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파프리카의 색이 열풍 건조한 파프리카 분말을 첨가한 돈육 분쇄육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 평가

        심용우,진구복,Shim, Yong Woo,Chin, Koo Bok 한국축산식품학회 2013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3 No.5

        본 연구는 색깔별로 열풍 건조한 파프리카 분말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고, 열풍 건조한 파프리카 분말을 돈육분쇄육에 첨가하여 이화학적인 특성과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파프리카의 총 페놀성화합물 함량은 파프리카의 색과 추출용매에 따라서 유의적으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파프리카 분말의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은 파프리카 색깔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파프리카의 색깔과 관계없이 물 추출물보다 메탄올 추출물이 더 높은 전자공여능을 보였고, 특히 0.5% 이상에서 메탄올 추출물이 대조구인 ascorbic acid와 유의적으로 차이를 나타내지 않음으로써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철이온 흡착력은 파프리카의 색깔이나 용매에 상관없이 모든 처리구들에서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철 흡착 활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1.0%에서는 메탄올 오렌지 추출물(MOP)과 물로 추출한 붉은 파프리카(WRP) 처리구가 EDTA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EDTA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환원력은 모든 농도에서 처리구간에 유의적으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p>0.05),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환원력도 증가함을 보였다. 열풍 건조한 파프리카 분말이 첨가된 돈육 분쇄육에 냉장저장 중 이화학적인 특성에서는 적색도는 붉은색 파프리카 분말을 첨가한 처리구가 높게 나타났고, 반대로 황색도는 주황색 파프리카 분말을 첨가한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TBARS값은 파프리카 색에 관계 없이 분말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낮게 나타났고, 특히 1% 첨가한 처리구의 경우에는 참조구인 REF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음으로써 우수한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미생물 실험 결과 파프리카 분말 첨가가 미생물을 억제하는데 기여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색에 관계없이 파프리카 분말은 천연 항산화 물질로서의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어 육가공품 가공에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oven-dried paprika powder as affected by the color differences of paprika and to evaluat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ork patties with various levels of paprika powders. The total phenolic contents of the paprika were not affected by color and solvent (p>0.05). The methanol extracted paprika powder showed highe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water extracted counterpart, and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at concentration of 0.5% as compared to the reference (ascorbic acid) (p>0.05). In all treatments, the iron chelating abil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At a concentration of 1.0%, methanol extracts of orange paprika (MOP) and water extracts of red paprika (WRP) were not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ethylendiaminetetraacetic acid, EDTA). The paprika color and extraction solvent didn't affect reducing power of paprika powder at each concentration (p>0.05). Pork patties with red paprika powder were higher redness values than those with orange ones, regardless of addition level. The addition of red paprika increased the yellowness, and patties with 1.0% orange paprika powder showed the highest value. TBARS values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paprika powder, especially, patties with 1.0% paprika powder were lower TBARS than those with 0.5% paprika powder, resulting in similar to those with ascorbic acid (p>0.05). Although the microbial counts increased with storage time, paprika powders did not inhibit microorganisms during storage. In conclusion, paprika powders could be used as a natural antioxidant in meat products, regardless of paprika color.

      • KCI등재

        의료기관의 의료 외 수익에 관한 연구

        김경화(Kyung Wha Kim),심용우(Yong Woo Shim) 한국자료분석학회 202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4 No.3

        본 연구는 의료기관이 내·외적 의료 환경으로 인하여 경영성과가 악화하고 있는 시점에 의료기관의 경영성과 증대를 위해 의료수익 중 의료 외 수익의 다변화를 모색하며 의료기관의 의료 외 수익(부대사업)을 통한 경영성과의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한국보건 산업진흥원 회계 공시자료를 이용하여 2018~2020년의 3년간 의료기관의 COVID-19이전· 이후의 의료 외 수익에 관한 전반적인 분석을 하였다. 의료기관의 의료수익, 의료이익, 의료비용, 총수익, 의료 외 수익, 의료수익경상이익률, 의료수익의료이익률, 총수익대비 의료 외 수익 비율의 변화와 종별, 설립 형태별, 병상 규모별, 소재지별, 경영성과에 따른 의료 외 수익의 차이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의료기관의 의료 외 수익은 2018~2020년 3년간 지속해서 증가하였다. 특히, 의료 외 수익은 COVID-19 발생 연도에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의료 환경의 변화로 인한 의료기관은 경영성과를 높이기 위해 의료수익 및 의료 외 수익을 다변화하고 있다. 의료 외 수익의 증가는 감염병 COVID-19 이후 관련 기업들이 기부금과 바이오 분야 연구사업, 임상 연구비, 진료·교육연구비, COVID-19 손실 보상금 등의 증가로 보인다. 의료 외 수익의 수익성 지표인 의료수익경상이익률에 요인을 다중회귀분석 결과 경영성과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나타났다. 흑자 병원이든 적자 병원이든 의료 외 수익이 경영성과에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시사점은 의료기관의 주요 수입원인 진료수익도 중요하지만, 의료 외 수익 구조의 다각화를 통한 경영성과 증대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conducted an overall analysis of non-medical income before and after COVID-19 of medical institutions in 2018-2020 using publicly available data from th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non-medical profit of medical institutions. Annual changes in medical income, medical profit, medical cost, total revenue, non-medical income, medical income recurring profit margin, medical profit margin, non-medical income to total revenue ratio and business performance, type, establishment type, size of hospital beds , a differential analysis of non-medical income by loc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Presen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non-medical income of medical institutions increased continuously during 2018-2020. In particular, the year of occurrence of COVID-19 has increased significantly. Medical institutions due to changes in the medical environment are diversifying their medical and non-medical income to improve their business performance.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factors on the medical income recurring profit rate, which is a profitability indicator of non-medical income, it was found that business performance had a significant effect. Whether it is a positive (+) hospital or a negative (-) hospital, it was found that non-medical income is an important variable in business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