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계획된 행동이론을 통해 본 고령여성의 노인복지주택 입주의도 영향요인

        심의경(Shim, Eui Kyung) 한국노년학회 2016 한국노년학 Vol.36 No.3

        본 연구는 고령여성들을 대상으로, 계획된 행동이론의 요소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력이 노인복지주택 입주의도와 영향을 갖는 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2012년 12월부터 2013년 3월까지 총 420명의 60세이상 고령여성을 대상으로 대면면접법과 자기기입식의 설문조사로 이루어졌다. 그중에서 380명만이 최종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연구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여성의 노인복지주택에 대한 태도가 높아질수록 노인복지주택 입주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령여성의 노인복지주택에 대한 주관적 규범이 높아질수록 노인복지주택 입주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령여성의 노인복지주택에 대한 지각된 행동통제력이 높아질수록 노인복지주택 입주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태도, 주관적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력이 행동의도에 영향을 주며 이러한 행동의도가 행동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증명해낸 Ajzen(1985)의 계획된 행동이론 연구결과를 지지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이로 인해 우리나라의 노인복지주택은 앞으로 노인들이 지역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삶을 영위하기 위한 대안으로 고려될 수 있도록 노인복지주택의 가치가 재조명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redictors of move intention to welfare housing in Korea. Participa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measures of socioeconomic variables, variable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80 elderly women over the age of 60 in Korea. This study was examined by statistical analysis on SPSS program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ttitude of elderly women have a positive effect on welfare housing. Second, the subjective norm of elderly women have a positive effect on welfare housing. Third, th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f elderly women positively effect on welfare ho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e that attitudes,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s part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finding shows that modifie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can be used as a guide in predicting behavioral intention. we should be responsible for the follow-up and monitoring of situations and reevaluate periodically to ensure that needs are being met and services are appropriate. These things are very important to succeed for senior citizens in Korea.

      • KCI등재

        자아존중감이 성인의 가족친밀도에 미치는 영향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검증-

        심의경 ( Shim Eui Kyung ),오봉욱 ( Oh Bong Yook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3

        본 연구는 성인의 자아존중감이 어떤 경로를 통해 가족친밀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고 자아존중감과 가족친밀도의 관계에서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임의 표집하여 총 230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였으나 최종 192부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통계분석에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자아존중감이 높은 성인일수록 가족친밀도와 결혼만족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결혼만족도는 자아존중감이 가족친밀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결혼주기에 따라 관계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여 건강한 가정을 이루고, 가족 간 친밀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가족복지적 실천개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path of self-esteem having effects on family intimacy among adults and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satisfaction on relations between self-esteem and family intimacy.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collected total 230 questionnaires through random sampling in Seoul and Gyeonggi and used total 192 in analysis based on the SPSS 21.0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self-esteem adults had, the greater their family intimacy and marital satisfaction became. In addition, marital satisfaction was proven to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influence of self-esteem on family intimacy. It is also needed to have consistent interest and make practical family welfare interventions for healthy family and greater family intimacy by offering an educational program, their relations according to the marriage cycle for higher marital satisfaction.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시간관리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박연진 ( Youn Jin Park ),심의경 ( Eui Kyung Shim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社會科學硏究 Vol.42 No.2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생의 시간관리가 어떠한 경로를 통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고, 시간관리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전문대학생 132명으로 시간관리,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변인간의 상관관계와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대학생의 시간관리는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시간관리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 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부분적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전문대학생들의 효과적인 진로준비행동을 위해 시간관리의 중요성을 확인했으며,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manage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A total of 132 students. In data analyzing, SPSS Macro program was used for examining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its validity. The results from the study is following. First, Time management has positive effec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Time management has positive effects on self-efficacy. Third, in final model self-efficacy plays a mediator role between time manage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oints out that efficient time management and positive self-efficacy, such as self-kindness, common humanity, and mindfulness, can be a method for successful campus life, and suggest social work intervention for colleg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