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의 발화에서 나타나는 파열음의 발성유형별 음향 단서의 발음 교육적 역할 재고

        심현주,김선정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8 언어와 문화 Vol.14 No.1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Korean natives make use of VOT and F0 cues differently between the perception and the production of phonation types of Korean stops. It has an significant meaning in pronunciation education to know on which acoustic cues Korean natives placed greater weight when distinguishing among Korean /ㄱ, ㄲ, ㅋ/. In this study, the experiment on production of /ㄱ, ㄲ, ㅋ/ by Korean and Chinese native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patterns of VOT and F0 realization. In addition, the experiment on perception was also conducted to identify whether Korean natives use the same acoustic cues as that of the production when judging foreign learners pronunciation. The results from the production analysis of Korean and Chinese indicated that all groups of subjects placed greater weight on VOT when distinguishing /ㄲ/ from the others. while F0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ㄱ, ㄲ, ㅋ/ only by the group of text-reading. In case of the perception, acoustic cues of Korean natives took on a different features from that of the production on distinguishing phonation type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way to judge appropriateness of a learner's pronunciation by VOT and F0 features on production should be reconsiderd.

      • KCI등재후보

        거리예술의 특성에 따른 관객과의 관계 형성 및 만족도 연구

        심현주,박신의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18 문화예술경영학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기존의 극장 공연과 달리 거리라는 공공공간을 통해 진행되는 거리예술의 특성을 전제로, 거리예술이 어떻게 관객과의 관계를 형성하는지에 대한 요인을 연구함에 따라 거리예술에 대한 관객의 이해 수준과 만족도를 확 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거리예술의 특성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진행하고, 거리예술 축제에 참가한 관객을 대상으 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 공연장과 같은 폐쇄적 공간에서의 관객 관계 형성과 다른 특성 요인 등을 확인하였고, 이를 ‘접촉’, ‘구경’, ‘관람’, ‘이동’, ‘참여’ 등의 단계별 관계 형성 과정 별로 관객들의 심리적 요인을 파악 하였다. 결과적으로 거리예술에서 관객과의 관계 형성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이는 것은 수동적인 관람이 아니라, 적극 적인 참여와 작품과의 동화임을 확인하였다.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treet art which is performed in public place called street unlike existing theatric performance to do research on the factor on how street art build relationship with audiences and to figure out the level of audiences’ understanding on street art and satisfaction. Therefore, theoretical review was made on the characteristics of street art, and survey was conducted to audiences who participated in the street art festival. Therefore, I discovered characteristic factors which are different from building relationship with audiences in closed spaces like existing performance theaters, and these was categorized into ‘contact’, ‘watching’, ‘viewing’, ‘moving’, ‘participating’ and other relationship-building step to figure out audiences’ psychological factors. In conclusion, it was found out that satisfaction from building relationship with audiences in street arts was shown to be greater with active participation and empathy with those performances, instead of passive watching.

      • KCI등재

        아시아 평화공동체 형성을 위한 아시아주교회의연합(FABC)의 역할 모색

        심현주 서강대학교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22 신학과 철학 Vol.- No.40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사회는 평화건설을 위해 지역적 협력방안을 선택했다. 아시아는 아직 어떤 지역적 협력 체제도 만들어내지 못했다. 아시아 지역공동체에 대한 담론은 정치안보, 경제, 문화적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다. 한계가 많다. 인권 담론이 부재하며, 국가 간 불균형은 심화되고, 배타적 지역주의를 부추긴다. FABC는 전 세계 평화를 지향하는 아시아 평화공동체를 목표로 해야 한다. 아시아 인권공동체의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평화기금을 모아 아시아 국가 간 불균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활동을 열어야 한다. 동시에 아시아 국가들에게 군비축소와 평화기금마련을 지속적으로 촉구해야 한다. 또 시민사회의 일원으로서 교회는 아시아 NGOs, 그리고 다른 영역의 전문가들과 대화를 나누면서, 고유한 가치와 맞는 일들을 비판적이고 고무적으로 해 나가야 한다. FABC는 아시아 국가들에게 모범이 될 만한 협력활동을 전개할 수 있다. 사목의 효율성을 위해서 FABC의 체제나 운영방식에 변화를 줄 수 있을 것이다. 지구상에 유럽연합과 또 다른 대안적 평화공동체를 만들어야 하는 중대한 과제가 아시아 교회들에게 있다.

      • KCI등재

        멜트블로운 부직포의 정전 처리조건이 여과효율에 미치는 영향

        심현주,강준영,장선호,오태환,Shim, Hyun-Joo,Kang, June-Young,Jang, Sun-Ho,Oh, Tae-Hwan 한국섬유공학회 2008 한국섬유공학회지 Vol.45 No.2

        The air filter media were prepared using light polypropylene melt- blown nonwovens and then, corona charge was applied to achieve with low pressure drop and high filtration efficiency air filter. The processing variables for the corona treatments were set up, such as, the electric potential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nonwoven, the number of charging, the sequences of charging surfaces, and the concentration of ferro-dielectric nano particles. The electrical potential was applied in the range of 15 to 35 kV, the number of charging was 1 to 4 times with and without turn over the charging surface, the concentration of ferro-dielectric nano particle solutions were 0.5 to 1.5% (W/V). In this research, the most probable processing conditions gave a clue to make a HEPA filter when the media was plied 5 times. This HEPA filter showed its initial pressure drop be 7.7 mmAq and filtration efficiency be 99.99%.

      • KCI등재

        디자인 제품과 부정경쟁방지법상 부정경쟁행위에 대한 고찰 - 에르메스 ‘프린트 백’사건에 대한 한일 양국의 판례 비교를 중심으로-

        심현주,이헌희 한국지식재산학회 2022 産業財産權 Vol.- No.71

        The same act of manufacturing and selling the so-called "print bag," which has the same optical illusion effect as printing designs such as Birkin bag, a famous handbag of Hermes, on nylon and cloth bags, became a problem in Korea and Japan at a similar time and was judged by the court. In conclusion, both Korean and Japanese courts recognized the plaintiff Hermes' claim for damages, but determined whether it was infringed by applying and interpreting different legal regulations, respectively. In other words, in Japan, the plaintiff filed a claim for damages due to trademark infringement and unfair competition, while in Korea, the plaintiff filed a claim for damages due to unfair competition, and each court judged it. In determining unfair competition except for infringement of trademark rights, which differed in basic facts, the validity of the judgment was reviewed by focusing on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same legal regulations differently, and the existence of supplementary general provisions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UCPA). ‘에르메스사의 유명 핸드백인 버킨 백 등의 디자인을 나일론, 천 소재 가방에 프린트해 명품백을 든 것과 같은 착시효과를 주는 이른바 ‘프린트 백(print bag)’의 제조·판매행위’라는 동일한 행위가 한국과 일본에서 비슷한 시기에 문제가 되어 법원의 판단을 받은 바 있다. 결론적으로는 한국과 일본 법원 모두 원고 에르메스사의 손해배상청구 등을 인정하였지만, 각각 다른 법 규정의 적용 및 해석으로 침해여부를 판단을 하였다. 즉, 일본에서는 에르메스사의 버킨 백이 입체상표로 등록된 사실에 기초하여 원고가 상표권 침해 및 부정경쟁행위(상품주체혼동행위, 저명상표 희석화)로 인한 손해배상청구를 한 반면, 한국에서는 에르메스 사의 버킨 백 등이 상표권이나 디자인권으로 등록되지 않아 원고는 부정경쟁행위(상품주체혼동행위, 저명상표 희석화, 당시 부정경쟁방지법 제2조 제1호 (차)목상의 일반조항)로 인한 손해배상청구를 하였다. 이에 양국 법원이 이들 논점을 토대로 판단 하였다. 이와 같이 기초사실에서 차이가 있었던 상표권의 침해여부를 제외하고 ① 부정경쟁행위(상품주체혼동행위, 저명상표 희석화)를 판단함에 있어, 한국과 일본의 법원이 동일한 법 규정을 각각 다르게 해석하여 적용한 점, ② 부정경쟁방지법의 보충적 일반조항의 존재유무에 따른 한국과 일본의 법원의 판단과정에 집중하여 판결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 KCI등재

        치과위생사의 치석제거 작업자세와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의 융복합적 관련성

        심현주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11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치석제거 시 작업자세와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치과위생 사 264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건강행태, 치석제거 업무, 작업자세, 근골격계 자각증상의 설문을 구성으로 융합연구 하였 다. 자료 분석은 R 2. 15. 1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분석한 결과, 치석제거 시 올바른 작업자세는 29.9%, 대체적으로 올바 른 작업 자세는 37.5%, 올바르지 않은 작업 자세는 32.6%로 나타났으며, 근골격계의 자각증상을 호소하는 부위로는 어깨가 3.32배(OR,3.32;95%CI, 1.58~6.98), 발은 2.97배(OR,2.97;95%CI, 1.18~7.48), 손은 2.84배(OR,2.84;95%CI, 1.35~5.98), 목은 2.82 배(OR,2.82;95%CI, 1.35~5.91), 등은 2.41배(OR,2.41;95%CI, 1.02~5.68)로 유의성 있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올바른 작업 자세의 중요성을 제공함으로서 작업환경 개선 및 효율적인 예방프로그램 개발과 지속적인 교육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것이며, 추후 사회·심리적 요인을 포함한 조사 연구가 필요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ing posture and symptom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dental hygienists during scaling.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64 selected dental hygienists. A convergence study was implemented using questionnaire that was prepared to cover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care, the work of scaling, working posture and subjective musculoskeletal symptoms. As for data analysis, R 2.15.1 was employ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e rate of good working posture during scaling stood at 29.9 percent; roughly good posture, at 37.5 percent; incorrect posture, at 32.6 percent. Regarding the area of the body in which they complained of musculoskeletal symptoms, the shoulders were 3.32-fold more mentioned than any other area(OR,3.32;95%CI, 1.58∼6.98); the foot, 2.97-fold more(OR,2.97;95%CI, 1.18∼ 7.48); the hands, 2.84-fold more(OR,2.84:95%CI, 1.35∼5.98); the neck, 2.82-fold more(OR, 2.82;95%CI, 1.35∼ 5.91); the back, 2.41-fold more(OR,2.41;95%CI, 1.02∼5.68). The findings of the study that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good working posture are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work environments,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preventive programs and the preparation of sustained educational plans, and it's necessary in the future to make a research study by including psychosocial factors.

      • KCI등재
      • KCI등재

        치위생(학)과 학생의 온라인 수업 질에 대한 만족도 조사 연구

        심현주,이선희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5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의 온라인 수업 질에 대한 만족도를 파악하고자 2021년 2월 3일부터 2월 17일까지 강원도 내 대학의 치위생(학)과 재학생 최종 22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좋은 수업 구성요 소 별 온라인 수업 만족도는 중요도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낮게 인식하였으며, 학습환경의 만족도가 중요도에 비하 여 낮게 나타났다. 좋은 수업 세부 구성요소 별 온라인 수업의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는 수업의 체계성, 온라인 학습환경, 수업내용의 전달력에서 비교적 큰 차이를 보였다. 온라인 학습 콘텐츠 필요도는 수업자료와 VOD가 높 게 나타났으며, 수업운영 유형의 만족도는 비실시간 수업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온라인 수업의 교수-설계 수립 시 질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was aimed to grasp online learning quality satisfaction in Dental Hygiene student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finally 228 dental hygiene students at a university in Gangwon Province from February 3, 2021 to February 17. As a result of analysis, the online class satisfaction by good instruction component was lower overall than importance. The learning environment satisfaction was lower than its importance. A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ith online learning by detailed good instruction component showed a relatively big difference in systematic class, online learning environment, ability to convey the class contents. The need for online learning content was high in teaching material and VOD. The class operation type satisfaction was high in a non-real time class. Accordingly, a continuous effort is conceivably necessary for improving quality given the teaching-design establishment of online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