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사 스트레스대처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심운경 ( Woon Kyoung Sim ),천성문 ( Seong-moon Cheon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지역과 세계 Vol.40 No.1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들에게 사용할 수 있는 직무스트레스대처 척도를 개발하고, 그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먼저 간호사 스트레스대처 척도를 위하여 스트레스대처 관련 연구 및 문헌들을 고찰하여 스트레스대처의 정의를 내렸다. 기존 스트레스대처 관련 척도 분석과 간호사 면담 내용분석을 통해 기초 예비문항을 구성하였으며, 3차에 걸친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각 문항의 이해도와 하위척도 문항의 적절성 등에 대해 검증하여 최종 예비문항 65문항이 선정되었다. 최종문항 선정을 위해 최종 예비문항 선정으로 구성된 65문항의 스트레스대처 척도를 가지고 간호사 511명에게 검사를 실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총 26문항의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대처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간호사 직무스트레스대처 척도의 구인타당도, 수렴 및 변별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공인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스트레스척도와 직무만족도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urse job stress-coping scale and to examine its validity. Earlier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related to stress coping were analyzed to form a definition of nurse job-stress coping. Content validity of the preliminary items was evaluated two times to ensure nurse understanding about the contents of the preliminary items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items. Finding in the current study suggested that the 26 items should be used to measure aggress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validate the construct validity. Correlation analyses with measures of job stress-coping scale and depression scale were employed in order to evaluat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measure. The results showed the appropriate levels of construct,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 KCI등재후보

        중년 남성의 심리적 위기감과 자기성찰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정성훈(Jung, Sung-Hun),심운경(Sim, Woon-Kyung),천성문(Cheon, Seong-Moon)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학논총 Vol.41 No.-

        본 연구는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하여 심리적 위기감과 자기성찰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부산, 경남 소재 501명의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심리적 위기감과 자기성찰, 심리적 안녕감에 대하여 설문 조사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8.0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검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는 첫째, 심리적 위기감과 심리적 안녕감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성찰과 심리적 안녕감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위기감은 심리적 안녕감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성찰은 심리적 안녕감에 대해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sychological crisis and self reflection of middle aged men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 survey was conducted for 501 middle aged men, who reside in Busan and Kyungnam area. SPSS 18.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correlation verific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First,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among the psychological crisis, self refle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 aged men showed no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 psychological crisis and self reflection. Second, psychological crisi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self reflec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e results, finding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