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인격적 감독이 부하의 조직지향 반생산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권력거리 성향과 부정적 호혜성의 조절효과

        한수진,쑨위핑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024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중국 소재 기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부하직원의 조직지향 반생산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으며, 더불어 권력거리 성향과 부정적 호혜성의 조절 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모델 및 연구가설은 사회적 교환이론과 사회학습이론을 바탕으로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기업 상황에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은 부하직원의 조직지향 반생산적 업무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기존의 비인격적 감독 연구 결과들과 동일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둘째, 비인격적 감독과 부하의 조직지향 반생산적 업무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권력거리 성향의 조절효과는 가설과는 달리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제시하지 못하였다. 셋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부하의 조직지향 반생산적 업무행동에 대한 부정적 호혜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정적 호혜성이 높은 개인의 경우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에 대한 조직지향 반생산적 업무행동이 강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부정적 호혜성이 높은 개인은 상사의 무례하고 난폭한 언행에 대한 조직지향 반생산적 업무행동이 더욱 강하게 나타나게 되며, 이를 정당하고 공정한 보복행위로 인식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busive supervision on subordinates' organizational-oriente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targeting office workers in Chinese-based companies,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 of power distance and negative reciprocity.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busive supervision empirically analyzed in the situation of Chinese compan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oriente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of subordinates. Second, unlike the hypothesis,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ower dis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subordinates' organizational-oriente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did not produc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abusive supervision and the negative reciprocity of the subordinates' organizational-oriente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Through these results, individuals with high negative reciprocity show stronger organizational-oriente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toward rude and violent words and actions of their supervisor and it can be interpreted as recognizing this as a just and fair act of retal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