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전기 국행수륙재 찬품 연구 ―진관사 수륙재 의례음식의 맥락론적 접근―

        심일종 국립민속박물관 2019 민속학연구 Vol.0 No.4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Suryukjae,'(a Buddhist ritual held for the dead who do not have its descendents) designated as a national intangible property and performed in various Buddhist temples in contemporary Korea, in terms of contestation process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 order to explain the contestation process, I pay a specific attention to food offerings which are differently arranged with reference to each section of the ritual. Food offerings which are served in a ritual setting would contain religious meanings. It is, therefore, expected that Confucian scholars during the Joseon dynasty tried to modify the ritual process of ‘Suryukje’ by reference to the ritual system of Confucianism. I believe that the examination of changes and continuities in this period is important for understanding the cultural meaning of Suryukjae performance in modern Korea such as "Samhwasa Suryukjae" and "Jinkwansa Suryukjae," both of which are designated of national intangible properties. Methodologically, the study depends on such concepts as ‘Syncretism’ and Kant’s ‘Verbindung’ which are suitable for the analysis of how Suryukjae has been formed by the process of contestation and compromise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본 연구는 현대 한국사회에서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기도 하고 또 여러 사찰에 설행되고 있는 ‘수륙재’를 조선전기 유·불 의례 교체기의 맥락에서 논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여기서는 특히 조선전기 수륙재 의례 과정 속에서 의식(儀式)의 종류와 대상 및 의식의 장소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는 의례음식에 주목하고자 한다. 주지하다시피 수륙재(水陸齋)는 설단을 갖추고 장엄과 작법이 있고, 공양시식 등이 여러 날 연속되는 종합적 연행 의례라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그 재장(齋場)에서 공양되고 베풀어지는 의례음식 또한 종교적으로 함축된 의미와 상징을 담게 된다. 그런데 고려에서 조선으로 이행하는 정치적 변화에 편승한 성리학적 유교의례체계에서는 관습적으로 전승되고 있던 불교의례에 대한 손질 또한 불가피한 수순에 놓이는 양상이었다. 그렇다면 망자의 죽음의례를 위해 설행되는 수륙재에서 구체적으로 무엇이 어떤 과정을 거치면서 변화 혹은 지속을 보이고 있었는가는 검토가 필요한 작업일 것이다. 무엇보다 이 작업이 중요한 또 다른 이유는 본 연구가 조선전기의 연구임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제125호 「삼화사 수륙재」나 제126호 「진관사 수륙재」는 직접적으로 조선전기와 맞닿아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특히 수륙재 의례음식인 찬품(饌品)의 종류와 기물의 수 등은 본 사찰의 문헌적 기록이 거의 전하지 않아서 『조선왕조실록』 세종 2년(1420)의 국행 수륙재를 원용하는 실정이라는 점에서 또한 그러하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당시의 문헌 기록이 전하는 찬품을 둘러싼 의식(儀式)의 맥락을 집중적으로 추적해보고자 하였다. 이 때 수륙재 의례음식 이해의 이론적 논의나 개념은 “혼합(Syncretism)”을 기본으로 하여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에서 언급한 “결합(Verbindung)”의 지성작용 개념을 차용하여 분해와 분석의 도구로 삼았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본 연구는 조선전기의 수륙재는 유교의 정통론과 정통행에서 비롯된 반불교적 의례라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궁극적으로 유·불 의례가 경합하고 갈등하면서도 한국의 의례음식 교류사의 측면에서 종합적이고 통일적 표상으로 전환되어 갔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이러한 혼합과 결합의 종합적 표상은 구체적으로 원경왕후 민씨를 위한 국행 수륙재의 찬품 사례로 들었던 ‘증반’, ‘유과’ 그리고 ‘두탕’을 통해 일정부분 해명되었다고 본다. 이는 바로 두 왕조가 서로 교차하고 융합하고 공존하는 가운데 펼쳐진 접촉의 사건들 속에서 유·불 의례 사이의 경계가 새롭게 해석되고 설정되는 것을 실례로 보여주고 있다고 본다.

      • KCI등재

        다종교시대 한국현실과 불교의 대응

        심일종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3 불교문예연구 Vol.- No.21

        This paper examined who and how Buddhism should deal with Korean reality in the multi-religious era. In this process, Taiwanese Buddhism and Japanese Buddhism, which can be mirrors of Korean Buddhism, were mentioned in the Buddhism area in East Asia. Rather than trying to exploiting Taiwanese Buddhism and Japanese Buddhism, it focused on the aspect of practical values that emerged as advantages in each Buddhist social environment. Therefore, we discussed our response to reality by mentioning Taiwanese Buddhism’s leadership and Japanese Buddhism’s syncretism as something that can be used by referring to the situation of Korean Buddhism today. Chapter III examined the response of Buddhism in terms of historical and realistic aspects of Korean Buddhism. It was divided into the items of internal improvement and external combination of Korean Buddhism, and what should be done for “righteous Buddhism” and “life-living Buddhism” was mainly focused on major Korean denominations and monks. For righteous Buddhism, it pointed out the problems of the ‘Jongmu[宗務]’system today through ‘Temple Order[寺刹令]’and ‘Taegosa Act[太古寺法]’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also asked whether Korean Buddhism, which is a prioritizing “traditional” religious precepts, is right for modern times. This is in line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Buddhism centered on Zen[禪/禪法] can find a clue to the solution only when it descends to the city center where Buddhists and ordinary people live. 본 논문은 다종교시대 한국 현실에서 불교가 누가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동아시아 대승불교권에서 한국불교의 거울이 될 만한 대만불교와 일본불교를 언급하였다. 대만불교와 일본불교를 본격적으로 살피고자 한 것이라기보다 각각의 불교사회적 환경에서 장점으로 부각되는 실천적 가치의 측면에 주목하였다. 그래서 오늘날 한국불교의 실정에서 참고하여 쓸 수 있는 것으로 대만불교의 리더십과 일본불교의 혼합주의(→혼합현상)를 거론하면서 우리의 현실대응에 대한 논의를 해 보았다. 본격적으로 Ⅲ장에서 한국불교의 역사적이고 현실적인 측면에서 불교의 대응을 점검해 보았다. 한국불교의 내적 개선과 외적 결합이라는 항목으로 나누어 주로 한국의 주요 교단과 승려들을 중심으로 ‘바른불교’와 ‘생활불교’를 위해 무엇을 해야는지를 짚어보았다. 바른불교를 위해 멀리는 「사찰령」이나 「태고사법」을 통해 오늘날 종무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하였고, 또한 생물학적 인간의 조건을 스님들의 ‘전통적’ 계율 우선주의식 한국불교가 과연 현대에도 옳은지를 물어보았다. 이는 선(禪)과 선법(禪法) 중심의 불교가 불자와 일반인들이 사는 도심으로 내려올 때, 비로소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물음과도 일맥상통한다고 할 것이다. 한편 생활불교를 표방하면서 외적 결합으로 혼합주의를 넘어서 창조적 혼합현상에 주목할 것을 주장해 보았다. 혼합현상으로써의 생활불교는 큰 무엇이 아니라 우리 불자들의 마음을 구하는 일에서 시작된다고 보았다. 현대인들 모두에게 도사리고 있는 잠재적 위험인 불안은 외부로부터 온다. 이 불안을 부처님의 마당에서 극복할 수 있도록 공간과 장소를 내어주는 것이 생활불교의 첫걸음이라고 본 것이다. 그것은 혼자만의 마음치유가 아니라 대중들과 함께 공공의 선을 실천하는 일에서 시작해야 할 것이다. 우리가 그때에야 비로소 우리가 살아가는 지금의 문제를 해결하는 불교를 만나게 되는 것이다.

      • KCI등재

        영등신을 위한 음식-강원도 동해안의 계절과 기후를 반영한 ‘대게’와 ‘게탕’을 중심으로-

        심일종 한국종교학회 2024 宗敎硏究 Vol.84 No.1

        본 연구는 한국의 세시풍속이 한국인들이 공유하는 인식으로 바탕으로 하지만, 한편으로 2월 영등과 같이 지역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설행되는 의례에 주목하였다. 제주형, 해안형, 내륙형이라는 기존 생태학적 영등신앙의 논의에 도움을 얻어 이를 보다 더 세분할 수 있는 문화요소인‘음식’에 주목하였다. 그 결과 동해안 지역의 동해와 삼척 일대에서 대게와 게탕이 내방신인 영등할머니와 딸 그리고 며느리를 위한 계절적으로 선택된 정성의 음식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시한 동해안 영등의례는 해안형 가운데 동해안에서처럼 각자의 집안의 의례로 행하고 있었다. 그런 연유로 실제의 사례를 통해 볼 때, 의례의 시간과 그 시각에 담는 의미도 달랐고, 의례 주체가 마련하는 의례음식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그중에서 영등할머니의 신격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느냐에 따라서 수저의 수가 달라지거나 메[밥]와 갱[탕]의 숫자가 다를 수 있음을 보았다. 그러나 의례음식에 있어서 어물 특히 대게와 ‘게때리미’는 공통적으로 진설되고 있었다. 이 의미는 영등할머니와 연결되는 음식의 물질문화적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문화생태학적으로 환경에 적응하는 문화라는 의미를 덧붙일 수 있겠다. 영등은 일반적으로 바람과 비를 몰고 오는 ‘2월의 불청객’으로 알려져, 이 신들을 정성껏 모시는 의례이다. 이 신격은 농민이나 어민으로서는 얼른보내버리고 싶은 손님으로 보일 수도 있다. 이 손님이 하루도 아니고 열흘, 보름, 이십일 심지어 그믐날까지 있다는 것은 그만큼 일상의 농사와 어업을 해야 하는 사람들에게 곤혹스럽기 짝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 신격을 대충 모시는 것도 예의는 아니다. 주부로서는 생업인 농사 혹은 어업이 풍년이 들고 풍성하기를 기원할 수밖에 없을 것이 때문이다. 이 정성으로써 동해안 사람들은 음력 2월에 살이 오른 대게와 게탕을 영등신을 위해 올리는 것이다. 영등의례는 계절과 기후를 겸한 물질문화로 인하여 동해안 사람들은 바람과 비가 몰아쳐도 심리적 안정을 취하면서 살아가게 됨을 살펴보았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customs of Korea function as a common sense of sharing enjoyed by Koreans, but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s such as Yeongdeung in February. With the help of distinguishing the existing ecological spiritual beliefs of Jeju type, coastal type, and inland type, I paid attention to "food,” a cultural element that can further subdivide them.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snow crab and crab soup were seasonally selected food for ‘visiting God’ “Yeongdeungpungsin grandmother”, daughter, and daughter-in-law in the Donghae area and Samcheok area of the East Coast. Among the coastal types, the three cases of Yeongdeung ritual on the east coast presented were held in their own families as on the east coast. For this reason, in actual cases, the time of the ritual and the meaning of the time were different,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itual food prepared by the ritual subject. Among them, it was seen that the number of spoons may vary or the number of Gang [tang] may differ depending on how you think of the god of Grandma Yeongdeung. However, in common, fish, especially snow crab and “crab soup” were commonly displayed in ritual foods. This meaning was the appearance of a material culture that was connected to the Yeongdeung grandmother as well as the socio-cultural meaning that each person valued. On top of that, I could think of the cultural element, which means a culture that adapts to the environment in terms of cultural ecology.

      • KCI등재

        감나무 식생분포로 본 감의 가치 연구: 유교 제사음식 과물(果物) 이해를 위한 시론

        심일종 한국문화인류학회 2020 韓國文化人類學 Vol.53 No.3

        This paper is a historical anthropological discussion that examined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the phenomenon, which is often linked to ritual food for ancestors in Confucian culture when calling persimmons or persimmons in Korean culture, to this day through field and literature research. In the process, the discussion developed by asking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the material and social status of the persimmons prior to the Joseon Dynasty was what it was like. Second, the focus was on when persimmons in Joseon’s ancestral rites could be regarded as raising the level of value as a ritual food. Finally, after the 20th century, the status or value of persimmons as ritual food was revealed and the cause of the food was considered where to find it. As a result, persimmons prove it by tracing that today’s private Confucian ritual foods were not “gift” from the beginning with a heart of devotion for ancestors and “value.” It is also important to consider that the virtues of persimmons derived from Chinese culture are understood in connection with the process in which the passages are quoted/released and admired by Confucian scholars from Goryeo and Joseon. Of course, the fact that Hongshi[紅柿] and Gunshi[乾柿] were enshrined in the Jongmyo (宗廟) rite during the Joseon Dynasty also contributed to the fact that persimmons had a certain effect on enhancing the ritual value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process, we looked at how persimmons were functioning in society. Finally, during the Joseon Dynasty, various aspects of persimmons were examined to be used not only for ceremonial purposes, but also for bribery, diplomatic supplies, medicine, first aid, and oral conditions. As persimmons became more valuable, historical records showed that the vegetation distribution of persimmons was also moving northward, and discussions were conducted. This means understanding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persimmon and persimmon trees in the 20th century and the exchange economic system. 본 논문은 한국문화에서 감이나 감나무를 호명할 때, 흔히 유교문화에서 조상을 위한 제사음식으로 연결되는 현상이 어떤 역사적 궤적을 거쳐 오늘에 이르렀는가를 현장조사와문헌조사를 통해 검토한 역사인류학적 논의이다. 그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지면서 논의를 전개해 나갔다. 첫째는 조선시대 이전 감의 물질적·사회적 위상은 어떠하였는가에 두었다. 둘째는 감은 조선의 ‘조상제사’에서 언제부터 의례음식으로 ‘가치의 층위(level of value)’를 높여나간 것으로 볼 수 있는가에 방점을 두었다. 끝으로 20세기 이후 의례음식으로서 감의 위상이나 가치는 어떤 양상으로 나타났고 그 원인을 어디에서 찾아야 할지를 고민하였다. 결과적으로 보면 감은 오늘날 민간의 유교 제사음식에서 처음부터 조상을 위한 정성의 마음으로 물화(物化)되고 “가치(value)를 지니는 선물(gift)”이 아니었다는 것을 추적하면서 그것을 입증하고 있다. 거기에는 중국문화에서 파생한 감의 덕성이 고려와 조선의 유학자들에 의해 그 구절들이 인용/재인용되고 예찬되는 과정과 연계되어 이해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물론 조선시대 종묘의례에 홍시와 건시가 천신되는 것도 결과적으로조선 후기를 통과하면서 감이 그 의례적 가치를 높이는 데 일정한 영향을 주었다고 보았다. 다만 단순히 종묘에 천신하는 것에 국한하지 않고 조선 전기와 후기의 몇몇 진설도를 활용하여 감이 의례용으로 쓰일 수 있는 문화적 조건들에 대해 논의하면서 『조선왕조실록』이나『소학언해』, 그리고 조선 후기 유학자들이 남긴 문집의 글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이과정에서 감이 사회 속에서 어떻게 기능하고 있었는지를 살폈다. 끝으로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감이 의례용뿐만 아니라 뇌물이나 외교물품 및 약용, 구급 그리고 구황에 쓰이고 있음을다각도로 점검하면서 감의 가치가 높아가면서 감나무의 식생분포도 또한 북상하고 있다는점을 역사적 기록을 통해 지도에 그려가면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는 20세기 일제강점기 감과 감나무의 생산과 유통 및 소비와 교환경제체계를 이해하는데 의미를 준다고 하겠다.

      • KCI등재

        현대 한국의 조상의례문화 연구―실천의 현장에서 바라본 조상론

        심일종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19 불교문예연구 Vol.0 No.14

        This is a study that focuses on a culture in which ancestors are remade, worship, and pray as a central object among the rituals observed at the site of modern Korea. Ancestors are becoming deities that emerge from Buddhism, Confucianism, and various new religions that spread in the 20th century. Given the history of so-called Western religions such as Catholicism and Protestantism taking issue with the ancestor issue in the early days, it is clear that the trend these religious believers carry their ancestors comprehensively is "Korean." This study attempts to capture the individuality of the ritual culture of modern Koreans when combining ritual and ancestor. At this time, data will be organized on the basis of on-site research, which will be mainly used in anthropology and folklore, including the voice of several informants. Meanwhile, the perspective of the study was to take into account the context and function of each religion as much as possible, but to be formal at the point of common and comparison of modern ancestral rites. As a result, this study records and describes the sites of Buddhism and new religion, focusing on the controversial aspects of Confucian rites and their modern variations. This, of course, leaves open the door that Buddhist ancestral rites can be used as the main focus to discuss other religious areas. Including my aspects of these studies, the text discusses ancestral rites by dividing them into the subject subjects, the person who practices them, the place, and the time. 본고는 현대 한국의 현장에서 실천되며 관찰되고 있는 의례 가운데 조상을 중심대상으로 재(齋)하고 제사(祭祀)하고 기도하는 문화에 주목한 연구다. 조상은 불교, 유교 및 20세기에 확산된 다양한 신종교들의 의례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신격이다. 초기 천주교나 개신교 등 소위 서양에서 유입된 종교가 이 조상문제를 쟁점 삼았던 역사에 비추어보면 현대 이들 종교 신앙인들이 조상을 포괄적으로 안고 가는 흐름은 분명히 ‘한국적’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본고는 20세기의 의례와 조상을 결합하였을 때 보이는 현대 한국인들의 조상의례문화의 개성을 포착하려고 하였다. 이 때 방법론적으로 인류학·민속학에서 주로 활용하는 현장연구를 기초로 자료를 구성하였고, 여기에는 몇몇 현장 제보자들의 목소리를 담기도 했다. 또한 연구의 시각은 가급적 각 종교의 맥락과 기능을 감안하되, 현대 조상의례문화의 공통점과 비교의 지점을 ‘예속(禮俗)’의 변용이라는 측면에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의 제 측면을 포함하여 본문에서는 조상의례를 대상 신격인 조상 및 그 실천 주체, 장소성, 그리고 시간 및 세시 등으로 나누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조상의례 가운데 유교 가례와 그 현대적 변용에서 쟁점이 되는 부분이 불교나 신종교의 현장에서 특별히 강조되고 있지는 않아 보였다. 가령 모시는 조상을 보면, 불교 합동차례에서는 고/비(考/妣)와 고인이 된 형제자매가 절대다수였고, 주인의 조고/조비 혹은 그 이상의 대수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비해 무교는 상대적으로 모시는 조상의 대수가 올라가기도 했다. 그런 만큼 조상을 모시는 대수의 문제는 비록 현대에도 각 종교에서 중요하게 고려할 필요는 있어보였다. 한편 재와 제를 행하는 시간과 장소의 예속 변화도 쉽게 감지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각 종교의 철학적․사상적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현대 우리사회의 조상론적 쟁점에 대한 종교계의 실천적 논의가 미진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조선후기 ‘이사(里社)’의 도입과 마을성황사의 유교적 진전-동해 「삼화동신사중수기(三和洞神祠重修記)」 연구-

        심일종 국립민속박물관 2018 민속학연구 Vol.0 No.43

        This article seeks to explore how Samhwadongshinsa of Donghae-si emerged and became consolidated into a folk religion by analysing the restoration record in the village shrine. The analysis is geographically contextualised and set in the ideological framework of Confucian nation. This study takes the view that the emergence of village guardian shrines has a different historical background to the Confucian rituals that were performed at the county and township level. This leads to the question of when the village guardian worship ceremony of Donghae region started and how the relevant deities came about. It is found in this study that the Confucian development of the late Joseon period promoted the folk-religious consolidation of village guardian worship ceremonies. Also, the significance of the ceremonies has changed through history and differed across villages in the same region. In terms of methodology, the limitations of overemphasising the ceremonial procedures and relying on interviews could be overcome by investigating the textual records of village shrines. This article’s case study of Sangchon village in Donghae-si involved textual analysis of 「Samhwadongshinsajungsugi(三和洞神社重修記)」. The investigation showed that, in the case study, the general trend of Confucian progress during the late Chosŏn period was materialis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isa system. 본고는 한국의 공동체 신앙의 큰 버팀목이 되어왔던 마을제당을 추가로 하나 더 소개하는 데 머물지 않고, 그곳에 남아있는 중수기(重修記)를 통해 유교국가의 이념적 틀에서 조선후기 동해시 ‘삼화동신사’의 출현배경과 민속신앙화의 양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지역적 맥락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마을 단위에서 제향하는 성황사의 출현이 조선시대 군현단위에서 운영되던 단묘(壇廟), 즉 사직단, 문묘, 성황단, 여(제)단에서 제사하는 유교 의례와는 조금 다른 역사적 맥락을 갖는다고 보는 입장이다. 그로 인해 오늘날 동해 지역에 전승되는 마을 성황제는 언제부터 있었는가와 같은 물음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어떤 과정을 통해 ‘성황지신’, ‘토지지신’, ‘여역지신’을 모시게 되었는지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물론 본고를 통해 그 물음들이 말끔히 해소되었다고 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마을 단위에서 전승되는 성황제가 조선후기 유교화의 진전에 따라 민속신앙화가 한결 더 추동되고 있었다는 점은 밝히고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마을 성황사가 지닌 위상이 시대에 따라 변화를 겪을 뿐만 아니라 지역 내의 마을과 마을의 관계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일 수 있다는 점을 본고에서도 확인하고 있다. 그래서 역사적 이력을 지닌 마을성황제[洞祭]의 경우 오늘날 그 마을이 처한 상황과 제의의 현장과는 결이 다른 인식론적 기반이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생긴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마을제당의 기록물을 통한 연구방법론은 자칫 마을성황제의 과정에만 주목하거나 마을 제보자의 기억과 구술에 의존할 때 발생하는 성급한 판단을 보완하면서 지역적 차원의 이해로 나아가는 길일 수 있다. 특히 오늘날 정치경제적, 사회문화적 변동 속에서 전통의 공동체 의례가 축소되는 가운데서도 지속되는 동해시 지역의 ‘성황제’의 역사민속적 의미와 가치를 입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본다. 본고는 2장에서 동해시 삼화동 6통 상촌마을의 입지와 유래 및 현재에도 전승되는 마을제사에 대해 개관을 할 것이다. 3장에서는 이곳의 제당에 전해지고 있는「삼화동신사중수기(三和洞神社重修記)」를 해석하고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성황사 본당의 주심도리에 쓰여진 ‘이안기(移案記)’를 통해 그 역사성을 되짚고자 한다. 그 결과 이 작업은 19세기와 20세기 삼척부(三陟府)의 마을신앙의 진전을 알리는 ‘중수’와 ‘이안’에 앞서 유풍(儒風)의 사회적 승인의 원인으로 도입된 ‘이사(里社)’제도를 통해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유교민속’의 신앙화 논의를 가능케 하였음을 보이고자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 다루는 ‘성황제’는 유교화의 진전이라는 조선후기의 보편적 논의를 담되, 지역적 특수성의 측면에서 삼척부에서는 구체적으로 ‘이사제’ 도입과 실천으로 표상화 되었음을 밝혀보고자 한다. 한편 오늘날 비록 삼화동 성황사가 ‘상촌마을제당’의 제사로 지역적 범위와 주재집단이 축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곳의 오랜 전통은 성황신으로 대신되는 신격이 기복과 기우는 물론이고 자손의 운수와 마을의 안녕을 좌우한다는 공동체의 강한 믿음체계를 담지하고 있음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것이 유교적이냐 아니냐를 떠나서 그리고 효험이 있느냐 없느냐를 떠나서 땅에 붙어 살아갈 수밖에 없는 자들에게 있어서 대체할 만한 적합한 신들이 있지 않는 한 토지신과 ...

      • KCI등재

        유교 제례에 담긴 조상 인식의 다면성 연구

        심일종(Sim, Il Jong) 한국역사민속학회 2016 역사민속학 Vol.0 No.50

        유교전통에서는 사후세계에 대한 말을 삼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여기에는 오히려 삶과 죽음이 서로 떨어져있지 않고 함께 있다는 인식이 개입하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말하자면 사람이 죽은 다음의 세계에 대해 부정한다기보다는 사후존재에 대한 독특한 인식을 바탕으로 후손들의 삶 속에서 용해시키고 있다. 유교에서는 이 사후존재를 ‘조상’이라고 한다. 그리고 그 조상을 섬기는 일을 곧 ‘제사’라고 부른다. 본 연구는 먼저 조상을 제사하는 조선의 문화적 체계에 주목할 것이다. 이 때 조상은 누구이며, 조상을 어떻게 제사하는가에 대한 조선 성리학적 이념을 먼저 다룰 것이다. 이는 기존의 연구에서도 다루어진 바가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를 조상에 대한 인식 즉 조상인식의 문제로 접근하여, 그것이 신분계급 그리고 시대에 따라 어떤 지점에서 차이지고 구별되고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생명의 차원에서 보면, 한 개체가 사후에 ‘혼(魂)’과 ‘백(魄)’으로 분리되어 일정한 기간 제사 대상의 존재로서 인지된다는 점에서는 차이와 구별을 생각하기는 쉽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자손/후손들에게 죽음 이후에도 그 개체가 ‘살아있는-죽은(living dead)’ 존재로 인식되고 동시에 조상의 위상과 격에 있어서 인식차이를 보인다면 그것은 곧 해명을 필요로 하는 문제라고 본다. 직접적으로 이 문제는 조선의 유교제례 전통이 오늘날 현대 한국에 전승되는 마당에서 그 과정이 능동적이든 수동적이든 지속과 변형을 겪는 의례 속에서도 발견된다는 점 때문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유교 제례는 ‘생신제(生辰祭)’와 ‘성주상[成造床]’을 놓는 기제(忌祭) 그리고 ‘시제(時祭)’다. 이 의례들을 『주자가례』의 기준에서 분류하려고 하면 조금 곤란한 지점이 있다. 말하자면 삼년상을 치르고 나서도 돌아가신 분의 생일에 제사하는 생신제가 ‘녜제(禰祭)’에 포함될 수 있는지가 이론이 있을 수 있고, 기제사에 가택신을 위한 성주상을 차리는 풍속도 ‘가례’에 없는 전통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묘제중심의 시제 또한 ‘가례’에 언급된 사시제와는 명칭만 유사할 뿐 제사 대상이나 제사 시기 및 제사의 장소에서 차이를 보인다. 물론 주자 또한 ‘가례’에서 “예법이란 때[時]가 중대한 것”이라고 말한바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시속에 따르는 유교의례의 기본 입장에서 볼 때, 본 논고에서 다루는 제례를 유교제례가 아니라고 말할 수는 없다. 또한 조선 유교의 내면화 과정에서 토착의 풍속과 습합된 측면에 있어도 비슷한 논리로 긍정될 수 있다고 본다. 이렇게 현대 한국의 제례 현장에서 발견되고 있지만 그 역사적 기원이나 연원의 인과성이나 상관성을 바로 연결시키기 어려운 상황에서 ‘유교민속’이라는 개념을 통해 유교의 시의성 내지 현실성의 적소적 교두보를 마련하고자 했다. 이 개념은 현실을 외면하고 옛 예법의 전통만을 고수하려는 태도가 아니라, 유교적 ‘효’로 조상신과 대면하는 감정과 정성으로 마련한 제물과 그 의례를 향한 마음까지도 포함하려고 하였다. 본고에 등장하는 인정, 의리, 미안 등이 그러한 감정과 마음을 담는다. 그래서 유교민속은 곧 조상과 제사를 통해 교류하는 자손/후손들의 조상인식이 직접적으로 닿아있는 오늘날의 유교제례의 중요한 문화적 의미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인류학, 민속학에서 주로 활용하는 현장연구를 기초로 역사적 접근을 시도하면서 현대 한국 사회의 유교 제례의 다양한 측면도 아울러 부각시키려고 하였다. 이는 종교 연구의 구조적 입장에서 조상이 우선이라는 생각을 파기하는 것이 아니라, 당대를 사는 자손들이 혈적(血的), 족적(族的) 친연성을 통해 가족․친족 관계를 공고히 하는 모습이 면면히 이어져오고 있음을 중시하고자 한다. 즉 의례 실천적 측면에서 보면, 살아 숨 쉬는 자손들이 현실에서 자신들의 조상을 기억하고 제사를 지내거나 추념하는 의례로 그 경건성을 지키며, 동시에 자신들의 유한성을 배우는 계기가 곧 유교 제례의 중요한 특징임을 현장의 문화 속에서 보이고자 했다. In Confucian Tradition, mention on the world after death is generally avoided. In that attitude lies the understanding that life and death is not separate but coexistent. In other words, Confucianism does not deny afterlife. Rather it connects descendant"s lives with post-mortal being, based on distinct philosophical thought.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onfucian ancestral ritual(祭祀) within the cultural system of Joseon Dynasty. First, I will review various aspects of ancestors in the Neo-Confucian tradition. Especially I will approach this topic from a new viewpoint, namely in terms of “perception(or understanding) on the ancestor”. At a glance, it is not easy to perceive that each “living-dead” ancestor is a distinct being with respective rank. But it is realized as true in a ritual field. So we need to explain what produces the variation of "perception on the ancestor". This is an important issue because the ancestor ritual has undergone consistent deformation in Modern Korean Confucianism. I deal with three categories of ancestral rites, which are ‘SaengSin-Je’(生辰祭), ‘Ki-je’(忌祭) sharing a table for the deity of their family, and ‘Si-Je’(時祭). These ancestral ceremonies cannot be classified properly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classification system of confucian ritual, ‘Zhuxi Garye’(朱子家禮). But these rituals are the products of historical appropriation, which emerged from the process of internalization of Neo-Confucianism Family Ritual within Korea. These new rituals have been performed since late Joseon Dynasty, and developed into a traditional family ritual system of Korea. I define this modern syncretic situation as “Confucianism Folklore”(儒敎民俗). I will demonstrate that the performance and procedure of ancestral ritual is rooted in a principle of Confucianism filial duty(孝) and respect(or care) for ancestors. I will conclude that these three Confucian family-kinship rituals are ontological caring for the ancestors practiced by modern Koreans.

      • KCI등재

        코로나19 시대 민속종교의 반응과 대응 : 의례에서 ‘불순한’ 객체의 힘과 최소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심일종 ( Sim Il Jong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21 종교문화비평 Vol.40 No.40

        본 연구는 전지구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감염병인 코로나19[COVID-19]가 불러일으킨 영향력이 종교행위는 물론이고 향후 종교 내지 종교연구의 방향성과 좌표에 끼칠 변화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다룬 주요한 의례는 일상 속에 ‘스며들어 있는 종교(diffused religion)’로서의 민속종교(folk religion)가 처한 운명에 대해서였다. 즉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대 한국의 민속종교 의례와 의례 주체들의 반응을 관찰하고 이 상황에 대응하는 논리에 주목해 보고자 한 연구다. 연구의 방법론은 몇몇 민속종교가 처한 현재적 상황을 비교의 측면에서 다루되, 코로나19 상황에서 민속종교 각 의례 디자인(ritual design)에 관한 기본적 가정과 일반적으로 공식화되어 있는 의례의 “지침(guidelines)”을 기반으로 비교하고 논의하였다. 한편 이론적 측면에서 본 연구는 촘스키(Noam Chomsky)의 소위 “최소주의 문법이론(Grammatical Theory of Minimalism)”혹은 ‘생성문법의 최소이론’으로 불리는 언어이론의 경제성과 최소주의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개념들을 민속종교 의례행위의 최소주의적 행태의 분석과 해석에 응용·적용하여 논하였다. 언어학에서의 최소주의 이론은 코로나19시대 의례의 자질점검(Feature-checking)의 수준과 변화를 종교주체들의 실천적 반응과 대응의 양상으로 논의를 전개시키는 데 유용하였다. 그 덕분에 의례가 변화되는 지점을 의례 대상, 의례주체, 의례 관계 그리고 감정이라는 부분들에 주목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코로나19 감염병 속에서도 주기적/순환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민속종교 의례의 현장은 “눈에 띄는” 그러나 한편으로 ‘눈에 띄지 않지만’ 실존하는 과학적 지식의 구성물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민속종교의 대다수 현장은 이 ‘불순한’ 객체인 코로나19 감염병 바이러스의 힘에 굴복하고 있었으나 그렇다고 전적으로 민속종교 의례를 전복시키기 못하고 있었다. 그래서 각 의례가 취하는 최소주의 전략과 최대의 효과 사이에 상관성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가족과 지역사회 나아가 국가 단위의 공동체가 제대로 된 과학지식에 근거한 종교정보의 도움을 통할 때 이 종교적 재난은 일상의 탈에서 질서를 회복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changes in the direction of religions and religious studies as well as religious actions caused by COVID-19, an infectious disease that is prevalent worldwide. The rituals here mainly concern the fate of folk religion as a “diffused religion” in everyday life. In other words, this study aims to observe the reactions of Korean folk religious rituals and ritual subjects in the COVID-19 era and pay attention to the logic responding to this situation. This study compares and discusses the basic assumptions on the design and formalized guidelines of folk religious rituals in the COVID-19 situation. On the other hand, from a theoretical point of view, this study applied and applies Noam Chomsky’s “Grammatical Theory of Minimalism” or “Minimum Theory of Generative Grammar” to the analysis and minimalist behavior of folk religious rituals. The theory of minimalism in linguistics is useful in developing discussions on the level and change of feature-checking of rituals in the COVID-19 era as a practical response of religious subjects. It is possible to pay attention to the points where rituals change, such as objects of rituals, subjects of rituals, ritual relationships, and emotions. As a result, it can be said that the site of folk religious rituals, which are progressing periodically and cyclically despite the COVID-19 infectious disease, was “not noticeable” but on the other hand, affected by the composition of existing scientific knowledge. In addition, most of the sites of folk religion were succumbing to the power of the COVID-19 infectious disease virus, which is an “immortal” object, but were not able to overthrow folk religious rituals entirely. Therefore, although it is not irrelevant between the minimumist strategy and the maximum effect of each ritual, this religious disaster could increase the possibility of restoring order from daily life through the help of religious information based on proper scientific knowledge.

      • KCI등재

        한국유교 종족의례의 특징과 의미: 시제(時祭)의 ‘순례화’와 ‘조상종교론’을 중심으로

        심일종 ( Sim Il Jong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17 종교문화비평 Vol.32 No.32

        본 연구는 현대 한국에 전승되고 있는 유교의례 가운데 선조제(先祖祭)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오늘날 선조제는 흔히 ‘시제(時祭)’로 불리는 대표적인 종족의례라고 할 수 있다. 5대조 이상의 조상을 대상으로 친족이 모여 그들을 기억하고 추모하는 제례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전통은 조선 중·후기 《주자가례》의 확산과 더불어 사회적으로 체계를 갖추어 실천되기 시작했다고 여겨지고 있다. 그 연장선상에서 본 연구는 이 의례가 20세기를 거치는 동안 한국사회에서 여전히 유의미하게 작동하고 있다는 입장에서 출발한다. 한국에서 1980년대 이후의 친족연구는 도시를 ‘친족의 상실(the loss of kinship)'의 공간으로 바라본다는 시각이 지배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런 논리의 기본 가설은 근대적 도시 공간이 만들어 내기 쉬운 익명성은 친족적 유대 혹은 가족생활 그리고 이웃 관계 등을 약화시킨다는 견해다. 물론 이러한 시각은 일정 부분 타당하고 이를 지지하는 사례도 많다. 그러나 한국의 문화적 전통과 20세기 도시화에 따른 친족집단의 동력을 서구 사회의 일반현상에 그대로 대입해도 좋을지는 의문이다. 그런 측면에서라도 농촌-도시의 이분법적 도식을 떠나 현대 한국의 도시 종중의 활발한 움직임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현대성과 맞물려 돌아가면서도 유지되는 유교의 종족의례의 특성은 무엇이며, 그것의 실제는 어떠한지를 관찰하는 것은 본 연구의 목표이기도 하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유교 종족의례를 두 가지 정도의 입론적 가설을 중심으로 논문을 전개하고 있다. 이는 연구의 시각이자 궁극적 주장과 관계되는데, 유교 종족의례의 ‘순례(pilgrimage, 巡禮)’적 특성과 ‘조상종교’적 의미부여가 그것이다. 시제의 순례화를 논하는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성스러운 공간과 장소로서의 선조의 묘소(墓所)나 선영(先塋)을 염두에 두었다. 의례의 장소로서 ‘성스러운 공간’은 문화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고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교의례에서 조상과 연관지을 때, 의례 중심지로서의 묘소와 선영은 ‘성스러운 장소’로 발달해 온 역사가 있음을 논의하고 있다. 또 하나 개념과 의미는 ‘조상종교’에 관한 것이다. 조선후기 이래 유교의 가례는 ‘조상’ 혹은 ‘조상관념’의 체계화의 전개과정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본다. 이러한 인식과 실천의 현상을 두고, 본 연구에서는 개념적으로 ‘조상종교(Ancestor Religion)’라는 용어를 통해 한국유교의 특징을 살피고 있다. 인류학적 사례로 든 종족의례는 한산이씨 양경공계 시제다. 한산이씨 양경공계 시제는 ‘묘소(墓所)’와 ‘선영(先塋)’에서 실천되는 의례 참여자들의 목소리 및 종족 구성원으로서의 조상에 대한 주체적 인식에 접근하는 방법론이기도 했다. 이를 통해 유교적 전통문화는 한국인들이 채 버리지 못한 인습이 아니라, “(조상을 모신) 성지에서 순례자들의 기억과 감각이 하나되어 성스러움을 구체적으로 체현”하는 의례적 활동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study a lineage ritual, called sije[時祭], being recognized as a typical Confucian ancestor rites in modern Korea. This ritual, held for commemorating the ancestors over (beyond) four generations, is assumed to have been systematically practised since the Book of Family Ritual(朱子家禮) is deeply rooted during the mid and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Although Confucianism has lost its political and cultural hegemony in modern Korea, I would argue that this ritual still works as a meaningful social institution. In the field of Korean kinship studies since 1980, urban space has been ironically defined by the term, “the loss of kinship.” The premise underlying these studies is that the anonymity in urban life weakens the solidarity in family- and kinship-relationship as well as the social cohesion in neighborhood. In spite of the plausibility of this idea, however, it is suspected that the idea could be effectively applied to explaining the multiple reality of kinship culture initiated by the urbanization in 20th century Korea. In this vein, I would suggest to inquire into the lively activities of a lineage in urban settings rather than resorting to the duality of the urban and the rural. The main issue that I propose in this research could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question: what is the features and changing aspects of a lineage ritual which has been affected by the Western modernity and the urbanization? In order to understand modern features of a lineage ritual, I suggest two hypothetical concepts: ‘pilgrimage’ and ‘ancestor religion.’ By characterizing a lineage ritual as pilgrimage, I illuminate the spatial practices in relation to the family burial site. In particular, I pay more attention to the historical process of how the family burial site has become a ‘sacred space’ for the lineage members. Another concept that I propose here, ‘ancestor religion,’ reveals the main feature of Korean Confucianism.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Confucian family ritual since the late Joseon dynasty is the process of systematization of the concept of ‘ancestor.’ Therefore, I believe that the term ‘ancestor religion’ could be effectively used as a way to explain the cognition and practices centered around ‘ancestor.’ As a case study, I describe and analyze a lineage ritual which was held by the lineage of Yanggyeong-gong, a branch of a much larger kin group, the Hansan Yi. Listening to the ritual participants’ voices and watching their practices, I came to realize how they define their identity as a member of the lineage. Their identity-making process with reference to a lineage ritual, I maintain, shows well that the lineage ritual is not an outmoded tradition but a living ritual activity which embodies the sacred experienced by the combination of sensation and memory of pilgrims at the family burial si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