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학촌 옥외환경에 대한 색채 분석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일대를 사례로 -

        안나겸(Nagyeom Ahn),민병욱(Byoungwook Min)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2020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23 No.2

        장소의 정체성은 지역 사회의 활력을 측정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요소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한국의대학촌의 정체성에 대한 비판이 많이 제기되어왔다. 한경관의 색채는 장소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여겨지는데, 이 연구는 대학촌의 경관색채구조를 조사하고 정체성 발현장치의 일부로서 현재 경관색채의 의미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일대의 경관색채를 조사하였다. 데이터 수집을 위해 거주자 및 학생과의 인터뷰를 기반으로 주요 보행 경로와 교차로 구성된 사이트에서 대표성을 지니는80장 이상의 사진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한국 표준 색상 분석 응용 프로그램이 색채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사진의 색상 수를 32로 줄인 다음 사진의 표면비율로 상위 10가지 색상을 추출한 다음 IRI 이미지 스케일에 따라 형용사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Identity of a place is known to b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to measure the liveliness of a community. There have been a number of criticisms about lacking identity in campus towns in Korea. Believing that landscape color takes an important role in strengthening the identity of a place,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landscape color structure of a campus town and analyze the meanings of current landscape color settings as a part of an identity generator. For data collection, over 80 photographs were taken in the site composed of the main pedestrian paths and nodes based on the interview with residents and students who frequently use the spaces. The Korea Standard Color Analysis application was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color of the photographs. Having reduced the number of colors in a photograph to 32, top 10 colors in the order of surface proportion in the photograph were extracted, and then the meanings of adjectiv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IRI image scale.

      • KCI등재

        강원지역 시설보호아동의 입소배경과 정서장애 실태

        안나겸(Ahn Na Gyeoum),이원웅(Lee Won Woong),김명종(Kim Myung Jo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5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9 No.4

        본 논문의 목적은 강원지역 시설아동의 다양한 입소배경과 우울, 불안, 위축 등 3개 주요 정서장애 실태를 조사하는 한편, 특히 입소배경 가운데 학대/방임, 부모의 이혼여부 등 가족문제에 기인한 경우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입소원인과 정서적 문제의 상관성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본 조사에서 살펴보려는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아동들은 일반적으로 심각한 정서적 문제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둘째 시설아동들의 입소배경 변인은 정서장애에 영향을 줄 것이다. 본 연구는 강원지역 시설아동 152명을 대상으로 시설아동의 정서장애실태와 입소배경에 따른 정서장애의 차이점을 조사하였다. 제시된 연구가설에 대한 조사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강원지역 시설아동들의 정서상태는 선행연구들이 지적하고 있는 것처럼 우려할 수준만큼 심각한장애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강원지역 시설아동들의 입소배경에 따른 정서장애 실태는 통계적 유의미성이 없었다. 즉 학대경험이나 이혼여부 등 중요한 입소배경은 아동들의 정서상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형제유무, 부모의 방문여부 등의 변인도 아동들의 정서상태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This study aims to take a research on the three major emotional disturbances, which are depression, anxiety, contraction, of the children in the children’s homes in Gangwon province, and also various background factors which cause them brought to the children’s homes, especially family factors, for example child abuse, and divorce. We analyse the corelation between these background factors and the emotional disturbances. The main hypothesis are; firstly The children in the chidren’s homes have severe emotional disturbances. secondly various background factors influence these emotional disturbanc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emotional disturbances of the children in the children’s homes in Gangwon province are not severe not as much as imagined. Secondly there is no definite corelation between the background factors and their emotional status. And neither be shown an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ir emotional status according to visiting of their biological parents and cohabitancy of their siblings.

      • KCI등재후보

        사회적 자본이 북한이탈주민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종태(Choi, Jong Tae),이원웅(Lee, Won-Woong),안나겸(Ahn, Na Gyeoum) 한국케어매니지먼트학회 2016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21 No.-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회과학적으로 분석하려는 것이다. 북한이탈주민들의 지역사회 적응지표로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들의 관계를 사회적 자본의 직접효과와, 개인적 자기효능감을 통한 간접효과로 설정하여 인과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개인적 요인으로 설정한 자기효능감은 환경적 변수인 사회적 자본을 통해서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매개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회적 자본의 증진이 개인적 요인, 즉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통하여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적응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이론을 뒷받침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함의가 제시된다. 본 연구에서 선행연구들과 마찬가지로 북한이탈주민 사회적응에 있어서 연령과 남한에서의 교육수준 등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수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심리적 요인인 자기효능감의 정도에 따라서 북한이탈주민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개인차에 따른 맞춤형 적응정책이 필요하다 This Study primarily aims at analysis of the social capital factor which affects successful adaptation of the North Korean settlers in South Korea. It also tries to address efficient supportive policies for the North Korean settlers. For the sake’s of these purpos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social capital factor mediated by the effect of the self-efficacy factor to the life satisfaction scale among 219 North Korean settlers in Seoul and Gangwon Provinc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 was employed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Amos software was used to conduct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CF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Results of SEM show that the social capital factor positively affects the life satisfaction scale mediated by the effect of self-efficacy factor. In support of previous studies, the social capital and the psychological factor was associated with greater life satisfaction of the North Korean settlers in Sou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