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빈곤문제해결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심창학(Shim Chang Hack) 한국유럽학회 2003 유럽연구 Vol.1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y comparing the recognition and policies on social exclusion which is considered as alternative paradigm concerned with the poverty problem, to examine the resemblances and differences among France, Italy and Swede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the domain of public opinion on social exclusion, it is France in which people takes attention mostly.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Italy and Sweden the degree of attention is weak but with different reason, strong solidarity between families and communities, the development of informal economy, strong regionalism in case of Italy, and low unemployment ratio, universal and generous social security, public consideration of social exclusion as marginalization in case of Sweden. Second, comparing the policies on social exclusion among this countries, it is France that implements concrete laws and institutions at the national level on social exclusion (RMI in 1988 and law against social exclusion 1998) with the its comprehensive and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In Italy, there is little measures and national policies. Notwithstanding it is too interesting to find the activation of social corporation. In Sweden, there is no particular law and institution targeting for social exclusion. Active labour market polices and social assistances play great role in corporation the marginalized into the society. This result will help to proceed the following study with the purpose of analysing, evaluating the Korea`s poverty policies in the perspective of social exclusion.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실업급여제도의 변화 평가

        심창학(SHIM Chang-Hack) 한국노동연구원 2003 노동정책연구 Vol.3 No.3

        본 연구는 한국의 고용보험제도 중의 하나인 실업급여제도의 변천과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체계성 평가와 동시에 제도의 내용적 평가를 시도하고 있다. 체계성 평가를 위해서는 알버(J. Alber)가 제시하고 있는 네 가지 기준 중 관대성, 통제 개념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실업급여제도는 도입 이후 8년간 관대성은 강화되는 반면, 통제는 점점 약화되는 경향을 보이면서 상당 정도 체계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하위 제도의 개별 평가 결과, 관대성 부문에서의 적용 대상의 확대, 급여일수의 연장, 통제 부문에서 수급요건의 점진적 완화가 이루어진점 등에서는 많은 개선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상당수의 많은 취업자와 임금근로자가 보호로부터 배제되어 사각지대로 남아 있다는 점, 이의 실질적 관리 부재, 엄격한 수급요건 등의 측면은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이상의 점 등을 고려하여 본고에서는 몇 가지 정책방향 혹은 정책대안을 제시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첫째, 적용 대상의 지속적 확대 및 인프라 구축을 통한 적용 대상 사업체에 대한 지속적 감독 관리체계의 확립, 둘째, 수급요건의 완화와 관련하여 정당한 이직사유의 범위 확대의 필요성과 자발적 이직자에 대한 급여 지급 등이다. 마지막으로 소정급여일수의 연장에 대한 적극적 검토를 강조하면서, 대안으로 실직자의 최저생활 보장과 의도적 장기 실직의 예방이라는 두 가지 취지하에 국제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급여 삭감 제도의 도입을 강조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 the perspective of systemness, to analyse and evaluate changes of Korea s unemployment benefits system, introduced in 1995. This study has used, as analytical tool, the concept of generosity and control which is used by J. Alber.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Korea s unemployment benefits system has been changed for eight years with a considerable degree of systemness, that is more generosity and less control. Second, in spite of maintenance of systemness, there is problem to be excluded many employee in coverage, of the absence of effective administration and of rigidness for benefit eligibility. Finally, for the development of benefit system this study suggest : the successive extension in coverage and establishment of effective administration, the deregulation of disqualification clauses in benefit eligibility and prolongation of benefit duration.

      • KCI등재

        청년실업에 대한 프랑스 국가의 대응 양식

        심창학(Chang-hack Shim) 한국유럽학회 2017 유럽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청년실업에 대한 국가의 대응 양식에 대한 분석을 통해 프랑스의 청년고용정책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행위자로서의 국가관점에 바탕을 두고 대응양식을 총 네가지로 구분했다. 그리고 청년고용정책의 정체성 확인을 위해 세가지 준거틀을 사용했다. 분석 및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용대상의 표적화 측면에서 국내외적으로 알려져 있는 정책 혹은 제도 일부는 청년고용정책에 완전히 부합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청년하위집단의 성격에 부응하는 맞춤형 정책의 실시 측면에서 프랑스의 대부분 정책 및 제도는 청년집단을 하나의 집단으로 간주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는 연령대별 특성을 무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니트 개념이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하위 집단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 및 제도 도입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셋째, 양질의 청년 일자리 창출 측면에서 프랑스 국가는 청년 일자리 창출에 강한 의지를 보여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통해 창출된 일자리의 대부분은 기간제 등 취약한 성격을 보이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이상의 점들을 고려할 때 프랑스 청년고용정책의 정체성은 매우 약한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청년고용정책의 정체성 강화의 차원에서 프랑스 사례가 한국에 줄 수 있는 시사점으로 한국청년고용정책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서 본 연구는 청년실업문제의 특징 및 심각성 확인을 위한 용어의 개발 및 이의 개념 정립의 필요성, 니트 개념의 유용성에 대한 정책적, 학문적 관심의 필요성, 동행조치의 실시를 통한 노동시장 취업애로 청년에 대한 후견인으로서의 국가 역할에 대한 관심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dentity of youth employment policy in France by analyzing state response patterns of youth unemployment. To this end, we divided the response patterns into four categories based on the viewpoint of state as an actor. And, in order to confirm the identity of the youth employment policy, three criteria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in terms of targeting of coverage population, some of the policies are not fully compatible with youth employment policies. Second, most policies in France show youth groups as one group. This neglects the importance of subgrouptailored policies and particularly the concept of NEET. Third, despite the fact that the French state shows a strong will to create youth jobs in terms of creating high quality youth jobs, most of the jobs created through these activities shows precarious characters such as fixed term contracts.

      • KCI등재
      • 한국, 프랑스 사회보장제도 개혁 과정 비교

        심창학(Shim Chang-hack)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02 비판사회정책 Vol.- No.12

        본 연구는 한국과 프랑스의 사회보장제도 개혁 과정에 대한 비교 연구를 통해 양국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도출하고 이의 이론적 해석의 시도 및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교 분석을 위한 이론적 도구로서는 국가 중심적 이론에서 강조하고 있는 핵심 개념 즉 국가 자율성, 국가 능력, 복지 국가 체제 등을 사용한다. 그리고 분석 사례로서 본 연구는 프랑스의 경우 1995년 우파 정부에 의해 시도된 사회보장 개혁 과정을, 그리고 한국의 경우 1986년과 1989년 사이 진행된 의료보험 통합 과정을 선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먼저 국가 중심적 이론의 특정 및 핵심 개념의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분석을 위한 이론적 도구의 유용성을 강조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개념에 근거하여 양국 사례를 분석하여 유사점과 차이점 도출을 시도한다. 분석 결과, 양국간에는 차이점보다 유사점이 더 많이 발견되었다. 즉, 사회 보장개혁과정 중 나타난 국가의 성격을 살펴보면 양국 공히 높은 국가 자율성을 지닌 반면, 국가 능력에 있어서는 약한 성격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본 연구 사례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향후 좀 더 포괄적이고 심도 깊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일정 부분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 사례의 설명에 있어서 국가 중심적 이론의 적절성이 입증된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process of Social Security reform in Korea and France, fi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wo country and try the theoretical interpretation, and finally to get its implications. As theoretical tool for the comparative analysis, this study makes use of the important concept of state-centered theory, namely state autonomy, state capacity, welfare state regime. As the case of research, this study chooses two case: in France, the process of social security of the year 1995; the process of integration of system of health assurance which has went on between 1986 and 1889 in Korea. Above all,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s and important concepts of state-centered theory, so that emphasizes the pertinences of its utilization. And this study tries to fi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wo country, analyzing case of research.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re is similarities more than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France, that is to say both countries have 'high state autonomy' and 'weak state capacity'.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has a problem of generalization and it is necessary to, in order to resolve this problem, research more comprehensively and more fundamentally. Nevertheless, this study considers that there is pertinences of state-centered theory in explaining case of this study.

      • KCI등재

        프랑스 사회적 미니멈(Minima sociaux)의 구조 및 급여 체계

        심창학(Shim Chang-Hack) 한국사회복지학회 2007 한국사회복지학 Vol.59 No.3

        본 연구는 유럽 공공 부조 및 최저 소득 보장 체계 연구의 하나로서 프랑스의 사회적 미니멈에 대해서 이의 구조 및 급여 체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 측면에서 프랑스 사회적 미니멈은 여덟 종류의 선별적 급여와 하나의 보편 급여를 가진 다원적 구조 체계를 보이고 있다. 이는 사회보험의 사각지대에 있는 사람들에 대해서 최저 소득을 보장하려는 의지의 표출임과 동시에 각각 다른 시기, 다른 논리에 의한 제급여의 도입 및 실시 결과의 부산물이기도 하다. 둘째, 급여 결정 기준을 바탕으로 아홉 종류의 급여 체계를 살펴본 결과, 근로 능력이 없는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급여가 근로 능력이 있는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급여보다 그 수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빈곤 집단의 소득 보장에 대한 국가 및 사회 개입에 있어서 근로 능력의 유무에 따른 프랑스의 양분된 시각을 반영하고 있다. 셋째, 사회적 미니멈 급여 수준과 상대적 빈곤선과의 비교 결과, 대부분의 급여수준이 상대적 빈곤선 수준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사회적 미니멈 수급자들에게는 연계 부조 프로그램이나 부가적 권리까지 부여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사회적 미니멈은 빈곤 극복을 위한 유일한 대안이 아니라 기본 대안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넷째, 최저 임금 수준과의 비교 결과, 최저편입(RMI)급여 수준은 50%이하임이 드러났다. 이는 수급자의 소득보장에 대한 국가의 제한적 역할 수행, 지위 논리 개입 등 복합적인 요인의 결과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French 'minima sociaux', focusing its scheme, benefit determination rule and its level appreciation. First, on the its structure domain, French 'minima sociaux' presents the plural system in which there is eight categorical benefits and one general benefit. Il is the representation of the intention to guarantee minimum income for the dead zone people out of the social insurance application and also a historical product in different period, by different logic of benefits implementation. Second, comparing nine benefits based on the benefit determination rule, level of benefits for the poor without work ability is higher than one for the poor with work ability. Il represents one polarized perception toward for the poor according to have or not its work ability. Third, comparing level of 'minima sociaux' with relative poverty line, the level of the most 'minima sociaux' is placed under the poverty line. Nevertheless, it must not forget that'minima sociaux' plays its role as the fundamental alternative for poverty alleviation, but not the only alternative. Fourth and finally, comparing with minimum income guarantee(SMIC in french), level of RMI benefit is estimated merely on the 50% of SMIC. We can consider that it is the result of the interaction of the complex factors, as the limited role of the state toward the minimum income guarantee for the RMI beneficiary and the intervention the logic of status instead of the logic of need, etc..

      • KCI등재

        프랑스 사회복지정책의 진개과정과 특징: 국가 역할의 변화와 신사회위험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심창학 ( Chang Hack Shim ) 한국민족연구원 2012 민족연구 Vol.0 No.5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rom Social Security Reform in 1945 to present, the evolutions social welfare policies in France and their characteristics. The aspect with which this study is concerned is that of change of state role and the responses to new social risks. The following points were found through this study. First, as time passes, the state role has increased on the side of administration and funding of social welfare in France. Especially, ons of the philosophy of social security reform in 1945 was, based on social democracy, autonomous management by insured persons in social insurance. For it, members of social insurance fund committee are composed by the direct election on which insured persons have participated. However, from the mid-1990s, the method of its composition han changed definitely into designation by the representative organization of the employer and the worker. In addition, the state has increased son power in social insurance funding by the creation of purposive tax as CSG and CRDS and the parliament`s control on the fiscal balance of social security. Second, to the difference of social insurance, the decentralization was dominant in the domain of social assistance and social service (in french action sociale). This phenomenon has began to appear during the socialist government in the first half of 1980. Third and finally, this study has found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policies concerned with the responses to new social risks, especially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In 2000, the CMU has been introduced to protect persons who were excluded from the coverage of health insurance. the rSa, in 2009, has the purpose of overcoming the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problem by introducing the concept ``workfare`` which is dominant in contemporary welfare states. Considering that Korea`s welfare state is faced with dual challenges, namely coping not only the traditional social risks but also the new social risks, this case research gives us many less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