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베르그송 ‘시간’을 통한 모더니티 비판

        심웅택 충남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2013 藝術文化硏究 Vol.20 No.-

        This essay is to study the movement of modernism in the 20th century based on the lineal and trichotomous concept of time( the past, the present, the future) on Henri Louis Bergson's assumption that time and space cannot be reduced into a measuring unit. For him, time and movement is in a state of 'duration', open gathering of heterogeneity whereas the concept of mechanical time in modernism tend to uniformalize and perceive them spatially. Noticing his thoughts about time and movement, this latter modernistic time consciousness causes the problem. In the lineal and trichotomous concept of time, they have arrows only, expecting what they will or should be instead of what they are. Ignoring the past as the present passed, they regard it as valueless and dead. Thus, looking forward to the new from of future, they make their idea available as the means of attack against the previous concept. In conclusion, this formalistic concept of aesthetics with attachment to the newness for newness has lost the effective, getting into a platitudinous dilemma just as its shock disappears. 이글은 근대적 3분법적 시간관(과거, 현재, 미래)에 근거한 20세기의 모던이즘 운동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 소론이다. 시간과 운동은 공간화 될 수 없고 등질화시켜 수적으로 환원이 불가능하다는 베르그송의 전제에 기대어 모더니티를 바라보고자 한다. 시간과 운동은‘지속’이며 그리고 이 지속은 이질적이 것들의 열린 집합이다. 모던 이즘의 사유체계는 이 지속의 이질적 관계를 등질화시킨 사유이며, 공간으로 환원하여 사유한 결과물이다. 이것이 모더니티의 오류이다. 3분법적 시간관은 미래를 향한 화살표만 있을 뿐이다. 이러한 시각은 미래주의, 진보주의, 내세주의를 지향하는 결과만 기대하게 되며, 지나간 현재로서의 과거는 무가치한 것이며 죽은 것이 되어버린다. 이 결과 부단히 미래의 새로운 형식만 기대하고, 그 새롭다고 주장하는 형식은 이전의 형식을 공격하는 미학으로만 역할을 할 뿐이다. 하지만 이러한 형식주의 미학은 종국에 가서 새롭다는 모든 것의 충격이 둔해졌을 때에 스스로가 딜레마에 도 달하며 그 효력을 상실한다. 이에 베르그송의 시간과 운동에 관한 사유를 주목하고 그것에 기대어 모더니티의 오 류에 대하여 점검한다.

      • 질 들뢰즈의 F. 베이컨 회화 분석에 관한 소고

        심웅택 충남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2006 충남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논문연구발표집 Vol.13 No.-

        스피노자(Benedict de Spinoza), 니체(Friedrich Nietzsche) 그리고 베르그송(Henri Bergson) 등의 사상가들을 연구했던 프랑스의 철학자 질 들뢰즈(Gilles Deleuze)는 어떻게 플라톤이 그려 놓은 날카로운 선의 그 강력한 영향력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에서 자신의 철학을 진행시켜간다. 예술의 진행과정 역시 이러한 초월성에서 예외는 아니었다. 심지어 20세기 중반에까지 온갖 '이념(-ism)'의 명분아래 스스로가 그 울타리에서 안주하려는 경향이 미술사에서의 예가 비일비재하였다. 이러한 이성우위의 초월성은 예술을 이념의 감각적 현현으로 보고 그것을 철학적 인식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이어져왔다. 들뢰즈의 『감각의 논리』는 '아이스테시스'에 대한 이성의 우위'라는 이 수천 년 묵은 도식을 뒤집는 극적 반전이다. 들뢰즈에게 아이스테시스는 이성에 선행하여, 그 바탕에서 그것을 비로소 가능케 해주는 어떤 근원적인 능력을 의미하며 특히 베이컨의 회화에서는 감각 그 자체에 존재론적 가치로 복권하는 근거를 이루게 된다. 본 소고는 들뢰즈의 베이컨 회화에 대한 해석을 살펴보았다. 『감각의 논리』에서 이룩한 들뢰즈의 분석이 이루어진 여정으로써 스피노자의 '표현'에 대한 연구와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사유 또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본 소고의 목적은 베이컨 회화의 표면구조를 존재론적 분석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기존의 베이컨 해석의 한계에 대안을 제시함과 동시에 서술방식에 있어서 불명료함과 난해함을 지적받았던 들뢰즈의 '기관없는 신체'에 관한 논의를 알기 쉽게 풀어 주석을 하는 데에도 역점을 두었다. 들뢰즈는 베이컨의 작품들이 보이지 않는 힘을 보이도록 해주는 것, 그리고 그 힘이 행사되는 시간을 보여주는 것으로 높이 평가한다. 베이컨은 디아그램의 전략을 통해 '구상적인 것'과 구별되는 '형상적인 것'을 만들어 냄으로써 감각을 표현한다. 이때 형상적인 것이 갖는 유사성은 회화의 원리가 아니라 하나의 우연한 효과이다. 들뢰즈는 자신의 미학의 지평 위에서 우리에게 과연 예술이란 무엇인가라는 화두를 던지고 있다. 예술의 본질은 예술작품에서 창조되고 있는 새로운 감각 그자체이다. 다시 말해 예술작품은 생성 그 자체로서의 감각의 존재이다. 이제 현대예술은 보이는 것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것, 보이지 않는 힘을 구현하고 있다. 들뢰즈는 시뮬라크르, 강도, 감각, 표현, 기관 없는 신체 등과 같은 개념을 통해 구조주의가 수행한 재현 체계에 대한 비판을 더 밀고 나갔으며, 구조주의가 멈추어 버린 '실재'의 경계에서 오히려 미술의 진정한 대상을 발견했다. 미술은 결코 재현적인 것이 아니며, 미술작품이 표현해야 하는 것은 재현이 붕괴되는 지점, 주체와 대상과 세계의 동일성이 와해되는 영역, 잠재성과 생성의 영역이다. 이제 회화는 그 자체로 위로부터도 아래로부터도 아닌 과잉하는 존재론적 의의를 내재하는 것이 되었다. Studying the thoughts of Benedict de Spinoza, Friedrich Nietzsche, and Henri Bergson, Gilles Deleuze, a French philosophist, proceeds his ideas from the agony of how he can flee from the impact of the acute line Plato had drawn. Even until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there were frequently examples having the tendency of leading a comfortable artistic life in the name of all-isms in the history of art. The transcendence that overvalues the reason continues to put the art which has been thought of as a kind of sensational epiphany of -isms under the philosophical knowledge. The process of the art is not exceptional in this transcendence. Deleuze's Francis Bacon: logique de la sensation has reversed the schematic thought that the reason has the precedence over 'aisthesis', which means the fundamental capability for him that can precede the reason. Especially for Bacon's paintings it has the ground that makes the sensation in itself return to the ontological value. This essay elucidates Deleuze's ideas about Bacon's paintings. In the journey of thoughts through Francis Bacon: logique de la sensation, the study of Spinoza's 'expression' encounters Heidegger's ontological thoughts as a necessity. This essay aims not only to give an alternative to the limits of existing interpretations about Bacon's paintings through the ontological analysis of the surface structure of his paintings but also to annotate by making clear the discussions on the concept, 'the body without organs' which has been said to be too difficult and obscure to understand. Deleuze value Bacon's paintings that make visible the invisible virtual force and show the time the force exercises. Bacon expresses sensations by creating the formal different from the representational through the strategy of diagramme. The similitude the formal bear is not a principle of paintings but the accidental effect. Deleuze in his aesthetic horizon suggests us a topic of what the art is. The essence of the art is the new sensations in itself that the work creates. In other words, the work of art is the being of sensation in becoming. Now the modern art expresses the invisible forces instead of representing the visible. Deleuze furthers his criticism against the representational system which the structuralism performs through the concepts such as simulacre, intensity, sensation, expression, the body without organs, and he discovers the real objects of painting on the confines of 'reality' The art is not representational. Instead, what the work of art should express is a field of virtuality and 'devenir' in which the representation gives way, and the identity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breaks down. At this moment, the painting can express the surplus ontological significance immanent in itself, not from above or bel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