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유아살해서사의 전통과 영화 <장화, 홍련>

        심우장 ( Sim Woo-jang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4 문학치료연구 Vol.31 No.-

        이 글은 영화 <장화, 홍련>이 <장화홍련전>에서 포착해낸 `죄의식의 부재` 문제를 유아살해서사의 전통에 입각하여 새롭게 조명하려고 했다. 수연의 죽음으로부터 촉발되는 <장화, 홍련>의 죄의식은 우리 서사의 역사에서 줄기차게 문제가 되었던 `유아살해서사`의 전통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이 영화가 유아살해서사의 전통이라는 차원에서 어떠한 시대적 변주를 함축하고 있는지, 서사전통을 어떻게 새롭게 재창조하고 있는지를 살피는 것이 긴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우선 공포영화라는 장르적 속성에 맞춰 <장화, 홍련>에서 생성된 공포와 서사적 반전이 갖는 의의가 무엇인지 고민해보았다. 전통적인 유아살해서사가 작품 이해의 핵심적 스키마를 형성하면서 공포가 조성되고 이러한 스키마로부터 일탈하면서 극적인 반전을 마련하였다고 보았다. 총 두 차례의 반전 중에서 특히 두 번째 반전, 즉 화면에 비춰진 은주가 사실은 수미의 분열적 자아였다는 사실은 유아살해에 대한 죄의식을 새로운 차원에서 재조명 하는 계기가 되었다. 결과적으로 이 작품은 유아살해서사의 전통을 창조적으로 계승한 작품이다. 이행기적 서사에 나타난 계모의 부정적 이미지는 이행기에 요구되었던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종의 희생양이며 허상이고 의학적으로 보면 집단적인 자기분열 증세였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김지운 감독은 서사에 감추어졌던 죄의식을 다시 일깨워 정신의학의 담론 틀로 새롭게 부각시켜 계모의 죄를 벗겨주려 했던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이 작품은 유아살해서사의 이행기적 변용에 대한 반성이면서 또한 새로운 서사적 치료이기도 하다. This paper tries to understand A Tale of Two Sisters(Janghwa and Hongnyun) on the perspective of the tradition of infanticide narratives to focus on a sense of guilt. A sense of guilt that is stirred by the death of Sooyeon has to do with the traditional narratives of infanticide. So we would ask which meaning does this movie work achieve and how does it reinvent the traditional narratives of infanticide into the same age`s ones. First of all, we try to find the meaning of horrors and dramatic reversals of this work according to properties of the movie genre. Horrors are made by the schema to be provided by the traditional narratives of infanticide and dramatic reversals are made by a deviation from the schema. Specially the second reversal of the two, the fact that Eunju is a Soomi`s divided self, serves as a momentum to watch once more a sense of guilt in the traditional narratives of infanticide. As a result, this movie is a work to succeed creatively to the traditional narratives of infanticide. This movie tells the fact that stepmother in the narratives is a sacrificial victim or an illusion of transition period and it is reflected in collective mental illness. This movie director tries to rescue the stepmother from the punishment with a discourse of psychiatry. So this movie is a work of reflection and therapy about a transition period`s transformation in the traditional narratives of infanticide.

      • KCI등재

        구비서사의 놀이적 특성과 문화적 창조력

        심우장 ( Sim Woo-ja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3 고전문학과 교육 Vol.26 No.-

        이 논문은 구비서사에 대한 재미 연구의 일환으로 그것의 놀이적 특성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놀이적 성격을 특화하여 ‘서사놀이’라는 술어로 풀어보았다. 서사놀이란 서사적인 정보를 놀이화하는 것으로 ‘서사’에서 이야기적 요소를 가지고 오고, ‘놀이’에서 참여와 경험이라는 요소를 가지고 왔으며, 양쪽에서 공통적으로 의외성과 규칙이라는 요소를 가지고 온 것이다. 일정한 서사 규칙 아래에서 캐릭터를 부여하고 스토리를 만들어 의외성을 즐기면서 참여자들과 더불어 서사를 경험하는 일종의 게임이다. 이 논문에서는 서사놀이를 패턴인식을 중심으로 구상해보았다. 놀이의 기본적인 방식이 바로 패턴인식이라는 점, 구비서사의 경우는 특성 상 논리적인 이해보다는 패턴으로 이해하는 것이 더 적절한 장르라는 점과 패턴인식은 그 자체로 재미를 줄 수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하였다. 재미란 결국 학습을 목적으로 패턴을 흡수하고 있을 때 두뇌가 보내는 피드백이다. 패턴과 연관시켜서 서사놀이의 계기를 셋으로 나누어 살아보았다. 우선 ‘패턴발견’이다. 주어진 서사작품에서 패턴을 발견해내는 일은 일반적인 놀이에서 하는 것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패턴적용’이다. 패턴발견은 그 자체로도 재미를 줄 수 있지만, 발견된 패턴을 또 다른 서사작품에 적용함으로써 재미를 줄 수도 있다. 마지막이 ‘패턴체험’이다. 패턴체험은 서사놀이에 참여하는 구체적인 개인이 당대의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패턴의 새로운 변주를 접하고 자기 내부의 흔들림을 경험하는 것을 말한다. 구비서사의 전통을 가지고 현재를 체험하고 놀이하는 것은 구술문화의 전형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항상성을 구현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구술문화의 항상성은 곧 현실 문화의 창조력과 깊은 연관을 가지고 있다. 구술문화가 현실 문화와의 관련성을 구체화하면서 구비서사와 같은 구비전승물을 현실 문화에 맞추어 끊임없이 재창조하기 때문이다. 이 지점에서 구비전승이 지향하는 바는 과거에 관한 태만한 호기심이라기보다는 오히려 현재 사회의 문화적 가치라는 말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fun in researches and educations of oral narratives. Especially we are interested in game’s characteristics of it. Basically games pursue a fun, so if we emphasize it, we will get the way to the fun in researches and educations. In this study, we suggest the narrative-game as the way. The narrative-game is constructed of the game’s characteristics to be tuned into the present cultural context. As we generally discover, apply and experience the patterns of the games during playing them, the narrative-game is composed of pattern-cognition(pattern-discovery and pattern-application) and pattern-experience. Pattern-discovery is the work to discover the patterns in traditional oral narratives. Pattern-application is the work to apply the patterns to the other narratives and seek the variation of them with state of that period. Pattern-experience is the work to seek the solution of comtemporary problems with the variation of comtemporary narratives. These game’s characteristics of oral narratives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homeostasis in orality. New cultural creativities is based on the homeostasis in oral culture and society. So the narrative-game can be the major way to explain the cultural creative power of oral narratives.

      • KCI등재

        구술성과 설화 교육의 새로운 방향 : 중고교 설화교육을 중심으로

        심우장(Sim, Woo Jang) 한국구비문학회 2020 口碑文學硏究 Vol.0 No.57

        중고등학교에서 설화를 배우는 이유는 설화를 통해서 서사에 대한 구비문학적 이해의 틀을 갖추고, 서사 갈래의 보편성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자는 것이다. 텍스트 중심의 이해가 갖는 한계를 인식하고, 이를 구비서사의 특징적인 면과 연결시켜서 서사이해의 새로운 전형을 마련하자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 교육 과정에서는 이러한 설화교육의 의의가 제대로 실현되고 있지 못하다. 여전히 문자문화적인 관점에서 온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설화의 구비문학적 특징에 대한 인식도 많이 부족한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설화 교육의 방향을 새롭게 모색해야 한다. 이러한 차원에서 관점이나 방법론으로서의 구술성은 설화 교육과 관련하여 많은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구비문학의 정체성을 새롭게 이해하려는 고민들이 구술성이라는 범주에 잘 녹아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우선 설화 갈래에 대한 구술문화적 이해를 심화시켜야 한다. 설화에 나타난 구술문화적인 표현의 특징, 패턴이나 이야기스키마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가 있어야만 소설과 견주지 않고 설화를 설화답게 이해할 수 있다. 나아가 맥락적 이해에 가장 적합한 갈래가 설화라는 점도 강조되어야 한다. 맥락과 결합하면서 다양한 의미를 생성해내는 역동적인 움직임을 설화를 통해서 이해한다면 문학에 대한 이해가 심화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설화를 통해 현실 담론을 만들어내는 작업도 무척 중요하다. 구술문화에서 설화가 담당했던 역할이 바로 이것이기 때문이다. 통념적 지식에 기대어 변화하는 현실을 포착하기 위해서는 설화를 활용하여 끊임없이 새로운 담론을 만들어내야만 한다. 설화는 특유의 붙임성으로 인해 다양한 맥락과 쉽게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문학의 담론 생성 역할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최적의 갈래이다. The reason for learning folktales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is to establish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narrative through oral literature and to reconsider the universality of narrative. The subject aims to recognize the limitations of text-based understanding, connect them with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the oral narrative, and develop a new model of narrative understanding. However, in the actual curriculum, the significance of this folktale education is not properly realized. It has not yet completely escaped from the character-cultural point of view, and there is a lack of awareness about the oral literature characteristics of the folktal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find a new direction for folktale education. In this regard, we think that orality as a viewpoint or methodology has many possibilities in relation to folktale education. This is because the issue of trying to understand the identity of oral literature is well integrated in the category of orality.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deepen the oral cultural understanding of the genres of folktale. We need to hav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patterns, or story schemata of oral cultural expressions in a folktale to understand the folktale as a folktale instead of as competition with a novel. Furthermore,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the most suitable genre for contextual understanding is the folktale. The understanding of literature can be deepened if the dynamic movement that creates various meanings in combination with the context is understood through folktale. In addition, it is very important to create discourse through folktale. This is because this is the role that folktale played in the oral culture. In order to capture the changing reality leaning against conventional knowledge, it is necessary to constantly create new discourse using folktales. Folktale is the best genre to understand and apply the role of discourse creation in the literature because it can be easily combined with various contexts due to its unique attachment.

      • KCI등재

        전쟁체험담 구술에서 ‘눈물’의 위상

        심우장(Sim, Woo Jang)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통일인문학 Vol.64 No.-

        본 연구에서는 전쟁체험담 구술에 나타난 정서 표현, 특히 ‘눈물’과 관련된 발화에 주목했다. 이는 전쟁체험담에서의 주된 정서가 ‘눈물’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전쟁이라는 경험은 감각적 자극의 수위가 매우 높은 특별한 것이기 때문에, 과거의 경험을 재현하는 과정에서 과도한 정서적 반응에 의해 눈물이 자극되는 경우가 많다. 전쟁체험담에서 ‘눈물’ 관련 발화는 정서적인 차원에서 대표성을 지닐 수 있으며 따라서 이에 주목하는 것은 충분한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먼저, 전쟁체험담에서 찾을 수 있는 눈물을 유발하는 다양한 정서적 상황을 살펴보았다. 거기에는 공포와 참혹함이 있었고, 서러움과 안타까움과 미안함도 있었다. 슬픔과 관련된 이러한 정서적 상황 이외에도 안도감이나 고마움, 기쁨과 같은 상반된 정서적 상황과도 눈물은 잘 결합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이렇게 보면 전쟁체험담에서 ‘눈물’은 전쟁의 상황과 관련된 전형적인 정서들과 두루 결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눈물과 관련된 구술담화가 추구하는 정서적 대응 양상도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었다. 단순한 과거의 재현에서부터 이에 대한 해석을 거쳐, 과거와 현재의 복합적인 체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차원에서 정서적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체험담과 같은 구술담화의 의의는 ‘항상성’의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체험담에서의 과거(경험)는 현실과 분리된 채로 객관화될 수 없다. 과거(경험)는 현재와의 관련 속에서만 존재하기 때문에 과거는 곧 현재이기도 하다. 이런 차원에서 전쟁체험담의 현재성은 현재적 재현, 현재적 해석, 특히 현재적 체험으로서의 정서 표현과 이것에 대한 공감의 장을 마련함으로써 그 얼개를 구축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리고 그 핵심에 다양한 정서와 연관되어 있는, 삶의 진정성을 드러내 보여주는 ‘눈물’이 존재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겠다.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emotion expressions, especially ‘tears’ in the oral statement of personal narratives about Korean War. Because ‘tears’ is involved in dominant emotions in personal narratives about Korean War. Experiences of war are unusual and so representation of those experiences frequently provokes excessive emotional reactions and brings tears to their eyes. Above all, we want a hard look at emotional conditions that arouse tears in the oral statement. There are a lot of emotional conditions, for example fear, cruelty, sorrow, deplorableness, sorriness and so on. As well, there are many emotional conditions irrelevant to sadness, for example a feeling of relief, thanks, and delight. And to conclude, we can understand that ‘tears’ in the oral statement of personal narratives about Korean War, are combined with various emotional typical conditions of war. We must view the oral statement of personal narratives from a homeostasis point of view. The past in personal narratives is not just the past. It can not be objectified disconnected with the present. The past is the present because the past exist only with relation to the present. So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emotional expressions as present representation, present interpretation and present experience, arrange a field of empathy. And ‘tears’ to show the veracity of life are right there.

      • KCI등재후보

        이야기 스키마와 구비설화의 전승과 변이

        심우장(Sim Woo-Jang) 실천민속학회 2010 실천민속학연구 Vol.16 No.-

        전승과 변이는 구비설화의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이면서 또한 논의하기가 무척 까다로운 주제임에 틀림없다. 이는 채록되어 있는 자료들이 대체로 전승과 변이의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결과’만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전승과 변이의 ‘과정’을 추론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과 관점에 입각하여 구비설화의 전승과 변이 과정을 이론화하는 시도를 하였다. 새로운 방법론은 ‘전승 실험’이다. 실제 설화를 단계별로 전승시켜 얻어진 결과를 가지고 전승과 변이의 원리를 추적하는 것이다. 새로운 관점은 ‘이야기 스키마(Story Schema)’라는 개념을 도입하는 것이다. ‘과거 경험의 능동적인 조직’을 뜻하는 스키마는 이야기를 이해하고 재구성하는 데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이해된다. 여기에 기대면 설화의 전승과 변이의 과정을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틀이 마련될 것으로 생각된다. 전승 과정에서 이야기의 내용이 생략되거나 첨가되는 경우, 또는 이야기의 논리가 조정되거나 이야기의 내용이 확장 혹은 축소되는 경우에 이야기 스키마의 영향력이 일정 부분 작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설화가 고정적으로 전승되면서도 유동성을 가져 각편이 구연될 때마다 역동적으로 변이되어 나가는 과정에 이야기 스키마가 상당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 variation is one of the reese important characteristics which folk-tales have and one of the most difficult subjects which is discussed. Because folk-tales' texts to be collected don't show processes of a variation, but results of a variation. In this research, we try to introduce a new method and a new point of view and theorize to solve the problem. A new method is a 'experiment of transmission'. We will use it to find out the principles about folk-tales' variation and transmission. A new point of view is a 'story schema'. It is an active organization of past experiences. We think that understanding a story and reconstruction of it are greatly influenced by story schema. In the transmission, skipping and addition of contents, modification of story logics, and extension and reduction of stories are influenced by story schema. In addition, we can understand that a stationary characteristic, a fluid characteristic and a dynamic variation of folk-tales are based on the story schema.

      • KCI등재

        21세기 설화 연구의 성과와 새 길 찾기의 방향

        심우장(Sim, Woo-jang) 실천민속학회 2023 실천민속학연구 Vol.41 No.-

        21세기 설화 연구는 민속학이나 고전서사 연구의 여러 분야 중에서 가장 많은 성과를 내고 있을 정도로 괄목할 만한 양적 성장과 함께 질적으로도 상당한 성취를 이루었다. 하지만 방법론적 새로움을 갈래의 정체성에 맞게 승화시키지 못해서 연구의 동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비판도 함께 존재한다. 이에 새로운 길을 개척하고자 했던 시도들을 중심으로 21세기 설화연구의 성과를 검토하고 새로운 연구 방향을 모색해봤다. 〈나무꾼과 선녀〉설화를 중심으로 21세기 설화 연구의 성과를 검토한 결과, 구조 분석과 의미 해석을 중심으로 문학 연구의 다양한 관점이 개입하면서 성글었던 연구의 지형이 틈새 없이 촘촘해졌고, 교육, 치료, 콘텐츠 등 현실문화와 교섭하면서 연구 외연의 확장이 적극적으로 모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2010년 이후로 새로운 연구 영역이 개척되지 못하고 있고, 연구의 질적 성장이 담보할 수 있는 방법론적인 혁신이나 논쟁이 부재하다는 점에서는 한계가 명확했다. 연구의 방향 모색을 위해서 21세기 새 길 찾기의 주요 성과인 생애담이나 문학치료학, 인지과학 및 행동경제학과의 접목을 시도한 성과를 검토했다. 새 길 찾기의 성과도 만만치 않았지만, 외연을 확장하면서 새로운 시야가 확보되기를 기대했던 것에 비하면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생애담의 경우, 살아있는 문학행위라는 미덕이 제대로 구명되지 못하고, 문학성의 자장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태로 머뭇거리고 있다. 문학치료학은 작품서사와 자기서사의 관계가 역동적으로 구명되지 못하고 작품서사의 연역적 논리의 정연함으로 회귀하고 있다. 인지과학이나 행동경제학과의 접목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렇다면 과연 지금 설화 연구의 방향을 어ᄄᅠᇂ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까, 합리주의의 관점보다는 문학이 살아있음을 보여줄 수 있는 다양한 차원에서의 접근이 필요해 보인다. 또한 제도나 구조가 아닌, 일상과 맥락에 초점을 맞춘 일상적 삶의 관점에서 문학을 이해하는 방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서사의 보편성에 기대어 다양한 새 길 찾기 시도들을 융합적으로 연계할 필요가 있겠다. In the 21st century, research on folktales has achieved the most significant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among various fields of classical narrative research. However, there is also a criticism that the power of folktale research is declining. It is pointed out that methodological novelty has not been sublimated to suit the identity of folktale. There fore, in this study, we review the achievements of the 21st century folktale research and seek new research directions, focusing on the attempts to pioneer a new way. In the 21st century, research on folktale has been centered on structur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meaning.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the topography of research has become dense without gaps. The scope of research has been actively expanded while contacting real culture such as education, therapy, and contents. There have also been quite a few achievements in finding new ways. However, as the scope of research expanded, we expected to gain a new perspective, but it is not satisfactory. To set the direction of folktale research now, it is necessary to approach literature from various levels that can demonstrate its liveliness, focusing on daily life and context rather than institutions or structure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converge and connect various attempts fo find a new way, leaning on the universality of narrative, even if there is no effective alternative or methodology currently available. Pursuing this new direction is more desirable than going back to previous peaceful research.

      • 설화 속 `종소리`에 대한 문학치료학적 접근 - <손순매아>, <에밀레종>, <까치의 보은> 설화를 중심으로 -

        심우장 ( Sim Woo-jang ) 한국문학치료학회 2007 문학치료연구 Vol.6 No.-

        This study is a work to look over the meaning of a sound of a bell in korean folktale from literary therapy`s aspect. A sound of a bell appears on stage in three korean folktales, < Sonsunmaea >, < Emillejong > and < Kkachiui boeun >. These folktales are overspread by death or shadow of death. Therefore I think these deaths have inseparable relations to the meaning of a sound of a bell. These three folktales are analyzed by four dilemmas, which have close relations to the literary therapy`s meaning. Specially, a sound of a bell is in company with the second dilemma. A sound of a bell is a sound of death. The meaning of death is the meaning of a sound of a bell. Deaths in these three folktales are deplorable and certain. These three folktales are some therapy narrations to soften an mental impact in real life in which these deaths are done over again. So, it is a sound of a bell that symbolize this meaning. Specially we must pay attention to some folktales to express korean bell`s distinguishing feature, that is, to attach great importance to lingering sound.

      • KCI등재

        영화 <마녀>를 통해 본 <아기장수> 전설의 현재적 의의

        심우장(Sim, Woo-jang) 국문학회 2021 국문학연구 Vol.- No.43

        <아기장수> 전설에 대한 우리의 관점이 민중의 저항성을 중심으로 하는 저항담론에 지나치게 예속되어 있어서 해석의 확장성이 약했던 것은 아닌가 반성해본다. 대등한 서사를 갖고 있는 신화류에 비해서 <아기장수> 전설의 현재적 의의에 관한 논의들이 상대적으로 소략했던 것도 여기에서 연유한다고 하겠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영화 <마녀>를 통해서 <아기장수> 전설에 대한 우리의 시선을 확장하고 작품의 현재적 의의도 새롭게 궁구하고자 했다. <마녀>는 <아기장수> 전설과 비슷한 서사를 갖고 있으면서도 다른 결을 보여주는 작품이기 때문이다. <마녀>의 인물구도는 <아기장수>의 인물구도와 일치한다. 탁월한 능력을 지닌 아기와 그런 아기의 뛰어남에 두려움을 느끼는 어머니, 그리고 아기를 죽여 없애려는 권력자의 삼각구도가 두 작품에서 동일하게 드러난다. 또한 출생 전후에 특이한 일이 벌어지고, 이를 통해 뛰어난 능력을 확인하게 되며, 죽음을 피해 이주하는 과정이 있고, 특별한 재생 공간에서 새로운 인물로 거듭나는 등 세부 스토리에서도 비슷한 면이 많다. 그러면서도 <마녀>는 <아기장수>와 견주어보면 전복적 사유를 담고 있다. 주인공 캐릭터를 남자가 아닌 여자로 설정하면서도 여성성이 거의 드러나지 않게 하여 <아기장수>가 갖고 있는 반여성성을 뒤집어 놓는다. 양가적인 성격을 갖는 어머니도 분화되어 나타나는데, 어머니 캐릭터가 갖는 모순성을 해소하고 어머니에 의한 자식 살해의 부담에서도 자유로울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마녀>의 주인공인 구자윤은 아기장수와 다르게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행동하는데, 결국 자신의 필요에 의해서 닥터 백을 유인하는 지략을 보여줌으로써 작품 최대의 반전을 마련했다. 이렇게 <마녀>를 통해 <아기장수>를 다시 소환할 수 있게 된 것은 우리 시대가 직면한 또 다른 형태의 탁월성에 대한 기대와 두려움 때문이다. <마녀>에서는 주로 유전자 변형에 대해서만 말하고 있지만, 로봇이나 인공지능 기술 등도 탁월성에 대한 기대와 두려움을 조장하고 있다. 소위 포스트휴먼 시대에 직면하여 배제나 찬양이 아닌 공존의 논리로 탁월성에 대한 기대와 두려움의 모순을 풀어 보려 한 작품이 <마녀>이다. 이런 의미에서 앞으로도 <아기장수> 서사는 탁월성에 대한 새로운 서사와 접목되어 계속해서 소환될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We reflect on the excessive emphasis on the spirit of resistance in the study of the legend of Mighty Baby. This is because this trend has reduced the extended understanding of the legend of Mighty Baby. We think this is why research on the current significance of the legend of Mighty Baby was insufficient compared to myth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compares The Witch and Mighty Baby and tries to find a new meaning of Mighty Baby in a wider range. This is because the movie The Witch uses the schema of Mighty Baby but shows a completely different appearance. The character structure of The Witch is consistent with that of Mighty Baby. In both works, there is a triangular structure of a baby with outstanding abilities, a mother who is afraid of the baby s splendor, and a powerful man who tries to kill the baby. In addition, the two works are similar in detail. Unusual things happen before and after birth, and through this, the child s excellent abilities are confirmed. There is a process of moving away from death, and growing into a new person in a special space. The Witch shows the opposite view for Mighty Baby. By setting general character to be a woman rather than a man and making the femininity hardly visible, it overthrows the anti-femininity of Mighty Baby. The mother character, which has an ambivalent personality, was also divided into two, eliminating the contradictions of the mother character and being free from the burden of murdering the baby by the mother. In addition, Ja-yoon Koo, the protagonist of The Witch, acts proactively and subjectively differently from the mighty baby. Ja-yoon Koo makes the biggest reversal by showing a strategy to lure Dr. Baek according to her own needs. In this way, The Witch summoned the Mighty Baby schema because of the expectation and fear of another form of excellence faced by our times. The Witch mainly deals with genetic manipulation, but robot techn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lso raise expectations and fears for excellence. In the face of the so-called posthuman era, The Witch attempts to resolve the contradiction between expectations and fears of excellence through the logic of coexistence rather than exclusion or praise. In this sens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schema of Mighty Baby will continue to be summoned to create new stories about excellence.

      • KCI등재

        이야기판의 협력 구연과 기억의 공유

        심우장(Woo-jang, Sim) 어문연구학회 2011 어문연구 Vol.68 No.-

        There are various access routes to storytelling culture. This paper takes more interest in relationship of stories and participants in the storytelling site. For this, it is needed to regard the storytelling site as an organic system. This study want to say that the storytelling site is an autopoiesis system, and emergence system through self-organization. In this sense, it is more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a cooperation in the storytelling site. Various cooperations are appeared i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chance to tell a story, telling a story actually, and interacting with real world after telling a story. In fact, cooperation has an effect on all the process of telling a story. Cooperation in the storytelling site is an universal phenomenon. As a result, a storytelling site is a place of huge cooperation.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the reason why the storytelling site would like to cooperate in the orality of the storytelling site. Dialogue and friendly competition are encouraged in the oral culture to solve the memory's weakness. Cooperations rise to the surface of storytelling site as dialogues and competitions. With this dialogues and competitions, the storytelling site make a system in which memories are contextual, accumulated, shared. We have to find out the creativities of the storytelling in this point. Creativity is not to create new informations or knowledges but to weave the existing informations or knowledges fitting for particular con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