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의미 학습과 교육공학의 통합

        아부 라이한(Md. Abu Raihan),한승록(Han, Seung Lock)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교육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구성주의와 교육공학, 유의미 학습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교육현장 에서 교사들이 구성주의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즉, 전통적이고 비교육공학적으로 수업이 이루어지는 교실과 다른 상황에서 구성주의적 학습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 다. 교육공학과 구성주의적 이론은 교육학적 방법을 변화시키고 있다. 유비퀴터스 환경이 조성되어 가고 있고, 이런 환경변화는 교사의 수업방법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런 환경변화에도 불구하고 교육공학적 기법을 유의미 학습과 통합시키 려는 교사들 많지 않다. 교육공학적 기업을 활용하여 교수학습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교사들은 학생이 수행하는 학습의 범위와 깊이를 넓히려고 노력하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환경을 만들려고 노력하는 교사들이다. 더더욱 이런 교사들은 그들의 학습 패러다임을 바꾸고 구성주의적 교수방법을 선호한다. 이런 관점에서 필자는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교육학적 통합방벙을 4가지로 고안하였다. ➀ 구성주의에 기초한 교육공학의 통합목표, ➁ 교실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공학의 방법, ➂ 교육공학 교사, ➃ 교육공학을 활용하는 교사. 필자는 교육공학과 구성주의를 통합하는 종합점검표를 고안하였으며 유의미 학습과 교육공학을 통합하기 전에 종합점검 표를 가지고 점검하기를 권고하였다.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tructivism, technology, and meaningful learning and provides suggestions to help teachers translate constructivist methodologies into their own realities in teaching. In other words, this article seeks to explore constructivist teaching strategies that could benefit student learning in ways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practiced in traditional, non-technological classrooms. Technology and constructivist theory is changing pedagogies. We are moving toward a future in which computing is becoming more ubiquitous and there is evidence that technology is changing the way teachers conduct their teaching. Even so, few teachers are integrating technology into their teaching in ways that can support meaningful learning. Those who are usually successful in teaching with technology are those who constantly strive to facilitate student-centered learning environments that support and improve the depth and scope of student learning (Cuban, 2001; Ertmer, 1999). Further, they are likely to have experienced shifts in their learning paradigms and embraced constructivist teaching styles. In this regards, the authors have designed four models for technology integration based on the theory of constructivism such as (1) technology integration goals based on constructivism, (2) ways to use technology in real classrooms, (3) technology teacher and (4) teacher with technology. The authors of this article also designed a comprehensive checklist and recommended it to follow before integrating technologies in the real classroom for meaningful learning.

      • Technology Integration for Meaningful Learning Based on the Theory of Constructivism

        Md. Abu Raihan;Han, Seung Lock 公州大學校 敎育硏究所 2012 교육연구 Vol.27 No.1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tructivism, technology, and meaningful learning and provides suggestions to help teachers translate constructivist methodologies into their own realities in teaching. In other words, this article seeks to explore constructivist teaching strategies that could benefit student learning in ways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practiced in traditional, non-technological classrooms. Technology and constructivist theory is changing pedagogies. We are moving toward a future in which computing is becoming more ubiquitous and there is evidence that technology is changing the way teachers conduct their teaching. Even so, few teachers are integrating technology into their teaching in ways that can support meaningful learning. Those who are usually successful in teaching with technology are those who constantly strive to facilitate student-centered learning environments that support and improve the depth and scope of student learning (Cuban, 2001; Ertmer, 1999). Further, they are likely to have experienced shifts in their learning paradigms and embraced constructivist teaching styles. In this regards, the authors have designed four models for technology integration based on the theory of constructivism such as (1) technology integration goals based on constructivism, (2) ways to use technology in real classrooms, (3) technology teacher and (4) teacher with technology. The authors of this article also designed a comprehensive checklist and recommended it to follow before integrating technologies in the real classroom for meaningful learning. 본 연구는 구성주의와 교육공학, 유의미 학습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이 구성주의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즉, 전통적이고 비교육공학적으로 수업이 이루어지는 교실과 다른 상황에서 구성주의적 학습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교육공학과 구성주의적 이론은 교육학적 방법을 변화시키고 있다. 유비퀴터스 환경이 조성되어 가고 있고, 이런 환경변화는 교사의 수업방법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런 환경변화에도 불구하고 교육공학적 기법을 유의미 학습과 통합시키려는 교사들 많지 않다. 교육공학적 기업을 활용하여 교수학습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교사들은 학생이 수행하는 학습의 범위와 깊이를 넓히려고 노력하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환경을 만들려고 노력하는 교사들이다. 더더욱 이런 교사들은 그들의 학습 패러다임을 바꾸고 구성주의적 교수방법을 선호한다. 이런 관점에서 필자는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교육학적 통합방벙을 4가지로 고안하였다. ➀ 구성주의에 기초한 교육공학의 통합목표, ➁ 교실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공학의 방법, ➂ 교육공학 교사, ➃ 교육공학을 활용하는 교사. 필자는 교육공학과 구성주의를 통합하는 종합점검표를 고안하였으며 유의미 학습과 교육공학을 통합하기 전에 종합점검표를 가지고 점검하기를 권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