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환위기와 한국경제 패러다임 변화

        심지홍 ( Ji Hong Shim ) 한독경상학회 2011 經商論叢 Vol.29 No.1

        1997년 외환위기는 한국 자본주의경제사에서 정치적 경제적 전환점이다. 평화적 정권교체와 함께 경제 패러다임이 대폭 바뀐다. 외환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국민의 정부는 시장원리와 글로벌 스탠더드를 도입하여 기업, 금융, 노동 및 공공 부문의 개혁을 추진하였다. 그 결과 위기를 무사히 넘겼으나 공적자금의 회수불능, 국부유출, 양극화와 같은 문제점이 등장한다. 국민의 정부를 뒤이은 참여정부는 균형발전을 중점 국정목표로 삼고 양극화 문제를 이슈화하였으며 효율성을 넘어서는 형평성을 추구하였다. 그 결과 기업의 자발적인 투자분위기 조성에 실패한다. 그래서 세수 증대를 통한 사회적 일자리 창출에 열중하였으나 양극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 효율에 장애되지 않는 형평의 배려가 성장에 부담주지 않는 복지를 의미한다. 복지의 시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도덕적 해이를 막기 위한 유인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국민의 정부가 위기극복을 위해 도입하였고 참여정부가 사회통합을 위해 강조한 사회협약모형이 노사정위원회이다. 그러나 노사 간의 합의 부재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노사정위원회의 역할과 존속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외환위기를 전후하여 바뀐 패러다임은 불균형성장 전략에서 균형성장 전략으로, 보호주의에서 개방으로, 정부주도형 산업정책 대신 글로벌 스탠더드의 도입, 관료와 재벌 대신 시장과 외국자본, 간접금융 대신 직접금융 시스템, 그리고 성장 대신 분배이다. 지난 10년간 두 정부가 복지와 형평을 추구하였으나 성장의 둔화와 일자리 창출의 어려움을 겪었다. 현재 진행 중인 글로벌 금융위기는 10년 전의 외환위기와는 다른 차원이다. 외환위기 전후의 패러다임 변화를 조사하고 그 성과와 문제점을 분석한 뒤, 여기서 얻은 교훈으로 어려운 시대를 헤쳐 나가기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준비해야 한다. The 1997 financial crisis is the political and economic turning point in the economic history of korean capitalism. The economic paradigm changed dramatically with peaceful regime change. In order to overcome the financial crisis the People`s Government pushed ahead with reforms of the corporate, financial, labor and public sector by introducing market principles and global standards. As a result, the crisis overcame well enough, but the problems such as irrecoverable public funds, runoff of national wealth, polarization appeared. The Participation Government focused on balanced development of the national policy goal, politicized polarization and sought the equity beyond the efficiency. Consequently voluntarily investment mood of enterprise failed. Therefore the government expanded tax revenue and involved in the job creation of social service sector, but could not solve the problem of polarization. Equity that is not an obstacle to efficiency means welfare that does not give a burden on growth. To prevent the moral hazard generated in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of welfare policy the establishment of incentive system is needed. Social pact model that the People`s Government introduced to overcome the crisis and the Participation Government emphasized for the social integration is the Tripartite Commission. However, has not been activated because of disagreement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Therefore questions are raised about the role and the survival of the Tripartite Commission. The paradigm after the financial crisis is changed as balanced growth strategy rather than imbalanced growth strategy, open policy rather than protectionism, global standards rather than the government-led industrial policy, the market and foreign capital rather than bureaucratic cliques and conglomerates, direct financing rather than indirect financing system, and distribution rather than growth. For the last 10 years, the two governments pursued welfare and equity, but had difficulties in creating jobs and the growth slowed down. Ongoing global financial crisis is a different dimension from the financial crisis 10 years ago. After investigating paradigm shifts and analyzing results and problems, we should prepare for a new paradigm to go out through this difficult period.

      • KCI등재

        사회적 일자리 창출의 문제점

        심지홍 ( Ji Hong Shim ) 한국질서경제학회 2008 질서경제저널 Vol.11 No.1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has done their best in the job creation of social service sector to resolve the jobless growth and the bipolarization problem. For the last five years the budget of 2,244 billion won was supplied. Although for 431,761 persons social service jobs were offered without forming the third sector, only jobs which leaned against fiscal expenditure increased. It is because of moral hazard. To solve this an incentive like workfare system is needed. Motivation will be more helpful to vulnerable class than populism or temporary support. In the example of Germany which is promoting reform program 'Agenda 2010', social market economy of Germany has changed in the direction of reducing welfare system and flexible labor market. As a result, economy grows and unemployment is decreasing.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also promoted job creation as the important policy subject. But not through flexible labor market and reduction of social welfare like Germany,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has concentrated on the creation of social service jobs through social welfare expansion. While the distribution side like the balanced growth and the equilibrium development was emphasized, economic growth was neglected and this is a limit of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However, there is problem in the creation of social service jobs with low productivity. Job creation of the private sector is more effective in bipolarization problem and increasing employment than job creation of social service sector also in the period of jobless growth. The creation of social service jobs is not primary solution of job creation but secondary solution . Probably, the new government has to design incentive system that constructs social security net and welfare system which diminish moral hazard and that promotes workfare system for social integration. Job creation in the social service sector must be promoted in the direction both minimizing government support and helping the common people.

      • KCI등재

        사회적 시장경제: 사회정책으로서의 경제정책

        심지홍 ( Ji-hong Shim ) 한독경상학회 2016 經商論叢 Vol.34 No.4

        사회적 시장경제는 전후 독일 경제부흥의 기반을 제공하였으며, 50년대 말에는 라인강의 기적을 이룩하였고, 60년대 중반 이후 케인즈 학파에게, 그리고 80년대에는 신자유주의에게 자리를 내어주었다가 90년대 이후 다시 세력을 회복한다. 독일식 자유주의인 질서자유주의는 경제, 사회, 정치, 법 등 제반질서의 상호의존성에 기반을 두고 사회정책을 배려하는 경제정책의 실현을 위한 이론적 틀을 세웠으며, 이를 근거로 사회적 시장경제가 탄생하였고 지난 60여년에 걸쳐 시장 효율과 사회 형평 간의 조화를 실현하고자 노력한 결과 사회적 시장경제가 정착된 것이다. 독일통일과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같은 대형 충격에도 불구하고 독일식 시장경제체제인 사회적 시장경제가 사회정책으로서의 경제정책을 훌륭히 수행해 내고 있음이 증명된 것이다. 질서자유주의의 중심인물인 오이켄은 한편 효율성을 위한 경제질서를 지향하며 다른 한편 인간 존엄의 보장과 개인의 자유 하에 스스로 책임지는 삶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는 국가의 역할을 경제질서의 확립과 시장실패의 교정에 두었다. 여기서 경제질서는 사회질서 등 다른 모든 질서와 상호의존관계에 있으므로 사회적 가치와 목표에 순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뮐러-아르막은 사회정책과 경제정책을 분리하는 고전적 이원론 대신 시장에서의 자유와 사회적 형평의 결합이라는 사회적 시장경제를 구상하였다. 오이켄, 뢰프케, 뤼스토, 뮐러-아르막은 사회적 시장경제의 선각자로 불리는데, 이들은 개인의 자유와 인간존엄의 보존이라는 목표를 경제 및 사회질서의 구상으로 도달해야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폭넓은 합의가 되어 있다. 또한 개인원칙, 연대원칙, 보충원칙이라는 사회적 시장경제의 기본원칙에도 이들은 일치된 의견을 보인다. 하지만 이 기본원칙에는 사회정책의 실현을 위한 분명한 행동지침이 없다. 이러한 사회정책에 관련된 불명확성은 유연성, 변동성, 적응력 등으로 표현되고 있다. 지난 60년간 독일이 여러 차례 어려운 시대의 도전을 극복할 수 있었던 것은 사회적 시장경제가 유연하고 적응력이 있었기에 가능했으며, 무엇보다도 세계화 시대를 맞이하여 사회갈등 해소와 생태적 도전에 역동적으로 적응하였다. 그 결과 독일의 사회적 시장경제가 한편으로는 사회적 형평의 후퇴를 초래하였지만 다른 한편 국제경쟁력의 회복으로 새로운 도약과 성장을 이루어낼 수 있었다. The social market economy has provided the foundation for postwar economic revival in Germany, achieved the miracle of the Rhine at the end of the 1950s, gave its place to the Keynesian school in the mid-60s and neoliberalism in the 1980s, and regain power again after the 90s. As German liberalism ordo-liberalism based on the interdependence of economic, social, political, and legal systems, has established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realization of economic policy that considers social policy. On this basis, a social market economy has been born, and over the past 60 years efforts to realize harmony between market efficiency and social equity have resulted in the settlement of a social market economy. It is proved that the social market economy as a German market economy system is performing well as an economic policy as a social policy despite the great shocks such as German unification a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Eucken, the central figure of ordo-liberalism, aimed at an economic order for efficiency, and tried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life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mselves under the guarantees of human dignity and the individual freedom. He put the role of the state in the establishment of economic order and the correction of market failure. The economic order is interdependent with all other orders, including social order, so it must conform to social values and goals. Muller-Armack envisioned a social market economy as a combination of freedom in the market and social equity, instead of classical dualism that separates social and economic policies. Eucken, Ropke, Rustow, and Muller-Armack are called pioneers of the social market economy. They have a broad consensus that the conception of economic and social order must reach the goals of individual freedom and the preservation of human dignity. They also agree on the basic principles of social market economy, such as individual principle, solidarity principle, and supplementary principle. However, these basic principles do not have clear action guidelines for the realization of social policy. This ambiguity related to the social policy is represented by flexibility, volatility, adaptability, etc. Over the past six decades, Germany has been able to overcome the challenges of several hard times because the social market economy is flexible and adaptable. Above all, in the era of globalization, it dynamically adapts to social conflict resolution and ecological challenges. As a result, Germany`s social market economy led to a retreat of social equity on the one hand, but on the other hand a new leap and growth could be achieved with the recovery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 KCI등재

        이명박 정부의 서민금융정책: 출범 초기 1년간의 정책 분석

        심지홍 ( Shim Ji Hong ) 한국질서경제학회 2009 질서경제저널 Vol.12 No.2

        After the Lee Myung Bak Government started the Small-Loan Policy is activated on a large scale. The Debt Regulation and Elimination of Overdue Record are accomplished by the New Start 2008 Project, and Micro Credit and Micro Insurance enterprise are expanded by establishment of Microfinance Foundation. The government intends to make the Moral Hazard smaller as possible, but Debt Regulation, Transfer of the high rate to the low rate, Elimination of Overdue Record will give negative Incentive to the person with low trust. Inspite of regulation of illegal Private Finance, illegal Loan Sharks don't decrease. The best plan to remove the illegal Loan Sharks is expanding the Micro Credit Bank. But if it's impossible to stop the Moral Hazard then the Micro Credit Bank will fail. To stop increasing the people with low trust, the government has announced the education for financial trust but there is no concrete contents. Over all these problems trust is the only solution. There is needed the education that individual trust can build only by oneself not by government. After all, Small- Loan Policy which gives a proper motivation and will not increase the Moral Hazard must be accomplished.

      • KCI등재

        한국 노동시장의 현안: 외환위기 극복 이후 참여정부의 노동정책을 중심으로

        심지홍 ( Ji Hong Shim ) 한독경상학회 2008 經商論叢 Vol.26 No.2

        외환위기 이후 노동부문의 구조조정은 노동시장 유연화와 협력적 노사관계를 정착시키기 위해 사회안전망을 구축하고 노사정위원회를 도입하였으나 큰 성과를 보지 못했다. 참여정부 출범이후 성장의 둔화와 함께 양극화 문제가 대두된다. 참여정부 전반기에는 고용없는 성장시대를 맞이하여 사회서비스 일자리 창출과 공공부문 일자리 확대를 노력하였다. 그러나 효율성을 넘어서는 형평성의 추구 때문에 투자가 위축되고 성장이 둔화된다. 참여정부의 후반기에 추진된 비정규직 보호 정책은 불합리한 차별 해소에 기여하는 반면 노동시장 유연화의 후퇴가 예상된다. 따라서 비정규직 보호 외에도 정규직의 유연화에서 해법을 찾아야 한다. 인구가 많고 노조조직률이 낮으며 합의가 쉽지 않은 우리의 경우 사회협의모형이 성공하기 쉽지 않다. 노사정위원회에 기대하기보다는 차라리 노사자율에 맡기고 위법시 엄정 조치하는 것이 노사관계 선진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개발연대의 불균형 성장과정에서 소외되었던 부분이 참여정부의 균형성장 전략으로 보완된 점은 참여정부의 업적이다. 그러나 참여정부는 세계화 이후 전 지구촌에서 벌어지고 있는 경쟁의 이유를 망각하고 경쟁의 결과인 양극화에 너무 매달렸으며, 그래서 성장과 분배 둘 다 좋은 성과를 얻지 못했다. After financial crisis the restructuring labor sector built the social security net and introduced the employee-employer-government committee in order to fix the flexible labor market and the cooperative industrial relations, but the result was not good. With the begin of participatory government the bipolarization problem raises with slowdown of growth. In the period of jobless growth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has done their best in social service work creation and public sector work expansion. However, because of pursuiting the equity which exceeds the efficiency, investment goes down and growth becomes slow. Although the irregular job protective policy contributes to irrational discriminating dissolution, retreat of flexible labor market is expected. We must find the solution not only in irregular job protection but also in flexible regular job. Corporatism is not easily successful in Korea because of large population and low rate of union entrance. On the contrary it will be helpful to leave it to employer-employees autonomy and to take a strict discipline on the illegal activity. Participatory government has forgotten the reason for competition currently under globalization and hangs on the bipolarization which is the result of competition. Therefore both growth and distribution were not successful.

      • KCI등재
      • KCI등재

        서민금융정책의 목표와 과제

        심지홍 ( Ji Hong Shim ) 한독경상학회 2010 經商論叢 Vol.28 No.1

        2002년 대부업법 시행 이후 합법대부업체와 신용대출이 등장하였고, 2006년 서민금융활성화와 사금융피해 방지책이라는 서민금융정책이 추진되면서 서민금융시장이 점차 개선되고 있다. 그러나 서민금융정책의 목표가 불분명하고, 그래서인지 대부업의 상한이자율이 큰 폭인하되었다. 정부는 서민의 이자부담 경감을 위해서라지만 그 보다는 대부업시장에서 배제되는 서민이 증가하고 이들이 불법업체로 갈 위험이 커진다. 바로 신용할당의 증가와 암시장의 팽창이다. 금리규제로는 암시장을 없앨 수 없다. 따라서 금리규제보다는 불법업체 근절과 소외계층배려에 역점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암시장 근절을 위한 최선 방안은 대안금융제도이다. 그러나 대안금융 지원자가 증가하는 도덕적 해이 문제가 대두된다. 즉 신용불량자가 늘어나는 현상으로서 신용사회의 구축에 역행한다. 따라서 도덕적 해이를 막을 수 있는 대안금융제도가 필요하다. 서민금융시장은 신용이 거래되는 시장이며, 서민 중에서도 저신용자의 문제 해결은 쉽지 않다. 따라서 서민금융정책은 단기적 시각보다는 신용교육, 신용정보, 신용평가제도와 같은 장기적 과제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The Small-Loan Finance Market became improved by enforcement of the Consumer Loan Finance Law of 2002 and pushing ahead of the Small-Loan Finance Policy. However, the target of the Small-Loan Finance Policy is not clear. The government decreased the ceiling rate of the Consumer Loan Finance to reduce the ordinary people`s burden of interest. In result, the ordinary people, excluded from the Consumer Loan Finance Market, continues to grow, and the risk will increase for them to go to illegal business. It means the increase of the credit rationing and the expansion of the black market. It is impossible to eliminate the black market by the regulation of interest rates. Therefore, it might be better to focus on rooting out of the illegal business and care of the low-income bracket. The best way to root out the black market is an alternative finance institution like Micro-credit bank. However, it might cause a problem of moral hazard by increasing of applicants. That is the phenomenon of increasing credit delinquents, and it goes against the building of the trustworthy society. Thus, it needs the alternative finance institution that prohibits the moral hazard. The Small-Loan Finance Market is a place where the credit is transacted, and it is not easy to resolve the problem of the credit delinquents. Therefore, the Small-Loan Finance Policy should approach the long-term projects including the credit education, the credit information, and the credit-rating system than the short-term vision.

      • KCI등재

        글로벌 금융위기와 질서자유주의: 질서자유주의의 시각에서 본 금융시스템 개선방안

        심지홍 ( Ji Hong Shim ) 한독경상학회 2013 經商論叢 Vol.31 No.4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발발 원인 중 하나인 금융시스템의 실패를 조사하였다. 개별이익의 추구가 시장을 통하여 전체 이익으로 연결된다는 자유주의 사상은 이번 금융위기에서 맞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은행은 개별이익을 챙겼으나 전체이익에는 피해를 준 것이다. 이처럼 이윤은 사유화하고 손실은 사회화할 수 있었던 것은 잘못된 유인체계와 규제 실패 때문이다. 기업지배구조, 성과급 구조, 파생금융상품과 대형은행의 대마불사가 그것이다. 질서자유주의는 개별이익과 전체이익 간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대책으로 경쟁질서 정책을 제시한다. 특히 책임원칙을 제도화하고 외부성의 해결을 위한 유인체계를 보완·설계할 것을 요구한다. 자본주의에 대한 낙관적 전망을 위해서는 양적 성장을 질적 성장으로 대체하고, 양적완화 정책이 금융성장이 아닌 실물성장에 기여하도록 하며, 금융부문과 실물부문의 조화가 복원될 수 있도록 금융의 카지노화를 규제해야 한다. 첫 번째 자유방임 시대가 산업전반의 독과점 형성으로 종말을 고했듯이 이번의 두 번째 자유방임 시대도 금융산업의 독과점으로 위기에 봉착하였다. 자유방임은 독과점에 취약하므로 미국식 자유주의는 질서자유주의로부터 경쟁질서정책과 책임원칙을 배워야 한다. 또한 외부성에 대한 유인체계의 설계도 필수적이다. What will the failure of financial system which is one of the causes of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Liberal ideology in which the pursuit of individual interest connected to social interest through the market turned out not to fit in current financial crisis. Bank has got individual profit and put damage to social profit. Thus, because of incorrect incentives and regulatory failure, the privatization of profits and socialization of losses could be done, and corporate governance, compensation system, derivatives, too big to fail are these. In order to solving the conflict between individual profit and social profit, ordoliberalism suggests to institutionalize the competition order policy and responsi- bility principle and to map out incentive systems for solving externalities. For optimistic prospects of capitalism, qualitative growth should be substitute for quantitative growth, quantitative easing must contribute to real sector growth, financial growth must be regulating, and harmony between financial sector and real sector must be restoring. Like the first era of laissez-faire ends early because of the monopoly of industry, the second era of laissez-faire is in crisis because of the monopoly of financial industry. Being as laissez-faire is vulnerable to monopoly, american liberalism must learn competition order policy and responsibility principle from ordo-liberalism. And mapping out incentivies for the externalities is essent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