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 19 시기 체육수업 유무에 따른 남녀 중학생의 학교 영역 신체활동 특성 분석

        심판준,이규일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3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physical activity of boys and girls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school area (work and overall, rest time, physical education class) using a 3D accelerometer, and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gender.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17 students attending D Middle School in D Metropolitan City (boys: 62, girls: 55). The measured data were entered in Actilife v.6.11.9 and classified into physical activities by intensity (seated, low intensity, MVP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9.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ate of achieving the recommended standards for school work and overall physical activity was 23.5% (boys: 36.2%, girls: 9.1%). Second, in term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MVPA was meaningful in the entire school work(day of the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it was meaningful in the break time (day without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ird, in terms of gender, girls students' physical activity was negative compared to boys students in all areas of school (school work, whole, rest, and physical education classes), except for low-intensity activitie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conclusion,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eriod was generally reduced, and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areas and targets with severe decline were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girls students, respectively. Finally, a research topic in the future was proposed. Work area and break time area, and PE class In the domai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dentified only at the level of sedentary activity (male <female) and MVPA (male>female). In conclusi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was identified as a factor influencing physical activity in adolescenc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nd discussions, plans and research topics for improving physical activity in school work were proposed. 본 연구의 목적은 3차원 가속도계를 활용하여 남녀 중학생의 학교 영역(일과 전체, 쉬는 시간, 체육수업) 신체활동을 측정하고, 체육수업 유무와 성별에 따라 그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D광역시 D중학교에재학 중인 117명(남학생: 62명, 여학생: 55명)이었으며, Actigraph사에서 개발한 3차원 가속도계(GT3X 모델)을 활용하여 신체활동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자료를 신체활동 분석 프로그램(Actilife v.6.11.9)에 입력하여 신체활동을 강도별(좌식, 저강도, MVPA)로 분류하였으며, SPSS 29.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해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학교 일과 내 세부 영역별 신체활동권장 달성율은 일과 전체(23.5%), 쉬는 시간(18%), 체육수업(0.9%)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수업 유무측면에서, 학교 일과 전체(체육수업이 있는 날>없는 날)와 쉬는 시간(체육수업이 있는 날<없는 날)의 MVPA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성별 측면에서, 체육수업의 저강도 활동을 제외한 학교 내 모든 영역(학교일과 전체, 쉬는 시간, 체육수업)에서 여학생의 신체활동이 남학생에 비해 저조한 것(좌식 활동: 남<여, 저강도 활동: 남>여, MVPA: 남>여)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코로나 19 시기 중학생의 학교 전 영역의 신체활동 수준은 감소하였고, 특히 체육수업과 여학생에게서 신체활동 문제가 보다 심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향후 연구 주제를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