 신앙의 고백이 예전으로 형성되어 한국교회 내에 배급되고 자체적으로 발전한 것이다. 즉 토착민들의 자발적 신앙고백이 자연스럽게 교회의 예전으로 정착한 매우 희귀한 사례다. 물론 한국인들의 보편적 정서를 완벽하게 담아냈다고 평가하기에는 무리가 따르겠지만 죽은 이에 대한 전통적인 존경과 추모의 정신을 예전으로 표현하고 기독교적 해석을 통하여 공동체의 동의와 연합을 추구했다는 측면에서 한국개신교의 추도예배는 재평가 받아야 마땅하다. 본 논고는 한국개신교회의 추도예배의 기원과 발전, 그리고 의의에 대한 신학적, 역사적, 예전적 연구이다. 한국개신교의 추도예배는 예전 신학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는 기도의 법(Lex Orandi)과 믿음의 법(Lex Credendi)을 근간으로 하여 살펴보면 세계교회사에서도 매우 드물게 발견할 수 있는 매우 성공적인 토착화의 모범임을 알 수 있다. 추도예배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한국감리교의 최초의 선교사인 아펜젤러가 발행했던 ?죠션 그리스도인 회보?(1897)에 등장한다. 이 기록에 따르면 정동감리교회의 성도였던 이무영이 자신의 모친의 기일을 맞이하여 가족들과 함께 기도하고 말씀을 읽었다. 조상제사에 대한 박해의 기억을 가진 한국교회의 상황으로 인하여 추도예배는 오랜 세월이 흘러 1934년에 이르러서야 한국 감리교의 예배서에 공식적으로 도입되었고 1935년에는 감리교회의『교리와 장정』에도 등장하게 되었다. 성결교회와 구세군은 1950년대, 장로교회의 경우 1970년대에 추도예배를 공식적으로 그들의 예배서에 포함시켰다. 이후 추도예배는 다양한 종교배경을 가진 이들에 대한 배려를 위해 추모대상에 대한 기도의 종류가 늘어나고 교단에 따라 설교문과 찬송가를 추천하는 방향으로 발전했다. 한국개신교회의 추도예배는 선교사들이나 성직자들의 도움 없이 자주적으로 한국인의 신앙의 고백이 예전으로 형성되어 한국교회 내에 배급되고 자체적으로 발전한 것이다. 즉 토착민들의 자발적 신앙고백이 자연스럽게 교회의 예전으로 정착한 매우 희귀한 사례다. 물론 한국인들의 보편적 정서를 완벽하게 담아냈다고 평가하기에는 무리가 따르겠지만 죽은 이에 대한 전통적인 존경과 추모의 정신을 예전으로 표현하고 기독교적 해석을 통하여 공동체의 동의와 연합을 추구했다는 측면에서 한국개신교의 추도예배는 재평가 받아야 마땅하다.

      • KCI등재

        탈식민주의 이론으로 바라보는 기독교 세례 예식

        안덕원(Deok-Weon Ahn)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5 신학논단 Vol.79 No.-

        This research focuses on Christian initi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ostcolonialism. The first part articulates the history of postcolonial interpretation and its contributions. It was raised in the area of literary criticism by renowned scholars such as Edward Said and Homi Bhabha. It asks who has the power to interpret text and/or tell stories to others. According to postcolonial theologians, contexts and traditions should be the texts of hermeneutics and theological reflection. Through “imaginative dialogue” and “liberating interdependence” one can effectively examine the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environment that gave shape to the liturgy and life of Christians. In this respect, in the second chapter, the writer of this article deals with not only the text, but also the context of the text of Christian Initiation. Christian baptism is a form of resistance and it is expressed as apophasis in the midst of oppression and injustice. Paul dreamed of, and indirectly proclaimed, a new world of peace and justice through the Christian Initiation. Thirdly, Christian Baptism is a process of seeking hybridity and in-betweenness, appropriating such terms from Postcolonial studies. Paul speaks the truth to both the oppressor and the oppressed. In the “the Third Place,” the oppressor and the oppressed encounter, and all conflicts are resolved. The Christian initiation creates this new life where equality is accomplished between the Jew and the Greek, men and women, and the free and slaves. It is a life with an unrealistic but necessary vision which is possible by “one Spirit” through Christian initiation. According to the insights from Post-colonialism, all the baptized drink one Spirit with a new and the “third” identity in the Third Space. The writer hopes that this research would provide a positive challenge to both traditional liturgical understanding and romantic idealism on baptism through postcolonial analysis. Christian initiation is not just a ritual of a community, but a sacrament which advocates radical resolution toward a new life in any context of injustice and inequality. This research focuses on Christian initi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ostcolonialism. The first part articulates the history of postcolonial interpretation and its contributions. It was raised in the area of literary criticism by renowned scholars such as Edward Said and Homi Bhabha. It asks who has the power to interpret text and/or tell stories to others. According to postcolonial theologians, contexts and traditions should be the texts of hermeneutics and theological reflection. Through “imaginative dialogue” and “liberating interdependence” one can effectively examine the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environment that gave shape to the liturgy and life of Christians. In this respect, in the second chapter, the writer of this article deals with not only the text, but also the context of the text of Christian Initiation. Christian baptism is a form of resistance and it is expressed as apophasis in the midst of oppression and injustice. Paul dreamed of, and indirectly proclaimed, a new world of peace and justice through the Christian Initiation. Thirdly, Christian Baptism is a process of seeking hybridity and in-betweenness, appropriating such terms from Postcolonial studies. Paul speaks the truth to both the oppressor and the oppressed. In the “the Third Place,” the oppressor and the oppressed encounter, and all conflicts are resolved. The Christian initiation creates this new life where equality is accomplished between the Jew and the Greek, men and women, and the free and slaves. It is a life with an unrealistic but necessary vision which is possible by “one Spirit” through Christian initiation. According to the insights from Post-colonialism, all the baptized drink one Spirit with a new and the “third” identity in the Third Space. The writer hopes that this research would provide a positive challenge to both traditional liturgical understanding and romantic idealism on baptism through postcolonial analysis. Christian initiation is not just a ritual of a community, but a sacrament which advocates radical resolution toward a new life in any context of injustice and inequal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