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어류 분포에 미치는 기후변화 영향 평가를 위한 서식적합성 모형 적용

        심태용,배은혜,정진호,Shim, Taeyong,Bae, Eunhye,Jung, Jinho 응용생태공학회 2016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3 No.2

        Temperature increase and precipitation changes caused by change alter aquatic environments including water quantity and quality that eventually affects the habitat of aquatic organisms. Such changes in habitat lead to changes in habitat suitability of the organisms, which eventually determines species distribution. Therefore, conventional habitat suitability models were investigated to evaluate habitat suitability changes of freshwater fish cause by change. Habitat suitability models can be divided into habitat-hydraulic (PHABSIM, CCHE2D, CASiMiR, RHABSIM, RHYHABSIM, and River2D) and habitat-physiologic (CLIMEX) models. Habitat-hydraulic models use hydraulic variables (velocity, depth, substrate) to assess habitat suitability, but lack the ability to evaluate the effect of water quality, including temperature. On the contrary, CLIMEX evaluates the physiological response against climatic variables, but lacks the ability to interpret the effects of physical habitat (hydraulic variables). A new concept of ecological habitat suitability modeling (EHSM) is proposed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by combining the habitat-hydraulic model (PHABSIM) and the habitat-physiologic model (CLIMEX), which is able to evaluate the effect of more environmental variables than each conventional model. This model is expected to predict fish habitat suitability according to climate change more accurately. 기후변화에 의한 온도 상승 및 강수량 변화는 수량 및 수질을 포함한 수환경의 변화로 이어져 결과적으로 수생생물의 서식지에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서식지 변화는 생물종의 서식적합도 변화로 이어지고, 서식적합도에 의해 종분포가 결정된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의한 담수 어류의 서식적합성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기존의 서식적합성 모형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서식적합성 모형은 PHABSIM, CCHE2D, CASiMiR, RHABSIM, RHYHABSIM, River2D과 같은 서식지-수리 모형과 CLIMEX와 같은 서식지-생리 모형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서식지-수리 모형들은 수리학적 인자 (유속, 수심, 기질)를 이용하여 서식적합도를 예측하기 때문에, 수온을 포함한 수질의 영향을 평가할 수 없다. 반면, CLIMEX는 기후 인자에 대한 생물의 생리학적 반응을 평가하기 때문에, 물리적 서식지 (수리학적 인자)의 영향을 평가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식지-수리 모형인 PHABSIM과 서식지-생리 모형인 CLIMEX의 구동 원리를 융합하여 기존의 모형들보다 다양한 환경 인자에 대한 영향을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모형인 생태학적 서식적합성 모형 (EHSM)의 개념을 제안하였다. 이 모형은 기후변화에 의한 어류의 서식적합도 변화를 더욱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골프스윙시 근육협응관계 구명을 위한 EMG 분석

        심태용,신성휴,오승일,문정환 한국운동역학회 2004 한국운동역학회지 Vol.14 No.3

        T. Y. SHIM, S. H. SHIN, S. I. OH, J. I-. MUN. EMG Analysis for Investigation Muscle-Collaborated Relationship during Golf Swing.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Vol. 14, No. 3, pp. 177-189, 2004. Kinematic and kinetic analysis using 3D Motion Capture system are common, yet there is little in the literature that discuss the relationship and coactivity between muscles during the golf sw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loyed 16 muscles during golf swing. We could observe 3 muscle patterns such as 'Line' shape, 'L' shape, and 'Loop' shape for the golf swing activity. The 'Line' shape indicates that two muscles act almost perfectly in phase, and the 'L' shape represents that two muscles act in a reciprocating manner(When one is active, the other is quiescent and vice versa). And the 'Loop' shape indicates that two muscles act sequently(After one is active, the other act). In these results, we knew the muscle patterns during golf swing is similar to the patterns during gait. And we presented it was possible to show the consistence of golf swing through the frequency analysis of muscle patterns. We believe that the results potentially useful for the golf players and coaches to analyze their performance.

      • KCI등재

        모바일 쇼핑몰 컨텐츠의 정보품질과 사용자 만족도의 관계에서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 연구

        심태용,전상택 국제e-비즈니스학회 2019 e-비즈니스 연구 Vol.20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quality of the information in mobile shopping mall contents on user satisfaction. Also, b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n the values perceived by the user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ub-elements of information quality and user satisfaction, in order to develop strategies to enhance user satisfaction level.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showed that, among the sub-elements of mobile shopping mall contents quality, the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all influenced the perceived values positively. Second, the analysis of the variables that influenced the user satisfaction with mobile shopping malls showed that among the sub-elements of the perceived values and qualities, informatio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affected user satisfaction. Third, the analysis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erceived valu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the mobile shopping mall contents and user satisfaction showed that, among the sub-elements of the quality, informatio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were partially mediated by perceived values in the relationship with user satisfaction level. On the contrar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ystem quality and user satisfaction, the perceived value turned to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based on these findings, a set of basic data was provided in order to ensure user satisfaction with the mobile content as the mobile market continues its growth. 본 연구는 모바일 쇼핑몰 컨텐츠의 정보품질이 사용자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는목적이 있다. 또한 정보품질의 하위요인과 사용자 만족도의 관계에서 사용자의 지각된 가치에 대한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사용자 만족도의 증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모바일 쇼핑몰컨텐츠 품질의 하위요소 중, 시스템품질, 정보품질, 서비스품질 모두 지각된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바일 쇼핑몰에 대한 사용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분석한 결과, 지각된가치와 품질의 하위요인 중 정보품질과 서비스품질은 사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모바일 쇼핑몰 컨텐츠 품질과 사용자 만족도의 관계에서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품질의하위요인 중 정보품질과 서비스품질은 사용자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지각된 가치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나타났다. 반면 시스템품질과 사용자 만족도의 관계에서 지각된 가치는 완전매개 하는 것을 보였다. 이러한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모바일 시장의 지속적 성장에 따라 모바일 컨텐츠의 사용자 만족도를 위한 전략을수립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포식성 유입주의 어류에 대한 서식처 적합도 평가

        심태용,김종현,정진호 응용생태공학회 2023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10 No.1

        Alien species are known to threaten regional biodiversity globally, which has increased global interest regarding introduction of alien specie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Korea designated species that have not yet been introduced into the country with potential threat as alert alien species to prevent damage to the ecosystem. In this study, potential habitats of Esox lucius and Maccullochella peelii, which are predatory and designated as alert alien fish, were predicted on a national basis. Habitat suitability was evaluated using EHSM (Ecological Habitat Suitability Model), and water temperature data were input to calculate Physiological Habitat Suitability (PHS). The prediction results have shown that PHS of the two fishes were mainly controlled by heat or cold stress, which resulted in biased habitat distribution. E. lucius was predicted to prefer the basins at high latitudes (Han and Geum River), while M. peelii preferred metropolitan areas. Through these differences, it was expected that the invasion pattern of each alien fish can be different due to thermal preference.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nhance the model’s predictive power, and future predictions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s are required to aid establishing sustainable management plans. 전세계적으로 외래생물의 침입이 생물다양성을 위협하는 것으로 보고되며, 국내외로 외래생물의 유입에 대한 관심이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환경부에서는 유입주의 생물 지정을 통해 국내에 유입되었을 때 생태계 피해가 유발될 수 있는 잠재적외래생물을 관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입주의 생물로 지정된 포식성 어류인 북방민물꼬치고기 (Esox lucius)와 호주민물대구(Maccullochella peelii)의 잠재 서식처를 전국 단위로 예측하였다. 서식처 적합도 평가를 위해 EHSM (Ecological Habitat Suitability Model)을 사용하였고, 수온 자료를 입력하여 생리적 서식처 적합도 지수 (Physiological Habitat Suitability; PHS)를 산출하였다. 예측 결과, 두 어류의 PHS는 고온 또는 저온 스트레스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이로 인해 서식처 적합도의 지역적 편향이나타났다. 북방민물꼬치고기는 위도가 높은 한강과 금강 유역을 선호할 것으로 예측되었고, 호주민물대구는 대도시 지역을 선호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외래어류의 침입 양상이 온도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로 인해 상이할 것으로 예상할 수있다. 향후, 모델의 예측력 향상을 위해 후속 연구가 필요하고, 지속가능한 대책 수립을 위해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한 미래예측 연구가 필요하다.

      • 과제 지향적 거울매개치료가 아급성기 뇌졸중 편측무시 환자의 정신기능과 참여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심태용 ( Sim Tae-yong ),권재성 ( Kwon Jae-sung ) 대한인지재활학회 2019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8 No.1

        목적: 본 연구는 과제 지향적 거울매개치료가 아급성기 뇌졸중 편측무시 환자의 정신기능과 참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9년 3월부터 5월까지 청주시 소재한 C종합병원에서 작업치료를 받는 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4주간 30분씩 주 5회 과제 지향적 거울매개치료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실험설계로 진행하였다. 중재 전후 편측무시 증상을 비교하기 위해 측정 결과를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에 기초하여 정신기능(Mental function)영역과 활동 및 참여(Activity and Participation)영역으로 분류하였다. 정신기능 영역의 평가로는 별 지우기 검사(Star Cancellation Test; SCT), 선 나누기 검사(Line Bisection Test; LBT)를 실시하였고, 활동 및 참여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그림 선별 검사(Picture Scanning Test; PST), 한국형 캐서린 버지고 척도(Korean-catherine Bergego Scale; K-CBS)와 한글판 수정바델지수(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를 측정하였다. 결과: 과제 지향적 거울매개치료 중재 전후 결과를 비모수 검정인 윌콕슨 부호순위검증을 통해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정신기능영역인 SCT와 LBT에서 중재 전보다 중재 후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p<.05), 활동 및 참여영역인 PST, K-CBS와 K-MBI에서도 유의한 향상이 관찰되었다.(p<.05) 결론: 본 예비연구를 통해 과제 지향적 거울매개치료가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정신기능과 활동 및 참여를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ask-oriented mirror therapy on mental function and participation of unilateral neglect in subacute stroke patients. Methods: From March to May in 2019, a total of five patients received mirror therapy at the C General Hospital in Cheongju city, five times a week for 30 minutes for each therapy during the 4 weeks therapy.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single group pre-post experimental design. In order to identify changes in their unilateral neglect symptom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we performed Star Cancellation Test (SCT), Line Bisection Test (LBT) and Picture Scanning Test (PST). The Korean version of the Catherine Bergego Scale (K-CBS)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Modified Barthel Index (K-MBI) were used to measure changes in daily living performance after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the Mental Function Area and the Activity and Participation Area, respectively, based on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ICF). Result: Base on the nonparametric Wilcoxon signed rank test,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p <.05) in the mental function areas (SCT and LBT) after the intervention, and Activity and Participation areas (PST, K-CBS and K-MBI)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p <.05). Conclusion: Conclusion: Mirror therapy improved the mental function, and activity and participation of subacute stroke patients.

      • KCI등재

        기업의 경영전략 및 혁신활동과 경영성과와의 관계성 연구

        심태용(Shim, Taeyong),이대규(Lee Daegyu)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9

        본 연구는 일반적인 중기업과 소기업을 통하여 경영전략과 혁신활동을 통해 궁극적으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통합적인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 대상은 서울 · 경기지역 소재의 중소기업에 재직중인 종사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최종적으로 총 328부가 분석에 사용 되었다. 연구가설을 위한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Statistics 22.0과 AMOS 2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한 분석방법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경영전략 요인과 혁신활동, 경영성과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혁신활동과 상관이 높은 요인으로는 기술차별화 전략, 마케팅차별화 전략, 원가주도 전략으로 나타났으며, 경영성과와 상관이 높은 요인으로는 마케팅차별화 전략, 기술차별화 전략, 원가주도 전략으로 나타났다. 둘째, 혁신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영전략 요인으로 마케팅 차별화 전략, 기술차별화 전략, 원가주도 전략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마케팅차별화 전략과 원가주도 전략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영성과에 기술차별화 전략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기술차별화 전략과 경영성과의 관계에서 혁신활동이 완전매개하는 효과가 있음을 밝혀내었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면 기업의 혁신활동이 마케팅차별화와 기술차별화 전략으로 연계되어야만 경영성과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최근 중소기업들은 경영환경의 악화로 스스로의 핵심역량으로는 기술혁신, 생산혁신, 경영전반의 혁신을 꾀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중소기업의 경영전략은 혁신 활동을 통해 경영성과를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employees of small and medium-size enterprises (SMEs) located in Seoul and in Gyeonggi province. In the end, a total of 328 valid questionnaires were received and used in the analysis. The data of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two statistics programs: SPSS Statistics 22.0 and AMOS 22.0. As for the method to verify the hypothesis, we us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anagement strategy factors, innovation activities, and business performance showed that the factors that were at a higher level of correlation were the technology differentiation strategies, marketing differentiation strategies, and the cost-driven strategy. Second, the strategic management factors that influenced innovation activities were in the following order: marketing differentiation, technology differentiation, and the cost-driven strategy, while the valid factors that affected business performance with significance were only the marketing differentiation strategy and the cost-driven strategy. Third, while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technology differentiation strategy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it was show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chnology differentiation strategy and business performance was completely mediated by innovation activities.

      • KCI등재

        온라인 쇼핑몰 특성이 감성적 반응과 지각된 가치,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2)을 중심으로

        심태용(Shim, Taeyong),윤성준(Yoon, Sungjo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4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몰의 특성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기술수용모델(TAM2)를 통해 알아보고, 소비자가 추구하는 가치 기준에 따라 쇼핑몰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온라인 쇼핑몰 경험이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2018년 12월 1일부터 2019년 1월 31일까지 총 711부의 설문조사를 하였고,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하였다. 첫째, 온라인 쇼핑몰의 특성은 모두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쇼핑몰의 특성이 감성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시스템 품질, 제품품질 변인만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의 특성 중, 사회적 실재감은 감성적 반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쇼핑몰 이용자의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 감성적 반응은 지각된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하는 제품의 실용재 집단과 쾌락재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집단분석(multi-group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집단 별로 경로에 대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를 시도하였고, 쇼핑몰이 가지고 있는 기술적인 속성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감성적인 부분까지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verified the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n the value principles held by the consumers while examining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shopping mall on the purchase intent by using a TAM2 model.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shopping malls were prove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tility. Second, a look at the effect of the online shopping mall characteristics on the emotional response shows that only the system quality and product quality variabl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motional response. Third, the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tility and emotional response of online shopping mall us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perceived value. Fourth,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utilitarian goods and hedonic goods by categorizing what was purchased at online shopping malls. The results showed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This study is attempted to investigate various influencing factors on consumers" intention to revisit online shopping malls. In addition, the author also attempted to understand the behavior of online shopping mall visitors by dealing with more than the technical attributes and emotional aspects of shopping malls.

      • 골프스윙시 인공지능(Neural Network)을 이용한 슬라이스 예측에 관한 연구

        심태용(T. Y. Sim),오승일(S. E. Oh),신성휴(S. H. Shin),이상식(S. S. Lee),문정환( J. H. Mun) 한국정밀공학회 2004 한국정밀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04 No.10월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ethod classifying slice shot during golf practice using backpropagation algorithm. The 144 data based on the backpropagation model(11 inputs, 2 outputs) was used as a learning set and the model was verified based on the extra 50 data in the process to predict a slice shot in golf swing. The results showed 100% separating rate of learning set and 91.5% separating rate of verified set. The developed method can be potentially beneficial for the predicting of slice shot in an indoor golf excercise setting without applying any additional equipment.

      • 국내 작업치료 현장의 디지털 치료도구 사용 현황 조사

        심태용 ( Sim Tae Yong ),권재성 ( Kwon Jae Sung ),손상원 ( Son Sang Won ),지은규 ( Ji Eun Kyu ) 대한인지재활학회 2022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11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작업치료 현장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치료도구의 전체적인 사용 현황과 디지털 치료제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 수준을 조사하여 디지털 치료도구를 사용하는 작업치료사의 중재 전문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22년 8월부터 10월까지 대한인지재활학회에 등록된 작업치료사 회원 총 2,866명을 대상으로 설문 방식으로 조사되었고 회수된 120명의 설문내용을 분석하였다. 설문은 온라인 설문으로 진행되었고 직접자기기입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과 설문에 대한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여 제시하였다. 결과: 디지털 치료제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 수준은 ‘알고 있다’(33.3%)보다 ‘모른다’(66.7%)가 높았다. 디지털 치료도구가 사용되는 중재로는 전산화 인지재활(69.2%)이 가장 많았고 가상·증강현실(30.8%)이 그 뒤를 이었다. 그 외에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인공지능, 메타버스, 뇌-컴퓨터 인터페이스가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적용 대상자의 진단명은 뇌졸중(69.3%)이 가장 많았고, 치매(53.3%), 외상성뇌손상(52.0%), 소아발달장애(30.7%)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지털 치료도구는 인지·지각 훈련, 상지기능 훈련, 일상생활동작 훈련 등과 같은 중재에 사용되었다. 직업치료 관련 디지털 치료도구 개발의 필요성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은 92.5%였으며, 디지털 치료도구가 필요한 작업치료 영역은 인지재활(74.2%)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작업치료 현장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치료도구를 전체적으로 조사하여 디지털 치료제와 관련된 다양한 제품들이 중재에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측면에서 임상적 의미가 있다. 또한 작업치료사가 디지털 치료도구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개발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verall usage status of digital therapeutic devices(DTDs) used in occupational therapy(OT) in Korea and the level of awareness of occupational therapist(OTist)s on digital therapeutic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professional intervention of OTists using DTDs. Methods: This study surveyed a total of 2,866 OTist members registered with the Korean Society of Cognitive Rehabilitation from August to October 2022 through a questionnaire method, and collected the questionnaires from 120 members and analyzed the data. The survey was conducted as an online survey and a direct self-administered method was us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 an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questionnaire were calculated and presented. Results: OTists’ awareness level of digital therapeutics was higher with ‘don’t know’ (66.7%) than ‘know’ (33.3%). The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69.2%) was the most common intervention using DTDs, followed by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30.8%). We also confirmed that mobile applications, artificial intelligence, metaverses, and brain-computer interfaces are being used. Stroke (69.3%) was the most common diagnosis of clients applying DTDs, followed by dementia (53.3%), traumatic brain injury (52.0%), and developmental disorder (30.7%). In addition, DTDs were used for interventions such as cognitive and perceptual training, upper extremity function training,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training. The positive response to the need to develop DTDs related to OT was 92.5%,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74.2%) was the highest in the OT area requiring DTDs. Conclusion: This study has clinical significance in that it has confirmed that various products related to digital therapeutics are being used for OT intervention by comprehensively investigating DTDs used in OT in Korea. In addition, it suggests the need for OTists to actively use and develop DT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